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otator cuff retear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2초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일열 봉합 수기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Single Row Technique)

  • 박형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155-159
    • /
    • 2007
  • 관절경적 일열 봉합법은 잘 정립된 회전근 개 봉합술로 우수한 임상성적을 보여왔다. 하지만, 수술 후 재파열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다양한 방법들이 술 후 재파열을 줄이기 위하여 시도되어왔다. 일부 연구들에서는 해부학적 회전근 개 부착부를 재건하면 봉합한 회전근 개의 치유 및 초기 역학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하였고, 이열 봉합법이 해부학적 회전근 개 부착부 재건과 봉합부의 강도를 증가 시키고, 간격형성을 감소 시킬 목적으로 소개되었다. 하지만, 재부착된 회전근 개 건의 장력, 봉합된 건의 혈관 형성 등의 생물학적 치유환경이 일렬 봉합법에 비하여 우수함이 아직 입증되지 않았고 수술 후 기능적 개선도 측면에서도 두 봉합술간 차이가 없으므로, 수술 수기가 상대적으로 쉽고, 요구되는 기구 및 내고정물의 추가적 비용이 적어 경제적인 측면에 장점이 있는 일렬 봉합법은 여전히 추천되는 수술수기이다.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봉합술 (Massive Rotator Cuff Tear Repair)

  • 신상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167-174
    • /
    • 2010
  • 목적: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파열단의 내측 퇴축, 근위축 및 지방 변성과 함께 주변 조직과의 유착 등으로 해부학적 봉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본 종설에서는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여러 가지 치료 방법 중 봉합술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임상 결과 향상과 재파열율을 감소시키고 치유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봉합술의 선택은 환자의 나이, 동반 질환, 통증, 운동 범위 감소, 근력 약화 등의 임상 증상 및 재활 의지 등 환자와 관련된 요인과, 회전근 개 파열 기간, 크기, 퇴축 및 지방 변성 정도 등은 회전근 개와 관련된 요인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결과: 조직의 가동성이 떨어져 해부학적 봉합이 어려운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주변 조직 유리술과 간격 활주 방법으로 가동성을 증가시켜 봉합할 수 있다. 주변 조직 유리술을 시행하고 회전근 개의 가동성을 증가시켜도 해부학적 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부분 봉합, 변연 수렴 술식 및 상완 이두건 절제 및 고정술 등의 대체 술식을 고려할 수 있다.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서 견봉하 감압술 및 회전근 개 봉합술에 관한 여러 보고는 통증 감소, 견관절 기능 및 근력 회복 등 만족할만한 임상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장기 추시 결과 높은 재파열율이 관찰되고 있다. 결론: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치료는 아직까지 높은 재파열 발생율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으나 광범위 파열의 병인, 진행 과정 및 임상 양상에 대한 이해와 재파열 예후 인자 분석 등을 통해 향상된 치료 성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steroid injection during rehabilitation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 Ha, Joong-Won;Kim, Hyunkyo;Kim, Seong Hu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4권3호
    • /
    • pp.166-171
    • /
    • 2021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steroid injections during the rehabilitation period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ACRC). Methods: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ARCR, 117 patients who m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enrolled. Pain and range of motion (ROM) recovery at the 3-, 6-, and 24-month follow-up visits and functional outcome at the 24-month follow-up were compared between 45 patients who received ultrasound-guided subacromial steroid injection at postoperative week 4 or 6 and 72 patients who did not. Functional outcome was assessed using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and Constant score. Healing of the repaired tendon and retear were observed at the 6-month follow-up vi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r computed tomography (CT) arthrography. Results: At the 3-month follow-up, the steroid injection group showed lower visual analog scal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p<0.05) and showed faster recovery of forward flexion and internal rotation (p<0.05). From the 6-month follow-up, the two groups did not show differences in pain and ROM, and the ASES score and Constant score also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t the 24-month follow-up.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in retear rate as determined by MRI or CT arthrography at the 6-month follow-up.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ultrasound-guided subacromial steroid injection at 4 or 6 weeks after ARCR leads to quick pain reduction and ROM recovery until 3 months after surgery. Therefore, subacromial steroid injection is speculated to be an effective and relatively safe method to assist rehabilitation.

