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bber Roller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7초

플라스틱 직물 코팅재료에 관한 연구 (Study on Plastic Fiber Coating Materials)

  • 김동학;김태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42-46
    • /
    • 2003
  • 섬유 코팅제로 널리 쓰이고 있는 액상 PVC는 여러 가지 특성 중 무광택 효과가 뛰어나지만 코팅된 섬유 표면의 유연성이 감소된다. 이런 결함을 대체할 수 코팅 물질로 Elastomer계열의 액상 실리콘 고무를 사용했다. 기존 액상 PVC공정과 동일하게 진행했으며, 로울러의 압축력과 공정상의 예비경화를 이용했다. 실험 결과 액상 PVC로 코팅된 직물의 경도는 70E, 인장강도는 10.3 MPa, 신율은 200%로 측정되었다. 액상 실리콘 고무로 코팅된 직물의 경도는 40도, 인장강도는 5.1 MPa, 신율은 460%,였다. 따라서 액상 실리콘 고무 코팅은 3차 가공 없이 액상 PVC 코팅보다 플라스틱 직물 표면의 무광택성과 유연성을 증가시켰다.

  • PDF

심폐바이패스 롤러펌프에 의한 튜브 마모 및 폐쇄 (Tubing Wear and Spallation Induced by Roller pumps in Cardiopulmonary Bypass)

  • 김원곤;성기익;윤철용;신윤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09-616
    • /
    • 1999
  • 심폐바이패스시 발생할 수 있는 튜브 마모 및 파쇄는 롤러펌프의 반복되는 압박에 의해 롤러펌프에 장착된 튜브 내벽에 균열이 생기고 이로 인해 미세한 비생물적 조각들이 혈액중으로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말하는데, 임상적으로 치명적인 색전증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롤러펌프 튜브로 사용되는 PVC 및 실리콘 튜브 중 어느 쪽이 마모 및 파쇄 관점에서 더 우수한지는 체계적으로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두 종류의 튜브를각각 일정 기간 롤러펌프에 장착하여 작동시킨 뒤 튜브내외면을 육안 및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즉 PVC 및 실리콘 튜브 (내경 1/2 인치의)들을 미리 정해진 폐쇄도 조절에 의해 폐쇄 회로 심폐비이패스 롤러펌프 헤드에 장착시키고 4.500ml/min에서 각각 4차례씩 1,2,4,6 시간 작동시켰다. 파쇄에 의한 색전 관찰 실험에서는 회로 중간에 동맥여과기를 설치하고 각각 6,9시간 씩 롤러펌프를 작동시켰다. 실험 후 튜브 및 여과기들을 수거한 후 육안 및 주사형 전자현미경 분석을 시행하였다. 실험후 튜브 및 여과기들을 수거한 후 육안 및 주사형 전자현미경을 분석을 시행하였다. 튜브 외부의 육안 관찰 결과 일반적으로 실라스틱 튜브에서의 외부 마모가 PVC 튜브에 비해 현저하였다. 주사형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PVC 튜브에서의 홈은 좁으면서 경계선이 뚜렷한 특징을 보였고 3시간 이상 롤러와 접촉한 튜브들에게서는 깊은 균열이 간헐적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실라스틱에서의 홈은 좁으면서도 경계선이 뚜렷한 특징을 보였고 3시간 이상 롤러와 접촉한 튜브들에게서는 깊은 균열이 간헐적으로 관찰되었다.반면 실라스틱에서의 튜브들에서는 홈이 상대적으로 넓고 경계가 덜 명확했으며, 특징적으로 V 자 모양의 융기부들이 간헐적으로 관찰되었다. 실라스틱 및 PVC 튜브 모두에서 50u 전후의 Craters 가 간헐적으로 관찰되었다. 여과기의 여과망에 대한 주사형 전자현미경 분석 결과 실라스틱과 PVC 튜브 실험군 모두에서 색전입자로 의심되는조각들이 발견되었으나 두군간 정량적 비교는 어려웠다. 결론적으로 롤러펌프에 의한 튜브 마모 및 파쇄현상은 실리콘 및 PVC 튜브의 재질에 따라 그 양상에는 차이가 있으나 임상적인 측면에서는 어느 쪽도 상대적인 우수성이 입증되지 못하였다.

  • PDF

Field Emission Enhancement by Electric Field Activation in Screen-printed Carbon Nanotube Film

  • Lee, Hyeon-Jae;Lee, Yang-Doo;Cho, Woo-Sung;Kim, Jai-Kyeong;Hwang, Sung-Woo;Ju, Byeong-Kwon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6권4호
    • /
    • pp.45-48
    • /
    • 2005
  • By applying a critical field treatment instead of the conventional surface treatments such as soft rubber roller, ion beam irradiation, adhesive taping, and laser irradiation, electron emission properties of screen-printed carbon nanotubes (CNTs) were enhanced and investigated based on the emission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throug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fter nanotube emitters were activated at the applied electric-field of 2.5 V/um, the electron emission current density with good uniform emission sites reached the value of 2.13 mA/$cm^2$ , which is 400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untreated sample, and the turn-on voltage decreased markedly from 700 to 460 V. In addition, enhancement of the alignment of CNTs to the vertical direction was observed.

