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B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Aero-Optical Diagnostic Technique for the Hypersonic Boundary Layer Transition on a Flat Plate

  • Li, Ruiqu;Gong, Jian;Bi, Zhixian;Ma, Hand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제2권2호
    • /
    • pp.6-9
    • /
    • 2015
  • A new cross disciplinary conception of transitional aero-optics is built up during analyzing and measuring the linkage between the hypersonic boundary layer transition on a flat plate and the jittering characteristics of the small-aperture beam through that boundary layer. Based on that conception, the Small-Aperture Beam Technique (SABT) and high-speed Imaging Camera System (ICS) used in aero-optical studies are considered as new techniques for the assessment of the hypersonic transition in the boundary layer on a flat plate. In the FD-20 gun tunnel, for the free stream parameters with Mach number of 8 and unit Reynolds number of $1{\times}10^7$ (1/m), those two optical techniques are used to measure the jitter of the small-aperture beam. At the same free stream parameters, the distribution of the heat transfer along the centerline of the flat plate is also measured by the thin film resistance gauge technique. The results show the similarity of the increase trend between the heat transfer and the jitter of the small-aperture beam in the transitional region. It helps us to surmise that it may be feasible to diagnose the transition in a hypersonic boundary layer on a flat plate by means of those above optical techniques.

패킷 손실률에 기반한 효율적인 TCP Buffer Tuning 알고리즘 (An Efficient TCP Buffer Tuning Algorithm based on Packet Loss Ratio(TBT-PLR))

  • 류기철;김동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1호
    • /
    • pp.121-128
    • /
    • 2005
  • 기존 TCP 기술은 송${\cdot}$수신측에 각각 고정된 크기의 버퍼를 할당하기 때문에 높은 대역폭(High-Bandwidth) 및 큰 전송지연(High Delay)을 가진 통신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종단간의 TCP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해 통신망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TCP 버퍼를 조절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ATBT(Automatic TCP Buffer Tuning)에서 송신측은 현재의 혼잡 제어 윈도우(CWND)의 값에 따라 송신 버퍼 크기를 조절하고 수신측은 운영체제가 정해ens 최대 크기의 TCP 버퍼 값으로 수신 버퍼 크기를 고정한다. DRS(Dynamic Right Sizing) 에서는 이전에 수신한 TCP 데이터의 두 배를 현재 송신할 TCP 데이터라고 예측함으써, TCP 수신측은 단순히 이에 따라 수신 버퍼 크기를 동적으로 변화시킨다. 그렇지만 TCP 세그먼트의 손실 가능성으로 인해 정확히 두 배로 버퍼 크기를 변화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우리가 제안한 패킷 손실률에 기반한 효율적인 TCP 버퍼 조절 알고리즘(TBT-PLR:TCP Buffer Tuning Algorithm based on Packet Loss Ratio)은 TCP 송신측에는 ATBT 방법을 TCP 수신측에는 TBT-PLR 방법을 적용하였다. 실제 TCP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리눅스 커널 2.4.18을 수정하여 구현하였으며 기존의 고정된 크기의 TCP 버퍼를 가진 경우와 버퍼 크기가 동적으로 변하는 TBT-PLR을 적용한 경우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TCP 연결들간의 균형있는 메모리 사용으로 인해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