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yal Bodyguard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고려전기(高麗前期)의 왕실호위 제도의 조직과 기능에 관한 연구: 2군육위(二軍六衛)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 of Security for the Royal Household in the Early Koryo: focused on 2Gun6Wi)

  • 김형중
    • 시큐리티연구
    • /
    • 제36호
    • /
    • pp.139-176
    • /
    • 2013
  • 고려시대는 우리나라의 경호사적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고려전기는 절대왕권이 성립되는 시기로서 국왕과 왕실을 중심으로 하는 공적 경호중심의 호위제도였다면, 고려후기 무신집권기에는 공식적 호위제도인 2군6위는 형식적인 기구에 불과하였고, 무신집권자의 신변호위와 집권체제의 강화를 위한 사적 경호가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고려전기의 호위제도에 한정하여 논의를 전개하는 것도 그 이유 중의 하나이다. 고려전기의 관제상의 호위관련 기관으로서는 내군부(內軍部), 병부(兵部), 중추원(中樞院)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중추원에 대하여는 심도 있게 접근하여 살펴보았다. 한편 고려전기의 병제상의 호위관련 기관으로서는 2군6위와 공학군, 견룡군 등을 들 수 있다. 2군은 응양군과 용호군을 말하며, 국왕의 친위대였다. 특히 2군과 관련하여 논의되고 있는 공학군과 견룡군에 대하여 기존의 학설과는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여 이들의 실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공적호위와 관련하여, 6위 중 금오위는 궁궐 수도 개성의 수비, 순찰 및 포도금란(捕盜禁亂)의 임무외에도 국왕이나 중국사신 등에 대한 호위업무 중 도로에서의 비상사태와 관련하여 도로를 정리하고 선도 호위하는 임무도 수행하였고, 천우위는 궁전에서 대례(大禮), 대조회(大朝會)시에 왕을 시종 시위하는 친위부대였음을 문헌 등을 통하여 고증(考證)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곳곳에 산재(散在)해 있는 호위제도와 관련된 문헌과 연구자료들을 발굴하고 분석 평가하여 전방위적으로 하나의 골격이 형성된 호위제도로서의 기구와 기능을 새롭게 조명해 보았다는 점에 의미를 두어야 할 것 같다.

  • PDF

영조대(英祖代) 대사례의(大射禮儀) 참여자의 복식 유형 고증 (A Study on the Daesarye Ceremony Participants' Dress Style in the Yeong-Jo Era)

  • 이은주;박가영
    • 복식
    • /
    • 제57권2호
    • /
    • pp.100-114
    • /
    • 2007
  • This study reports the dress style of Daesarye ceremony participants in the Yeong-Jo Era. The King Yeong-jo attending the archery practice ceremony wears Ikseonkwan(翼善冠), Golryongpo(袞龍袍), Okdae(玉帶), and Heukpihwa(黑皮靴) while royal family members and officers in the ceremony wear Heukdalryeong(黑團領). Each officer in Sangbok(常服) who shoots arrows wears a ring and a wristlet with an archery case on his waist. King's bodyguards wear Yungbok(戎服) or Sangbok(常服). Especially, Muyaebyeolgam(武藝別監) wears Hong-geon(紅巾) and a green Jikryeong(直領). Yujiang-gun(儀位軍) wear Pirip(皮笠) and Hongjuryi(紅紬衣) while Hyeopryeongun(狹輦軍) and Hyeopryeogun(狹輦軍) wear Hong-geon(紅巾), Hongyui((紅衣), Cheonghaengjeon(靑行纏), Hakchang(鶴雲), Hongmokdae(紅木帶), and Unhye(雲鞋). Gyeonmabae(牽馬陪) wear Hwangchorip(黃草笠) and Hwangyui(黃衣). Seupjeongun(拾箭軍) and Hwaekja(獲子) wear Jageon(紫巾), Jayui(紫衣), and Unhye(雲鞋). Jeonak(典樂) wears Mora- bokdu and Noksayui(綠抄衣), while Ak-kong(樂工) wear Hwahwabokdu, Hongjuyui(紅紬衣), Ojeongdae, and Heukpihwa(黑皮靴). Lastly, Hyeopryulrang(協律郎) wears Heukdalryeong(黑團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