Arthroscopic transosseous anchorless rotator cuff repair reduces bone defects related to peri-implant cyst formation: a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suture anchor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 Hyeon Jang Jeong;Ji Soo Lee;Young Kyu Kim;Sung-Min Rhee;Joo Han Oh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3호
    • /
    • pp.276-286
    • /
    • 2023
  • Background: The transosseous anchorless repair (ToR) technique was recently introduced to avoid suture anchor-related problems. While favorable outcomes of the ToR technique have been reported, no previous studies on peri-implant cyst formation with the ToR technique exist.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outcomes and prevalence of peri-implant cyst formation between the ToR technique and the conventional transosseous equivalent technique using suture anchors (SA). Methods: Cases with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ARCR) between 2016 and 2018 treated with the double-row suture bridge technique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oR and SA groups. To compare clinical outcomes, 19 ToR and 57 SA cases without intraoperative implant failure were selected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While intraoperative implant failure rate was analyzed before PSM, retear rate, peri-implant cyst formation rate, and functional outcomes were compared after PSM. Results: The intraoperative implant failure rate (ToR, 8% vs. SA, 15.3%) and retear rate (ToR, 5.3% vs. SA, 19.3%)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all P>0.05). However, peri-implant cysts were not observed in the ToR group, while they were observed in 16.7% of the SA group (P=0.008).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ll P>0.05). Conclusions: The ToR technique produced comparable clinical outcomes to conventional techniques. Considering the prospect of potential additional surgeries, the absence of peri-implant cyst formation might be an advantage of ToR. Furthermore, ToR might reduce the medical costs related to suture anchors and, thereby, could be a useful option for ARCR. Level of evidence: III.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재수술 (Revision Rotator Cuff Repair)

  • 김영규;김동욱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9-125
    • /
    • 2009
  • 회전근 개 재파열에서 재봉합의 일차적 목적은 동통의 완화와 기능의 회복에 있다. 따라서 재봉합을 위한 적응증은 동통이 주된 증상으로 근력 약화를 동반한 기능적 결손이 있는 경우가 가장 적절하다. 회전근 개 재봉합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로는 파열 건의 상태이며 특히 건 결손의 크기, 근 위축, 지방 변성 그리고 건의 퇴축 정도를 충분히 고려하여 재봉합이 가능한 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회전근 개의 재봉합술은 점액낭의 반흔과 건의 퇴축이 존재하고, 재파열된 회전근개가 대범위 이상의 파열이 많기 때문에 재봉합하기가 어려우며, 파열이 보통 오랜 기간 동안 존재하고 근-건의 질이 불량하기 때문에 술기상 어렵고 결과도 비교적 만족스럽지 않다. 이에 저자는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재수술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저자의 경험을 논의하고자 한다.

  • PDF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and radiological healing according to deep and superficial layer detachment in first facet involving subscapularis tendon tear

  • Kim, Jung-Han;Min, Young-Kyoung;Park, Man-Jun;Huh, Jung-Wook;Park, Jun-H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2호
    • /
    • pp.93-100
    • /
    • 2022
  • Background: Subscapularis tendon insertion at the first facet has separate layers (deep and superfic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and radiological healing according to each layer of detachment in the first facet involving subscapularis tendon tear. Methods: Eighty-three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scopic repair due to First facet involving the scapularis tendon tear accompanying small to medium sized posterosuperior cuff tear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group A: deep layer partial detachment, group B: deep layer complete detachment, but no superficial layer detachment, and group C: deep layer and superficial layer complete detachment). Subscapularis tendon healing was evaluated using computed tomography arthrogram and clinical result was evaluated using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houlder score, Constant score and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shoulder score. Results: Retear rate of the subscapularis tendon was 2.2%, 18.2%, and 33.3% in group A, group B, and group C, respectively. These rat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which were classified by deep and superficial layer detachment in the first facet (p=0.003). Group 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scapularis tendon healing compared with group B and group C (p=0.018 and p<0.001,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group B and group C (p=0.292). Regarding clinical outcom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in ASES and UCLA score at final follow-up (p=0.070 and p=0.106, respectively). Conclusions: Complete detachment of deep layer may be related with retear occurrence regardless with detachment of superficial layer, but clinical outcome may not be related with each layer detachment in the first facet involving subscapularis tendon tear.

회전근 개 파열에 있어서 이두근 건을 이용한 관절경하 봉합술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all Arthroscopic Repair with Biceps Incorporation in Massive Sized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s)

  • 고상훈;이용걸;전형민;이채칠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106-111
    • /
    • 2007
  • 목적: 광범위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 있어서 이두근 건을 이용한 관절경하 봉합술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3월부터 2006년 5월까지 광범위($5{\sim}\;cm6$)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하여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를 전향적으로 추시하여 비교하였다. 이두근 건을 이용하여 전방 회전근 개를 보강하며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한 22예를 1군으로 하였고, 이두근을 이용하지 않는 20예를 2군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58세($41{\sim}74$)이며, 평균 추시 기간은 24($12{\sim}36$)개월이었다.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Mann-Whitney test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1군과 2군에서 통증에 대한 VAS, UCLA, ADL 점수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각각, P>0.05). 전방 굴곡 근력은 1군에서 4.3, 2군은 3.5 점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술후 추시 초음파 촬영 소견상 1군 19예 중 10예에서 재파열이 있었고, 2군 17예 중 15예에서 재파열이 발견되었으나 최종 추시결과는 차이가 없었다(각각, P>0.05). 결론: 광범위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 있어서 이두근 건을 이용한 관절경하 봉합술이 재파열을 감소시키고 근력회복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