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pruning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3초

층층나무 우량 용기묘 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oduction of High-Quality Cornus controversa Container Seedlings)

  • 윤택승;홍성각
    • 임산에너지
    • /
    • 제21권3호
    • /
    • pp.28-33
    • /
    • 2002
  • 본 연구는 우량 층층나무 용기묘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5개월간 비닐온실에서 수행되었다. 공시용기로 사용된 플라스틱 망 용기와 일반 플라스틱 용기에서 생육한 묘목의 수고생장 차이는 없었으나, 근원경생장은 플라스틱 망 용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플라스틱 망 용기에서 생육한 묘목은 장근 및 세근발달이 촉진되었으며, 지상부와 지하부 건물생산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플라스틱 망 용기에서 생육한 묘목에서는 망 용기에 의해 유도된 공기단근에 의하여 나선형 뿌리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플라스틱 망 용기는 묘목의 뿌리발달을 좋게하며 지상부 생장이 향상된 층층나무 용기묘 생산에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퇴비시용과 전정 방법이 수체생육, 과실 품질 및 포도원 토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ost Application and Pruning method on Vine Growth, Fruit Quality and Vineyard Soil)

  • 이준배;고광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6호
    • /
    • pp.753-754
    • /
    • 1999
  • 화학비료의 시용은 토양의 산성화를 가중시키고 포도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본 실험의 결과 퇴비의 시용은 포도 뿌리로 흡수되는 질소량을 낮추어 주며 토양질소 함량, 토양 pH, 토양 유기물함량, 세근의 발생량을 높여 주었다. 장초전정은 포도나무 생육을 감소시켰으며, 특히 웨이크만식 수형의 'Campbell Early'에서 장초전정은 단초전정보다 생육감소가 심해 자체 수형유지가 곤란하였다. 본 실험결과 '캠벨 얼리', '거봉', '쉐리단' 포도원의 퇴비시용은 수체생육을 감소시켰으나 토양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근군분포의 표면화와 세근의 발달을 증가시켰다.

  • PDF

참나무류 묘목의 단근 및 이식밀도가 생장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ot Pruning and Transplanting Density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Quercus Species Seedlings)

  • 나성준;김장수;우관수;이재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53-61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인 참나무류의 건전하고 효율적인 묘목생산을 위한 적정 단근길이와 이식밀도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상수리나무와 졸참나무의 단근길이별 묘목생장에서 5 cm로 단근된 묘목은 10 cm 및 15 cm로 단근된 묘목보다 저조한 지상부 및 뿌리생장을 나타내었고, 10 cm로 단근된 묘목은 15 cm로 단근된 묘목과 유사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이식밀도별 묘목생장에서는 64본/$m^2$ 이하의 이식밀도 처리구가 81본/$m^2$ 이상의 이식밀도 처리구보다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묘목의 우수한 생장과 이식작업의 효율성 등을 고려할 때, 상수리나무와 졸참나무 1-0묘의 이식은 주근을 10 cm로 단근하여 64본/$m^2$의 밀도로 이식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상수리나무와 졸참나무의 양묘 시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는 묘목을 생산하고, 두 수종의 초기 이식생장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용기의 형태와 용적에 따른 찰피나무 유묘의 생장 (Growth of Mandshurian Linden (Tilia mandshurica Pupr, et Max.) Seedlings as Affected by Container Types and Volumes)

  • 윤택승;임지영;김종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9-244
    • /
    • 2005
  • 본 연구는 시설양묘 용기에서 직근성 수종인 찰피나무 유묘의 생육상황 및 뿌리발달 형태를 탐구하기 위하여 5개월 간 플라스틱 온실에서 수행되었다. 공시용기로 사용된 플라스틱 망 용기와 일반 플라스틱 용기에서 생육한 용기묘의 수고생장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근원경 생장은 플라스틱 망 용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플라스틱 망 용기는 묘목의 뿌리발달에 영향을 끼쳐 묘목의 뿌리발달을 촉진시켰으며, 전체 지하부의 건물생산량을 증가시켰다. 특히 플라스틱 망 용기묘에서는 적극적으로 유도된 공기단근에 의하여 나선형 뿌리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된 플라스틱망 용기는 찰피나무 용기묘 생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 용기에서 생산된 묘목은 다양한 식재지 환경에서 식재될 경우 활착율 증가는 물론 생장율 증가도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A NEW PARALLEL ALGORITHM FOR ROOTING A TREE

  • Kim, Tae-Nam;Oh, Duk-Hwan;Lim, Eun-Ki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5권2호
    • /
    • pp.427-432
    • /
    • 1998
  • When an undirected tree T and a vertex ${\gamma}$ in the tree are given the problem to transform T into a rooted tree with ${\gamma}$ as its root is considered. Using Euler tour and prefix sum an optimal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2,3]. We will present another parallel algorithm which is optimal also on EREW PRAM. Our approach resuces the given tree step by step by pruning and pointer jumping. That is the tree structure is retained during algorithm processing such that than other tree computations can be carried out in parallel.

