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 DUNE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33초

Capillary Hysteresis Model in Unsaturated Flow : State of the Art

  • Park, Chan-Kun;Sonu, Jun-Ho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4권
    • /
    • pp.33-49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existing hysteresis models and to discuss a possibility of a new type of the hysteresis model. The existing hysteresis model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interpolation model, the scaling model and the domain model, of which only domain model is to simulate hysteresis curves based on the theoretical approach, It is useful to develop a hysteresis model that requires only one branch of hysteresis curves for the model calibration because obtaining hysteresis curves by experiments is expensive and time-concept by many investigators, however their models are not successful to accurately simulate real data of Rubicon Sandy Loam and Dune S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new model is based on the dependent domain concept considering the weighting factor, $P_a$($\theta$), which accounts for the pore blockage effect against air entry. Conclusively, a new model where the weighting factor $P_a$($\theta$) in Model III-1 (Mualem, 1984) reduces to a known variable through an appropriate method is an alternative model which required only one branch of main curves for the model calibration.

  • PDF

仁川 近海 島嶼地域의 海岸植物 群落에 따른 細胞性 粘菌의 出現과 分布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Cellular Slime Molds in Relation to the Coastal Plant Communities of Islands near Inch`on)

  • Hong, Jeong-Soo;Nam-Kee Cha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4호
    • /
    • pp.457-467
    • /
    • 1991
  •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the celluar slime molds in relation to the coastal plant communities of svven islands near inch'on wereinvestigated. as a results, total seven species were isolated from the soils of the coastal plant communities. These are dictyostelium mucoroides, polysphodylium pallidum, dictystelium polycephalum. d. mucoroides was the most commonly found in the coastal plant communities investigated, and was dominant pecularly in the coastal mixed forests, the coastal broad-leaved forests and salt marshes. In the coastal coniferous forest and the coastal dune sand plants, hoeever, p. violaceum was the dominant species. species diversity was relatively was relatively high in the coastal coniferous ferests and the coastal mixed forests. However, agerage number of species isolated from all plant communities was very low,2.8.

  • PDF

태안해안국립공원 해안지형과 지질 자원의 분포 현황과 특성 (A Status of Distributions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form Resources in Taeanhaean National Park)

  • 서종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97-106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in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to ensure they are well-preserved. This study discovered 390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form resources distributed in the coastal zone of Taeanhaean National Park. Representativ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forms include : sea cliffs, sea caves, wave-cut platforms, sea-stacks, pebble beaches, sand beaches, tidal flats, coastal dunes, coastal dune wetlands and folds (or micro folds) landforms. Deposition landforms are developed more and erosion and weathering landforms are less on the land zone than island zone. These landform resources vary from district to district and can be developed for geo-tourism resources. Combined efforts from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authorities and residents are essential to manage ecological programs using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resources.

함평만 갯벌의 모래 퇴적물로 인한 염습지 식물의 공간적 변이 (Spatial Variations of Salt Marsh Plants Induced by Sandy Sediment in Hampyeong Tidal Flat)

  • 홍민기;이재연;박정수;이효혜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4호
    • /
    • pp.247-258
    • /
    • 2022
  • 함평만은 좁은 만 입구와 복잡한 지형 구조로 인하여 비대칭적인 퇴적물 이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갯벌의 저질에는 모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모래화 갯벌은 염습지 식생 분포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현존식생도와 식생단면도 조사를 통해 분석되었다. 2016년과 2022년의 식생면적 비교에서 절대염생식물인 해홍나물군락은 74% 감소하였다. 반면 임의염생식물인 갯잔디군락은 75% 증가하였다. 특히 갯잔디는 지하경과 줄기의 밀도가 높게 발달하여, 군락 내 모래와 같은 퇴적물을 가둬서 견고한 사구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함평만 갯벌의 효과적인 자연보전 관리 계획 수립을 위하여, 갯벌 토성 변화와 식생 군집의 상호작용이 향후 갯벌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Geographic Genetic Contour of a Ground Beetle, Scarites aterrimus (Coleoptera: Carabidae) on the Basis of Mitochondrial DNA Sequence

