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bus idaeus (Raspberry) fruit extract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6초

n-Hexane 및 Ethyl Acetate를 이용한 Willamette 품종 라즈베리추출물의 페놀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효능 연구 (Studies on the 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nt Efficacy of Rubus idaeus (Raspberry) Cultivar 'Willamette' Fruit Extract Using n-Hexane and Ethyl Acetate)

  • 박규근;윤여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29-337
    • /
    • 2020
  • 본 연구는 willamette 품종의 동결건조라즈베리분말, n-hexane 및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라즈베리 추출물(Rubus idaeus (Raspberry) fruit extract, RIFE)을 제조한 다음 페놀 화합물 함량, 철 이온 환원능력, 그리고 라디칼 소거 능력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Willamette 품종 라즈베리추출물은 10% 농도까지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해당 농도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375.3 ppm,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3.46 ppm이 포함된 것을 확인하였고,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reagent를 이용한 철 이온 환원능력은 FeSO4 0.532 mM에 해당하는 환원능력을 가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항산화 소재의 대표적 원료인 L-ascorbic acid와 비교하는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1-diphenyl- 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은 94.5 ± 0.7%를 나타냈고,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라디칼 소거능은 99.4 ± 2.82%를 나타냈으며, nitric oxide (NO) 라디칼소거능은 88.5 ± 0.4%를 나타냈다. 표준인 L-ascorbic acid 용액과 비교할 때 25 - 50 ppm 사이의 효능을 지닌 DPPH 라디칼 소거능 / 100 ppm에 근접한 효능을 지닌 ABTS 라디칼 소거능 / 1,000 ppm 이상의 효능을 지닌 NO 라디칼 소거능을 가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willamette 품종 라즈베리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효과적인 화장품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