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dimentary embryo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3초

Rapid in vitro Germination of Zygotic Embryos via Endosperm Removal in Eleutherococcus senticosus

  • You Xiang-Ling;Choi Yong-Eui;Yi Jae-Seo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75-80
    • /
    • 2005
  • Eleutherococcus senticosus (also called Acanthopanax senticosus), belonging to Araliaceae family,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medicinal woody plant. Mature seed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have rudimentary (extremely immature) zygotic embryos and require a long-term stratification for about 18 months to induce germination. Here, through the methods of endosperm removal and other exogenous treatments, we investigated the factors for inducing rudimentary embryos by in vitro culture, Rudimentary zygotic embryos in seeds were at globular to heart-shaped stage at about $250{\mu}m$ in length just after harvest of fruits. When the seeds without testa were cultured on 1/2 MS (Murashige and Skoog 1962) medium, they did not germinate regardless of medium and sucrose concentrations but the removal of endosperm tissue markedly stimulated the growth of rudimentary zygotic embryos. The embryo reached ear-lier maturation, once when the endosperm surrounding the rudimentary embryos was removed. Rudimentary zygotic embryos developed cotyledons within 3 weeks of culture after endosperm emoval. However, post-mature zygotic embryos failed to germinate though they were morphologically normal, indicating another dormancy of embryos. $GA_3\;(2.0\;\cal{mg/L})$ and/or charcoal ($0.2\%$) treatment rapidly enhanced the germination of zygotic embryo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 senticosus seeds have double dormancy; i. e. morphological rudimentary dormancy influenced by surrounding endosperm and physiological dormancy after post-maturation of zygotic embryo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we established the rapid germination of rudimentary zygotic embryos by in vitro culture of excised seeds with endosperm removal and $GA_3$ treatment.

자생 관상용 Heloniopsis와 Thalictrum속 종자의 형태적 및 형태생리적 휴면 (Morphological and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in Seeds of Two Genera (Heloniopsis and Thalictrum) Native to Korea)

  • 이승연;이용하;정현환;김기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310-317
    • /
    • 2014
  • 많은 백합과, 미나리아재비과 식물들의 종자들은 모식물체에서 미숙배를 가지고 탈리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종자들은 형태적 또는 형태생리적 휴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몇 가지 자생 관상용 Helopniopsis, Thalictrum속 식물의 형태적 종자휴면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백합과의 처녀치마와 숙은처녀치마, 미나리아재비과의 금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및 연잎꿩의다리 종자의 배의 형태와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 다섯 종 모두 미숙배 종자였다. 백합과의 처녀치마와 숙은처녀치마는 미발달형 배를 가지고 있었다. 미나리아재비과의 꿩의다리 세 종은 모두 미발달형과 직선형의 중간형태로 판단되었다. 연구된 다섯 종 모두 유근이 돌출하기 전에 배가 일정 크기까지 신장하였다. 백합과의 처녀치마와 숙은처녀치마는 30일 동안 각각 22.7%, 40.7% 정도가 발아한 반면, 미나리아재비과의 금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및 연잎꿩의다리는 각각 12.5%, 3.3% 및 0%가 발아하였다. 따라서 처녀치마와 숙은처녀치마의 종자는 각각 약 78%, 60%정도가 형태생리적 휴면을 보였고, 금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및 연잎꿩의다리는 각각 약 87%, 96% 및 100%가 형태 생리적 휴면을 보였다. 한 종 내에서도 형태적 휴면과 형태 생리적 휴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미숙배가 발아 지연의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이 결과들은 추후 한반도 자생식물의 형태학적 종자휴면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