  • Wang, Ah-Rha;Kim, Min-Jee;Cho, Young-Bok;Wan, Xinlong;Kim, Ik-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2권2호
    • /
    • pp.65-74
    • /
    • 2011
  • The Scarites aterrimus (Coleoptera: Carabidae), is one of the carabid beetles dwelling exclusively on coastal sandy dunes. Habitat deterioration and equivalent activity have greatly concerned population declines in several species dwelling on the coastal sandy dunes. As a first step to establish long-term conservation strategy, we investigated the nation-wide magnitude and nature of genetic diversity of the species. As a first step, we sequenced a portion of mitochondrial COI gene, corresponding to "DNA Barcode" region (658 bp) from a total of 24 S. aterrimus individuals collected over nine sandy dunes belonging to four Korean provinces. The sequence analysis evidenced moderate to low magnitude of sequence diversity compared with other insect species distributed in Korean peninsula (0.152% to 0.912%). The presence of closely related haplotypes and relatively high gene flow estimate collectively suggest that there had been no historical barriers that bolster genetic subdivision. Population decline was postulated on the basis of several missing haplotypes that are well found in the species with a large population size. This interpretation is consistent with field observation of small population size in the coastal sandy dune habitats. The highest genetic diversity estimates were found in the coastal sand dune population of Seogwipo, Jeju Island, justifying a prior attention to the population, in order to sustain overall genetic diversity of the species. Further scrutinized study might be required for further robust conclusion.

한국 서·남해안 연안생태계의 염생식물군락과 염생식물상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lophyte vegetation and halophyte flora characteristics of coastal ecosystem in the West and South coasts in Korea)

  • 박지원;김의주;이정민;김윤서;박여빈;박재훈;김세희;조경미;최윤경;서지현;서주현;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2-81
    • /
    • 2024
  • 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되어 있어 염습지와 이에 인접한 해안사구가 발달되어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서·남해안의 염습지와 사구에서 나타나는 염생식물의 군집과 식물상의 특성을 48개 지소의 571 식분에서 조사하고, 분석하여 연안 생태계의 특성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염습지에 분포하는 식물군락은 39개이었으며, 갈대군락의 분포면적이 가장 넓었고, 버들명아주군락이 가장 좁았다. 나문재군락이 해안선으로부터 가장 근접하여 분포하였고, 해홍나물군락이 해양쪽으로 가장 멀리까지 분포하였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군락은 29개이었으며, 갯그령군락의 분포면적이 가장 넓었고, 수송나물군락이 가장 좁았고, 갯메꽃군락이 해안선으로부터 가장 근접하여 분포하였고, 해당화군락이 내륙쪽으로 가장 멀리까지 분포하였다. 염습지의 식물상은 6과 14속 17종 1변종 18분류군 이였으며(식물구계학적 점수; 16점), 해안사구는 11과 18속 20종 1변종 21분류군(식물구계학적 점수; 34점)으로 해안사구가 염습지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서남해의 연안에서는 해안사구가 염습지보다 해수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염도에 약한 식물도 생육할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태안해안국립공원 방문객의 경관인식 파악 - 꽃지해수욕장·신두리해안사구·만리포해수욕장을 대상으로 - (Identifying Landscape Perceptions of Visitors' to the Taean Coast National Park Using Social Media Data - Focused on Kkotji Beach, Sinduri Coastal Sand Dune, and Manlipo Beach -)

  • 이성희;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10-21
    • /
    • 2018
  • 실제 이용자의 경험을 파악하는 것은 경관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관점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이점에서 착안하여 블로그 글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올린 글을 바탕으로 그 안에 담긴 경관인식을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태안해안국립공원으로 하였다. '태안 여행'으로 검색하여 나타난 장소는 대부분 태안해안국립공원에 해당되는 곳이었고, 도출된 장소 중 상위 세 곳을 대상으로 에고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고, 각 장소 명칭과 연결된 경관인식에 관련한 키워드(장소, 이미지, 활동, 경관대상물)를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심성 분석과 응집성 분석을 통해 각 장소에 대한 사람들의 경관인식과 주요이슈를 도출하고 의미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태안 여행에서 인지되는 주요 장소, 그리고 구체적인 장소에서의 개별적인 경관체험과 경관인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꽃지해수욕장은 장소 관련 키워드가, 신두리해안사구는 경관이미지에 대한 키워드가, 그리고 만리포해수욕장은 경관요소와 관련된 키워드가 주로 나타나고 있어, 방문객이 인식하는 세 장소의 경관 특성이 상이함을 유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꽃지해수욕장은 일몰경관 감상의 명소이자 태안해안국립공원 트래킹 코스의 거점으로서 인식되고 있으며, 신두리해안사구는 비일상적 경관을 보유한 곳이자 생태적으로 가치가 높은 공간으로 보존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만리포해수욕장은 천리포수목원과 인접하고 있어 높은 방문이 이루어지며, 해변 자체의 모습이 인상적인 곳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소셜미디어 데이터는 이용자 관점에서의 분석자료이므로, 전문가의 관점에서 미처 보지 못했던 다양한 내용을 분석할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인식 연구에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관대상, 경관이미지, 활동 등의 여러 내용을 종합하여 사람들이 어떻게 경관을 인식하고 향유하는지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다만 소셜미디어 데이터는 작성자의 기억과 인식이 증폭되거나 왜곡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추후 현장에서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태안에서 서식하는 사구식물 4종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our Kinds of Sand Dune Plants Living in Taean, Korea)

