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taTeq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7초

로타바이러스 백신 접종 유무 및 백신종류에 따른 창자겹침증 발병 연령의 비교: 단일기관 연구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onset age of intussusception after rotavirus vaccination and according to the type of rotavirus vaccine: single medical center study)

  • 이윤영;이응빈;최광해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80-84
    • /
    • 2015
  • Background: Rotavirus is the most common cause of sever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5 years of age. The first vaccine, RotaShield was developed, but withdrawn because of its association with increased risk of intussusception. Then, RotaTeq and Rotarix were developed. Although in pre-licensure studies, they were not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intussusceptions, in recent studies, it has been controversial. Regarding increased risk of intussusception, we studied the difference in the age of intussusception after rotavirus vaccination.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136 patients diagnosed with intussusception at Yeu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 for 4 years in the pre-vaccination period (group A) and in the post vaccination period (group B). Sex, mean age and age distribution of intussusception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type of rotavirus vaccine (group B-1, RotaTeq; group B-2, Rotarix). Results: The median ages of group A and group B were $18.8{\pm}19.6months$ and $15.5{\pm}10.2month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23). The median ages of group B-1 and group B-2 were $15.3{\pm}9.3months$ and $15.6{\pm}10.8month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91).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onset age was observed between groups, and only 6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intussusceptions within 1 month after vaccination. Conclusion: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distribution of onset age of intussusception after rotavirus vaccination and according to the type of rotavirus vaccine. Our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was conducted in part of the Daegu area. Additional study is needed.

로타바이러스 백신 (Rotavirus Vaccines)

  • 고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sup1호
    • /
    • pp.72-76
    • /
    • 2009
  • Rotavirus infection is the leading cause of severe diarrhea disease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worldwide. Rotavirus infects every child at least once by her/his $5^{th}$ birthday. It has been known that single episode of rotavirus infection can protect or alleviate subsequent illness caused by both homotypic and heterotypic rotaviruses. There are two currently licensed rotavirus vaccines. One is human-bovine rotavirus reassortant pentavalent vaccine ($RotaTeq^{TM}$), which contains five reassortant rotavirus (expressing protein G1, G2, G3, G4 and P[8]) and was licensed in Korea for use among infants in 2007. Another is live-attenuated human rotavirus vaccine ($Rotarix^{TM}$) derived from 89-12 strain which represents the most common of the human rotavirus VP7(G1) and VP4(P[8]) antigens. $Rotarix^{TM}$ was licensed in Korea in 2008. Both live oral rotavirus vaccines are efficacious in preventing severe rotavirus gastroenteritis.

제주지역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환아로부터 분리한 A군 로타바이러스의 VP7 Genotypes에 대한 연구 (VP7 Genotypes of Group A Rotavirus Isolated from Infants and Toddlers with Rotavirus Gastroenteritis in Jeju)

  • 강기수;신경수;;김원용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2호
    • /
    • pp.147-152
    • /
    • 2006
  • 목 적: 최근 새로이 개발된 두 개의 백신(Rotarix, RotaTeq)의 효능은 지역사회에 유행하는 로타바이러스 genotype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저자는 제주지역에 유행하는 로타바이러스 genotype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5년 7월부터 2006년 6월까지 급성 설사로 제주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내원 또는 입원하여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으로 진단 받았던 154명 중 81명에서 대변 검체를 수집하였다. 대변 검체에서 RNA를 추출하여 역전사-중합효소 반응(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시행하여 로타바이러스 VP7 genes을 증폭하였으며 여섯개(1, 2, 3, 4, 8, 9)의 G 유전형을 확인하였다. 결 과: 역전사-중합효소 반응을 시행한 81개의 대변 검체에서 모두 VP7유전자가 증폭됨을 확인하였다. 이들 검체에서 VP 7 단백의 유전형을 보면 G1이 53예(65.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G2 12예(14.8%), G3 11예(13.6%), G8 1예(1.2%), G9 1예(1.2%), G4 0예(0%) 그리고 G1/G3 혼합형이 3예(3.7%)로 나타났다. 결 론: 제주 지역의 로타바이러스 VP7 genotypes의 분포는 국내의 다른 지역들과 달랐으며, G1 유전형이 가장 흔하게 검출되었다.

  • PDF

로타바이러스 백신 도입 전후 입원한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1,165례의 역학 및 임상적 연구, 2006-2013년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Study of 1,165 Hospitalized Cases of Rotaviral Gastroenteriti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Rotavirus Vaccine, 2006-2013)

  • 손태영;이찬재;김윤주;강민재;김성혜;이소연;이대형;이혜란;김광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3호
    • /
    • pp.174-180
    • /
    • 2014
  • 목적: 국내 로타바이러스 백신 도입 전후로 8년간 입원한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의 역학 및 임상 양상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최근 2년간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의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5세 미만의 5,697명의 환아 중 로타바이러스 항원 검사에 양성을 보인 1,165명의 연도 및 계절별 추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2011년 12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환아들 중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로타바이러스 백신 접종 여부, 접종 횟수, 증상 등에 대하여 파악하였고, 이들 중 로타바이러스 항원검사에서 양성이 확인된 124명을 대상으로 예방접종 시행 여부에 따른 증상 및 검사실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의 연령별 분포는 2세미만의 환아가 전체의 64.5%를 차지하였다. 연도별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발생 수는 2010년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연도별 월별 분포는 2008년까지는 12월에 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1-2월에 정점을 이루었으나, 2010년 이후로는 1-2월에 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3-4월에 정점을 이루는 양상으로, 백신 도입 이후 로타바이러스의 활동의 시작, 계절적 정점이 늦춰지는 양상을 보였다. 2)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에서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발병률이 높았다(P<0.05). $Rotarix^{(R)}$ 접종군과 $RotaTeq^{(R)}$의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발병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507). 3)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환아 중 예방접종 시행군이 미시행군에 비해 입원기간이 짧았고(P<0.05), 설사, 발열, 구토 등의 증상의 중증도가 더 낮았다(P<0.05). 검사실 소견상 시행군이 미시행군에 비해 혈액 및 소변 검사상 탈수의 정도가 경미하였다(P<0.05). 결론: 국내에 로타바이러스 백신이 도입된 이후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의 발병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질병의 중증도 또한 낮아졌다. 더 많은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의 시행이 이루어지는 것이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의 예방 및 질병의 중증도 완화에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