• 제목/요약/키워드: SCS method

검색결과 1,131건 처리시간 0.033초

Research on flexural bearing capacity of cold-formed thin-walled steel and reinforced concrete sandwich composite slabs

  • Qiao, Wentao;Huang, Zhiyuan;Yan, Xiaoshuo;Wang, Dong;Meng, Lijun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5권2호
    • /
    • pp.219-230
    • /
    • 2022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echanical behaviors of the cold-formed thin-walled steel and reinforced concrete sandwich composite slab (CTS&RC-SCS) under vertical loads and to develop the calculation methods of its flexural bearing capacity and section stiffness. Two CTS&RC-SCS specimens were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carry out the static loading test, and meanwhile, the numerical simulation analyses based on finite element method were implemented. The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al results and numerical analysis results shows that the CTS&RC-SCS has good flexural capacity and ductility, and the accuracy and rationality of the numerical simulation analysis are verified. Further, the variable parameter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neither increasing the concrete strength grade nor increasing the thickness of C-sections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flexural capacity of CTS&RC-SCS. With the increase of the ratio of longitudinal bars and the thickness of the composite slab, the flexural capacity of CTS&RC-SCS will be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basis of experimental research and numerical analysis above, the calculation formula of the flexural capacity of CTS&RC-SCS was deduced according to the plastic section design theory, and section stiffness calculation formula was proposed according to the theory of transformed section. In terms of the ultimate flexural capacity and mid-span deflection, the calculated values based on the formulas and the experimental values are in good agreement.

소유역의 강수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산정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from Precipitation in a Small Basin)

  • 배상근;이승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5호
    • /
    • pp.397-406
    • /
    • 2004
  • 어떤 특정 지역의 지하수 개발량을 적적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하수함양량의 산정이 필요하다. 경상북도에 위치한 위천 유역내의 소유역에 대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기저유출분리법과 SCS-CN방법을 이용하여 갈수년과 풍수년이 존재하는 1992년∼1997년간의 년 평균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기저유출분리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연평균 지하수 함양률이 11.9%∼18.7%로 변화하였으며 계산기간 중의 년 평균 강수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은 141.6mm로 지하수함양률은 14.5%이었다. SCS-CN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연평균 지하수 함양균이 7.9%∼20.9%로 변화하였으며 계산기간 중의 년 평균 강수에 의한 피하수 함양량은 147.4mm 로 지하수 함양률은 15.1%이었다. 두 방법으로 산정한 갈수년과 풍수년이 존재하는 장기간 동안의 년 평균 강수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은 지하수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SCS 초과우량산정방법을 이용한 저류함수법 적용 (Application of Storage Function Method with SCS Method)

  • 김태균;윤강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49-453
    • /
    • 2007
  • 1974년 한강홍수예경보시스템을 구축한 이후로, 저류함수법을 근간으로 하는 홍수예경보시스템이 주요하천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1961년 목촌릉황(木村俊晃)에 의하여 제안된 저류함수법은 저류함수를 기본식으로 이용하고 있다. 저류함수법에서는 유역을 유출역과 침투역으로 구분하고, 누가우량이 포화우량을 초과하기 전까지는 유출역에서만 유출이 발생하고, 포화우량을 초과한 후부터 침투역에서도 유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이때 유출역의 면적이 일정하므로 유출률은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유출역과 침투역의 유출량을 분리하여 계산하며, 이는 비선형저수지의 특성을 고려하면 불합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류방정식과 연속방정식을 이용한 수정저류함수법을 제시하였으며, 유효우량은 SCS 초과우량산정방법을 이용하였다. 낙동강유역의 위천을 대상으로 수정저류함수법을 적용하였으며, Kimura 저류함수법에 비하여 첨두홍수량 산정에 개선된 결과를 보였으며, 매개변수의 감소로 적용성을 개선하였다.