  • 김순석;차현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1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사구식물인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 모래지치(Messerschmidia sibirica),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해당화(Rosa rugosa)의 잎과 줄기의 methanol 추출물에서 측정한 총 폴리페놀 함량은 해당화(110.20 mg/g)가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순비기나무(38.07 mg/g)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조플라보노이드)을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DPPH, ABTS, FRAP assay로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총 폴리페놀 / 플라보노이드 함량 (TFC/TPC) 비와 항산화능, 두 요인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TFC/TPC 비율이 매우 높았던 순비기 나무의 잎과 줄기는 항산화능 실험에서 대조군인 ascorbic acid 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장 낮았던 해당화 잎이 DPPH, ABTS assay에서 가장 항산화능이 높았고, FRAP assay에서 모래지치 줄기가 가장 뛰어났다. 위 결과에서 항산화활성과 TFC/TPC 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점을 확인하여 TFC/TPC의 값이 직접적으로 항산화능에 기여 한다고 판단된다.

Landsat 위성영상을 활용한 낙동강 삼각주 연안사주의 면적 시계열 분석 (Time Series Analysis of Area of Deltaic Barrier Island in Nakdong River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

  • 이슬기;양미희;이창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57-469
    • /
    • 2016
  • 낙동강 하구역은 과거 30여 년 간 하구둑, 산업단지, 항구 등의 건설로 인해 인위적인 영향을 받아왔다. 낙동강의 이러한 변화는 연안사주의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환경적인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낙동강 하구의 변화를 관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1984년부터 2015년까지 Landsat TM, ETM+ 영상을 기반으로 낙동강 하구의 연안사주의 지형의 면적변화를 관측하고자 한다. 또한, 조위에 따라 현재 존재하고 있는 사주 하부의 사질퇴적물이 나타나는 면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사주 하부에 축적된 사질 퇴적물의 높이와 양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사구의 지형변화를 예측하는데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1년간의 Landsat 영상을 기반으로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한 조위 값을 이용하여 조위에 따른 하구역 지형의 면적변화를 연구하였다. 1지역은 3,015 m2 , 2지역은 167,550 m2 , 3지역은 14,596 m2만큼의 평균 면적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계산되었다. 이 결과는 낙동강 퇴적물의 지속적인 변화를 관측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예열 및 cut-heat 온도와 입자의 크기에 따른 천리포 해안사구 퇴적층의 OSL 연대측정 비교 (Age comparisons of coastal sand dune stratum in Chollipo, Korea by altering preheat and cut-heat, and grain size distributions by OSL dating)

  • 방준환;김기동;음철헌
    • 분석과학
    • /
    • 제22권1호
    • /
    • pp.51-56
    • /
    • 2009
  • 천리포 해안사구 퇴적층에 대한 연대측정을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을 이용하여 Single Aliquot Regeneration (SAR) 법 중 열처리 조건을 일부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예열과 cut-heat을 각각 $260^{\circ}C$ 10 초 $-220^{\circ}C$ 0 초와 $270^{\circ}C$ 10 초 $-270^{\circ}C$ 10 초의 두 가지 조합을 적용하였다. 예열 및 cutheat의 열처리 과정을 변화시킴으로써 원하는 신호만을 선별하는 것이 가능했으며, 이를 등가선량을 구하는데 이용하였다. 또한 시료를 $75{\mu}m$, $150{\mu}m$, $200{\mu}m$의 표준체로 크기를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열처리 조건의 변화와 입자의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등가선량이 다르게 측정되어 다른 연대가 산출되었다. 그 결과는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에 의한 연대와 비교하였다.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다른 연대가 산출된 것으로 미루어 천리포 해안사구 퇴적지층은 토양의 유입원이 혼합되어 구성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