뒷채움 시공시의 다짐토압 특성 (Characteristics of Developed Earth Pressure by Backfill Compaction)

  • 노한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63-171
    • /
    • 2001
  • 콘크리트 구조물과 토공의 인접부인 구조물 뒷채움의 구조적 연속성을 위해서는 뒷채움 시공이 중요하다. 뒷채움부의 구조적 연속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양질의 뒷채움재 사용과 대형 진동다짐장비에 의한 정밀다짐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정밀다짐시에 발생하는 과도한 토압에 의해 암거 구조물에 구조적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짐재와 다짐방법을 변화시키면서 2개소의 암거를 건설하였다. 뒷채움재로는 선택층재와 노상토재를 사용하였다. 뒷채움 다짐시에 큰 다짐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대부분의 경우 총중량 11~12톤의 다짐롤러를 2000rpm 에서 2400rpm의 주파수로 적용하였다. 노상토를 사용하여 뒷채움 시공을 하는 경우에는 충격완화재를 설치하여 동적 수평하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충격완화재로는 EPS재와 타이어 칩을 사용한 패널들을 사용하였으며, 뒷채움 시공시에 이들 충격완화재를 암거의 외벽체에 부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암거의 뒷채움 시공시에 발생하는 동적지응력 특성을 기술하였다. 계측 결과, 다짐하중에 의한 수직토압과 수평토압의 크기는 다짐재료, 다짐 측정깊이 및 다짐방법에 의존하고 있었다. 뒷채움 다짐시에는 정적토압계수 보다 큰 동적토압계수$(\DeltaK_{dyn}=\DeltaK\sigma_h\DeltaK\sigma_v)$를 나타내고 있어 동적토압에 의해 암거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충격완화재 EPS(t=10cm)와 고무계(t=5cm)는 암거 벽체에 작용하는 동적 수평토압을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을 알았다.

  • PDF

특정상호작용에 의한 폴리프로필렌/EPDM 블렌드의 상용성 향상 (Miscibility Improvement in PP and EPDM Blends via Introducing Specific Interaction)

  • 조영욱;고진환;이원기;이진국;조원제;하창식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1호
    • /
    • pp.46-52
    • /
    • 2000
  • 폴리프로필렌(PP)과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의 양쪽 성분에 특정 상호 작용기도입에 의한 상용성 향상효과를 연구하였다. PP는 무수말레인산으로 그래프트시켰고(PP-g-MAH), 다른 한 성분으로는 황산화 EPDM 이오노머(ZnSEPDM)를 사용하였다. 브라벤더 혼합기를 이용하여 $200^{\circ}C$에서 블렌딩을 행하였다. 상용성은 FTIR분광기로 분석하였고 또한, 동적기계적 물성으로 분석하였다. FTIR결과 PP-g-MAH 의 카보닐기는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고, ZnSEPDM의 슬폰기는 장파장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ZnSEPDM의 유리전이온도는 그 조성이 70wt.%까지는 증가하다가 70wt.%이상에서 감소하였다. FTIR 스펙트라와 유리전이온도 결과로부터 특정상호작용, 즉 쌍극자-이온 상호작용에 의해 PP-EPDM 사이의 상용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입형이 다른 벼 품종의 도정특성 및 쌀품위 (Milling Characteristics and Milled Rice Quality of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Grain Size Shape)

  • 홍하철;정영평;김태영;손종록;황홍구;최해춘;민용규;김기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1호
    • /
    • pp.46-49
    • /
    • 2003
  • 벼의 품종 및 입형별 최적도정조건을 구명하여 손실량을 최소화하고 고품질 양질쌀을 가공하기 위하여 2000년산 다산벼, 안산벼, 화성벼, 일품벼 및 동안벼의 원료품위, 제품품위, 도정특성, 도정시 소요전력 등을 조사하였다. 수확한 벼의 수분을 15%까지 건조한 후의 천립중은 다산벼가 가장 높은 28.55 g 이었고, 안산벼는 22.92 g으로 가장 낮았다. 벼의 장폭비는 다산벼, 안산벼, 동안벼, 화성벼 및 일품벼가 각각 3.03, 2.36, 2.23, 2.12 및 2.10이었다. 현미 가공시 현미기 고무롤러의 간격을 벼 품종별 두께의 20%, 30%, 40%로 다르게 조절하여 가공한 결과 현미기 고무롤러 간격을 30%로 하여 현미 가공하였을 때가 제현율이 가장 높았다. 실험실용 정미기를 이용하여 현미를 2회 도정시 다산벼는 전체 미강중 91.38%, 화성벼는 88.46%, 동안벼는 74.62%, 일품벼는 73.03%, 안산벼는 70.93%의 미강이 제거되었고, 백미가공이 끝난 후 전품종 평균 백미완전립률은 92.87%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