  • PDF

SCS 초과우량산정방법을 이용한 저류함수법 적용 (Application of Storage Function Method with SCS Method)

  • 김태균;윤강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7호
    • /
    • pp.523-532
    • /
    • 2007
  • 1974년 한강홍수예보시스템을 구축한 이후로, 저류함수법을 근간으로 하는 홍수예보시스템이 주요하천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1961년 목촌준황(木村俊晃)에 의하여 제안된 저류함수법은 저류함수를 기본식으로 이용하고 있다. 저류함수법에서는 유역을 유출역과 침투역으로 구분하고, 누가우량이 포화우량을 초과하기 전까지는 유출역에서만 유출이 발생하고, 포화우량을 초과한 후부터 침투역에서도 유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이때 유출역의 면적이 일정하므로 유출률은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유출역과 침투역의 유출량을 분리하여 계산하며, 이는 비선형저수지의 특성을 고려하면 불합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류방정식과 연속방정식을 이용한 수정된 저류함수법을 제시하였으며, 유효우량은 SCS 초과우량산정방법을 이용하였다. 낙동강유역의 위천을 대상으로 수정된 저류함수법을 적용하였으며, 목촌준황(木村俊晃) 저류함수법에 비하여 첨두홍수량 산정에 개선된 결과를 보였으며, 매개변수의 감소로 적용성을 개선하였다.

유역 분할을 고려한 유출량 산정 (Runoff Estimation Considering Dividing Watershed)

  • 이종형;윤석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통권24호
    • /
    • pp.57-6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WMS를 이용하여 소유역 분할에 따른 수문지형정보의 변화와 강우-유출모의를 통한 효과적인 분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대상유역은 금강수계의 미호천 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유역의 분할 방법은 유역면적, 하천경사, 하천연장에 대하여 분할하였다. 소유역 분할 방법에 대한 유역의 수문학적 적용은 Clark 단위도법, SCS 무차원단위도법, Snyder 단위도법으로 실제 관측수문곡선과 비교하였다. 적용결과 유역면적에 의해 5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할 경우에 SCS 단위도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났으며, 본 연구는 미호천유역의 유출변동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SCS 방법 적용을 위한 선행토양함수조건의 재설정: 1. SCS 방법 검토 및 적용상 문제점 (Revised AMC for the Application of SCS Method: 1. Review of SCS Method and Problems in Its Application)

  • 박정훈;유철상;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11호
    • /
    • pp.955-962
    • /
    • 2005
  • 선행함수조건(AMC)에 따라 유출용적이 매우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의 강우-유출 해석에는 그 적용성에 대한 평가 없이 미국에서 개발된 AMC조건(SCS, 1972)이 일반적으로 그대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CS의 CN 결정과정을 그대로 따라 평창강 유역의 장평 소유역에 대해 CN 값을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AMC 조건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CN(I), CN(II), CN(III)가 각각 72.1, 79.3, 76.7로 추정되었다. CN(II)의 경우는 기존 보고서와 유사한 값을 보여주고 있으나 나머지 값의 경우는 이론적인 값과 매우 동떨어진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CN의 평가만으로 AMC 조건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것은 어려우며, 오히려 AMC 조건의 발생 빈도를 검토하여 AMC 조건의 적절성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도 AMC 조건별로 호우사상의 발생빈도를 히스토그램으로 작성/비교하였으며, AMC-III 조건은 상향될 필요가, 반대로 AMC-I 조건은 하향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동주택단지 커뮤니티 디자인을 위한 거주자 행태연구 (Users' Behavior Study for the Community Design in Apartment Housing)

  • 강혜경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9-8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thods for the community design through users' behavior study in apartment housing. This study was approached by using both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empirical researc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actualized the concept of community design in apartment housing through a literature survey. The empirical survey focused on seeking out a user-oriented design criteria based on the analysis of residents' usage behavior and mental ma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regarding the analysis of the residents' attitude toward the share community space(SCS), it was found that the SCS made a sense as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 Second, regarding the SCS through the metal map, it was shown that the sketch map analysis was a useful research method for the community design by actualizing the residents' behavior characteristics. Third. as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tal map, it was found that the considered characteristics in recognition of the SCS were related to the liking with the main paths, cross nodes of the moving line, the location of center. and the complexity. In conclusion, the SCS is the main of community design in apartment housing and the above characteristics in recognition are useful as the guidelines in the SCS planning.

