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al Landscape Character Area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5초

Conservation of Satoyama Landscapes for the Restoration of Ecological Integrity of Urban Area in Japan

  • Yokohari, Makoto;Kurita, Hideharu;Amati, Marc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1호
    • /
    • pp.43-52
    • /
    • 2001
  • One of the major environmental issues Japanese cities is now facing with is the conservation of seminatural landscapes for the restoration of ecological integrity of urban areas. The satoyama landscape, which includes coppice woodlands, agricultural areas and rural settlements, is seen as an indispensable semi-natural landscape, formed as a result of man-nature interaction. However, because of the loss of the economic viability they are now abandoned and in the process of losing their ecological values. Today a number of local municipalities as well as NPO groups are involved in the conservation projects of these landscapes. Although satoyama landscapes are commonly believed to have maintained their character over the years, historical studies have revealed that these landscapes have experienced constant and dynamic changes due to a variation in human impacts. It is therefore understood that the conservation projects on satoyama landscapes should not intend to restore their past condition, but should wet the goal of maintaining their dynamic character by promoting ecological roles which the landscapes may play in the contemporary world. EXPO2005 project in Aichi Prefecture is a good example of a development project underway on satoyama landscapes which intend to conserve the landscapes by stimulating contemporary ecological for them. In EXPO2005 project the key issue was the conservation of semi-natural landscapes formed by constant and intensive human impacts over the centuries and thus allowing endemic and endangered species to be accommodated. The planning team proposed a scheme to restore economic viability of satoyama landscapes. The scheme involves re-introducing intensive human impacts through a new management system with an innovative technology. This may restore the economic viability of lumbers provided form satoyama woodlands. EXPO2005 is understood as a model case which stimulates contemporary ecological functions of satoyama landscapes by applying innovative planning concepts.

  • PDF

농촌정주생활권내의 마을 비보숲의 실태에 관한 연구 - 전북 진안군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roves for making enclosed Village in Rural Human Settlement Circle)

  • 박재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52-161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mained real state of groves of enclosed village in human settlement circle. That was practiced in case of Chinan-Gun region which traditional elements had well been conservated. 48 village groves were found by site survey, reference and interview in Chinan-Gun region. 27 groves of 48 village groves were clarified as complementing village grove by classification of grove character. It was identified through survey that many were partially destructed by development and human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general, socio-behavior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forest state and vegetation structure of complementing village groves. Length, area, form, type, motive, location, relationship of those were analyz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Facilities, human behavior and ownership of those were analyzed to identify socio-behavoral characteristics. Dominent species, appearing rate, height, width, density and biodiversity of upper trees were analyzed to identify forest state and vegetation structure. Interrelation of each factor were analiged and comparative review with previous studies was achieved.

  • PDF

진안지역 마을 숲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llage Groves in Chinan-Gun Region, Korea)

  • 박재철
    • 농촌계획
    • /
    • 제5권1호
    • /
    • pp.56-6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mained real state of the village groves in human settlement circle. That was practiced in case of Chinan-Gun region which traditional elements had well been conserved. 33 village groves were found by site survey, reference and interview in Chinan-Gun region. 31 of 51 village groves were clarified as complementing village grove by classification of grove character. It was identified through survey that many were partially destructed by development and human over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general, socio-behavior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forest state and vegetation structure of village groves in Chinan-Gun region. Length, area, form, type, motive, location, relationship of those were analyz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Facilities, human behavior and ownership of those were analyzed to identify socio-behavioral characteristics. Principal dominant species and appearing rate, height, width, density of those, species diversity of groves were analyzed to identify forest state and vegetation structure. Inte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were analyzed and comparative review with previous studies was achieved.

  • PDF

중국 한단시 자연성지 내 노거수의 특성과 관리방안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of Old Big Trees in the Sacred Natural Sites of Handan City, China)

  • 석소정;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5-45
    • /
    • 2023
  • 첫째, 본 연구는 지역 원림국이 집계한 한단시 노거수의 수종과 수령 등 기본 정보를 결합해 노거수의 공간적 분포 특징을 ArcGIS 그림으로 분석하였다. 수종의 유형, 수령분포, 소유권 현황, 성장세 및 다양성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통계적으로 콩나무과의 회화나무속, 아카시아속, 쥐엄나무속, 자귀나무속이 다수의 비중을 차지하였고, 이중 회화나무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회화나무는 한단시 각 현 및 구에 이르기까지 널리 또한 집중적으로 군락을 이루어 분포되어 있었다. 수령 및 분포를 보면 1000년 이상의 노거수는 회화나무, 느티나무, 향나무, 산뽕나무, 황단나무, 쥐엄나무, 황련목, 측백나무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각 유형의 노거수 현황에서 발견한 바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노거수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 한단시 노거수보호 관리 체계, 보호 관리 과정 및 보호 관리 이점을 연구하여 자연성지 보호 관리에서 한단시 노거수의 역할을 분석하여, 노거수의 보호는 주로 지역사회를 주체로 하는 문화, 신앙적 보호형태를 보이며 보호상태는 성장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현재 노거수 보호의 핵심 동력은 주로 노거수에 대한 숭배이다. 그 신성함을 노거수에 기탁하여 자연이 노거수에 부여한 자연적 성품을 사회 활동의 지도의식으로 승화시켜 자연의 '미(美)'와 인격의 '선(善)'이 잘 결합되어 있다. 노거수의 보호 상태는 주변 환경과의 상호 작용 정도 및 여러 문화 및 주체의 참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장기간의 노거수 성장 과정에서 점차 주변 환경과 지속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상향식 및 하향식의 교차 지역, 다문화 및 다중 주체가 참여하는 '자연-문화-경관' 시스템이 자발적으로 구축되는 과정에서 노거수를 중심으로 자연성지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중국은 노거수보호와 회복 조치를 중점으로 하였지만, 노거수 자원의 관리 과정에서 노거수에 대한 역사, 문화적 가치, 식물 다양성 의의 및 사회적 가치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부족하여 보호 관리시스템이 허술하다. 공간의 지역적 특징, 재산권 및 보호 상 특징, 가치상 특징의 세 가지 지표는 한단시 노거수의 자연성지 평가에 있어서 노거수를 중심으로 하여 자발적으로 형성 중인 자연성지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전통 의식 관리, 자원 보호 실천, 신앙 체계 구축, 생명공동체 가치 실현 면에서 높은 가치가 있다. 이들을 장기간 보호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관리 체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넷째, 현재 중국에서는 보호 구역에 대한 인식이 아직 성숙하지 않아 '자연성지'는 자연보호구역 체계가 구축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연구 내용으로 다루어야 한다. 상향식 지역사회 참여를 주체로 하는 자연성지 관리 형태는 현재 중국의 하향식 자연보호구역 관리 유형에 대한 강력한 보완이다. 이를 기초로 하여 노거수 보호를 자연보호구역 체계에서 천연기념물이라는 자연보호구역 형태에 포함해야 한다. 또한 자연보호구역 주변 지역 주민도 생물 다양성 보전의 주체 중 하나가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