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tterdam Demand Model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냉동 오징어 수요의 수입대체관계 비교 분석 -로테르담모형과 준이상수요체계를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Import Substitution Relations of Frozen Squid Demand -Focused on The Rotterdam Model and The Almost Ideal Demand System-)

  • 우경원;신용민
    • 수산경영론집
    • /
    • 제53권1호
    • /
    • pp.55-72
    • /
    • 2022
  • The domestic catch of squid is decreasing every year. Import volume is increasing to replace these domestic products. Import volume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so it is necessary to study import substitu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fter selecting frozen squid, which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imported squid, as the target fish species, China, Chile and Peru, which account for the majority of frozen squid imports, will be selected as the target countries for analysis. Then, the demand function of squid is estimated using the Rotterdam model, the inverse Rotterdam model, AIDS and inverse AIDS, which are the simultaneous equation demand types, and then elasticity is derived. After that, these models are compared in terms of significance, theoretical fit and practical fit.

수산자원의 가격형성모형의 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oice of Price Formation Models for Fishery Resources)

  • 박환재
    • 수산경영론집
    • /
    • 제44권1호
    • /
    • pp.59-7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grate various models of price formation and let the data choose the most proper model. After the data choose the proper model, one can analyze the price formation process and demand structures for fishery resources under the restriction of Korean fisheries regulations. This study suggests the integrated model including quasi-linear price formation model, Translog price formation model, AIDS price formation model and Lewbel price formation model as level variables. It also suggests another integrated model including AIDS price formation model, Rotterdam price formation model, Latinen-Theil price formation model and Neves price formation model as difference variable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AIDS price formation model is the most preferred in both level and difference variables of fishery resources. The estimated parameters show that all sample species have (-) sign of price flexibilities, thus following the law of demand. The scale flexibilities of all species are estimated as (-) sign, thus being adapted to the theory. The contribution an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model of fishery market demand has been developed and the data can choose the proper model without arbitrary choice of the researcher. Second, the fishery market demand structure could be analyzed in a way different from the ordinary demand analysis, which is based upon price flexibility and scale flexibility. Third, the integrated model for fishery resources can be used easily when catching restrictions are imposed by policies.

네덜란드의 혁신클러스터정책과 시사점 (The Innovation Ecosystem and Implications of the Netherlands.)

  • 김영우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1호
    • /
    • pp.107-127
    • /
    • 2022
  • 본 연구는 네덜란드의 지역별 혁신 클러스터정책을 통해 네덜란드 경제의 성장동인을 찾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농업과 물류중심의 경제구조를 가진 네덜란드는 1990년대 지역 클러스터를 만들면서 첨단 허브 국가로서 역할을 충실하게 해왔고 작은 나라임에도 세계 수출의 7위를 차지하는 등 혁신국가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그 바탕에는 혁신을 위한 체계적인 분석 접근법으로 '지역 혁신 시스템(Rational Innovation System)'의 개념을 도입하고 지역의 특색을 살린 산학연 모델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여기에는 적절한 중앙정부의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적 방향 제시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학연 모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런 점을 종합적으로 살펴 볼 때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혁신 클러스터의 활성화이다. 둘째, Top 9을 중심으로 한 신산업육성정책과 미래산업 전략을 활성화하고 있다. 셋째, 산학연 협력을 구체화하고 있다. 넷째, 스타트업의 창업을 육성하고 있다. 이를 종합하면 네덜란드는 2019년 설립된 TechLeap은 네덜란드의 기술 생태계를 정량화하고 가속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데 자본, 시장 및 인재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니셔티브를 통해 기술 기업이 확장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 네덜란드를 미래의 기술 선도기업들을 위한 보금자리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첨단농업과 물류국가로 알려진 네덜란드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로테르담을 중심으로 하는 물류의 항구에서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식항구(brainport)'로 확장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물류 국가에서 산업화에 성공했지만 최근 지역혁신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중앙정부의 비전 제시와 지역의 특화산업을 연계한 산학연 클러스터 모델이 가장 큰 디딤돌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네덜란드의 혁신정책은 혁신 클러스터 생태계를 중심으로 지역을 개발하고 일자리 창출과 새로운 산업을 위한 투자를 통해 유럽의 '디지털 관문'으로서 역할에 보다 충실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