  • PDF

소유역의 지하수함양율 추정기법 (Estimation Methods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in Small Basin)

  • 박재성;김경호;전민우;김지수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6-86
    • /
    • 1999
  • 지하수 수요예측과 개발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지하수 함양율을 적절히 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정리 일원의 소유역을 선정하고 이 유역에 대해서 지하수 함양량 추정기법중 물수지분석법. SCS-CN 방법. 지하수위 강하곡선법 및 유출수문곡선법으로 함양율을 추정하였다. 물수지분석법과 SCS-CN 방법에서는 청주기상대의 10년 강우자료가 이용되었다. 지하수강하곡선법을 위해서는 1997년 한해 동안 3개의 관측정으로부터 얻은 지하수위자료를 이용하였고, 유출수문곡선법 적용시에는 3개년도의 수위.유량곡선자료가 이용되었다. 각 방법에 의한 함양율은 물수지분석법이 19%. SCS-CN 방법이 12.95%, 지하수강하곡선법이 16.5%. 그리고 유출수문곡선법이 10.9% 정도의 결과값을 보였다. 상기 방법들에 의해 계산된 이 유역의 지하수 평균함양율은 14.84%이었다.

  • PDF

강우 시간분포를 고려한 설계홍수량산정 (Estimation of Design Flood Considering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 박재현;안상진;함창학;최민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91-1195
    • /
    • 2006
  • Now days, heavy storm occur to be continue. It is hard to use before frequency based on flood discharge for decision that design water pocket structure. We need to estimation of frequency based on flood discharge on the important basin likely city or basin that damage caused by flood recurrence. In this paper flood discharge calculated by Clark watershed method and SCS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 about upside during each minute of among time distribution method of rainfall, Huff method choosing Bocheong Stream basin that is representative basin of International Hydrologic Project (IHP) about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that exert big effect at flood discharge estimate to research target basin because of and the result is as following. Relation between probability flood discharge that is calcula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bout flood discharge data and rainfall - runoff that is calculated through outward flow model was assumed about $48.1{\sim}95.9%$ in the case of $55.8{\sim}104.0%$, SCS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 in case of Clark watershed method, and Clark watershed method has big value overly in case of than SCS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 in case of basin that see, but branch of except appeared little more similarly with frequency flood discharge that calculate using survey data. In the case of Critical duration, could know that change is big area of basin is decrescent. When decide time distribution type of rainfall, apply upside during most Huff 1-ST because heavy rain phenomenon of upsides appears by the most things during result 1-ST about observation recording of target area about Huff method to be method to use most in business, but maximum value of peak flood discharge appeared on Huff 3-RD too in the case of upside, SCS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 during Huff 3-RD incidental of this research and case of Clark watershed method. That is, in the case of Huff method, latitude is decide that it is decision method of reasonable design floods that calculate applying during all $1-ST{\sim}4-TH$.

  • PDF

정밀토양도를 이용한 유효강우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ffective Precipitation using Detailed Soil Map)

  • 김경탁;최윤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5
    • /
    • 2004
  • 유역의 유출량을 계산하는 유출모의를 위해서는 직접유출에 기여하는 강우량인 유효강우량을 산정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SCS CN방법을 이용하여 유효강우량을 산청하기 위해 필요한 유역의 지형자료와 토지피복도 및 토양도 중 정밀토양도의 이용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정밀토양도를 SCS CN방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SCS 수문학적 토양군으로의 재분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밀토양도를 SCS의 수문학적 토양군으로 분류할 때 허기술과 정정화(1987)의 분류기준과 정정화 등(1995)의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유출모의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대상유역은 IHP 시범유역인 위천 유역과 평창강 유역을 선정하였다. 유출모의는 HEC-1을 이용하였으며 지형인자의 계산은 WMS v6.1을 사용하였다. 대상유역에 대하여 유출모의를 수행한 결과 정밀토양도의 분류방법에 따른 유출모의 결과의 차이는 유역에 따라서 달리 나타날 수 있으나, 정정화 등(1995)이 제시한 기준에 의해서 분류된 정밀토양도를 이용할 경우 대상유역으로 선정한 두 지역에서 모두 실측치에 좀더 근접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