A methodology for Internet Customer segmentation using Decision Trees

  • Cho, Y.B.;Kim, S.H.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6-213
    • /
    • 2003
  • Application of existing decision tree algorithms for Internet retail customer classification is apt to construct a bushy tree due to imprecise source data. Even excessive analysis may not guarantee the effectiveness of the business although the results are derived from fully detailed segments. Thu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number of segments with a certain level of abstrac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topping rule that considers the total amount of information gained while generating a rule tree. In addition to forwarding from root to intermediate nodes with a certain level of abstraction, the decision tree is investigated by the backtracking pruning method with misclassification loss information.

  • PDF

고등식물체에서 유년기의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 of Juvenility in Higher Plant)

  • 양덕조
    • 한국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학회 1987년도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움 논문집 Proceedings of Symposia on Plant Biotechnology
    • /
    • pp.191-211
    • /
    • 1987
  • Common usage of the concept of juvenility implies that there is one physiological phase, the juvenile phase, which manifests itself in the various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phenomena observed in juvenile higher plants. The juvenile phase is often defined as that time from seed germination until the plant attains the ability to flower regulating such behaviour. This definition precludes plants from flowering in the juvenile phase. It is of major interest, therefore, to identify the physiological controls(Bluehreife) regulating such behavior. The length of the juvenile period in higher plants ranges from one year to over 60 years in different species. The long juvenile period of seedling is the main cause of the long duration of the breeding process. I determined the length of the juvenile period in various plants and its control of phase changes in natural system in relation to factors such as plant size and age, shoot morphology, apex size, root system and phytohormonal and nutritional status is reviewed. From the own experimental and observational evidence available it appears that both hormonal and nutritional factors can be involved in control of juvenility but that a specific juvenile or flowering hormone is not involved. Grafting, ringing, scoring, root pruning and fertilization have been used to accelerate flowering, but in most cases these cultured treatments are only successful on plants that were passed the juvenile phase. It is suggested that there are intrinsic difference between the meristematic cells of the apieces of juvenile and adult shoot, which are thus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re development potentialitie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maintenance of the determined state through mitosis are discussed. The properties of transitional forms of Ribes nigrum L. intermediate between the juvenile and adult phase, are descrived and there implications discussed. Analogies are drawn between juvenile phenomena in woody perennials and in herbaceous species.

  • PDF

Mesquite (Prosopis juliflora) Pods as a Feed Resource for Livestock - A Review -

  • Sawal, R.K.;Ratan, Ram;Yadav, S.B.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5호
    • /
    • pp.719-725
    • /
    • 2004
  • Mesquite or Vilayati babul (Prosopis juliflora) is a drought resistant, evergreen, spiny tree with drooping branches and a deep laterally spreading root system. It grows in semi-arid and arid tracts of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of the world and is spreading because the leaves are unpalatable and animals do not digest its seed. The mesquite has become a major nuisance; cutting or pruning its branches to form a canopy would provide shade for travelers, aid harvesting of pods, as well as make available wood for fuel. An average plant starts fruiting by 3-4 years of age and yields annually 10-50 kg pods/ tree, which can be collected from May-June and September-October. Availability of pods worldwide is estimated to be about 2-4 million metric tonnes. Ripe pods are highly palatable; on dry matter basis they contain 12% crude protein, 15% free sugar, a moderate level of digestible crude protein (7% DCP) with a high level of energy (75% TDN). The pods contain low tannin levels below those toxic to animals. Seeds contain 31-37% protein; pods should be finely ground before feeding to facilitate utilization of the seeds. Mesquite pods could replace costlier feed ingredients such as grain and bran contributing 10-50% of the diet. Phosphorus supplements need to be added when mesquite pod, exceeds 20% of animals' diet.

카사바의 미세증식에서 기내 발생 부정근의 절단이 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cising In Vitro-Formed Roots on Acclimatization of Micropropagated Cassava Plantlets)

  • 윤실;조덕이;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3-108
    • /
    • 2001
  • 카사바 (Manihot esculenta Crantz cv. MColl 22)의 마디절편을 제아틴 0.01%가 첨가된 MS 기본배지에서 2주간 현탁배양하여 경엽부 길이가 1.5∼2.5 cm로 생장된 유식물의 부정근을(1) 1∼l.5 cm길이만 남기고 짧게 전정, (2) 1∼2 mm 이내로 제거, (3)뿌리 발생부 전체를 절단한 후 마사토를 담은 유리병에 이식하여 비무균조건에서 순화생장시켰다. 그 결과 이식 7∼10일경부터 각 조건에서 새 뿌리가 발생되기 시작하여 6주 후에는 조건에 따라 73∼93%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기내 발생 뿌리 가운데 손상 없이 토양에 이식된 것은 그대로 생존을 계속하여 유식물 생장에 도움을 주었으며, 제거된 부정근은 이식 후 신장이 중단되고 새로 뿌리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간혹 전정되고 남은 부분에 측근이 발생된 것이 관찰되었다. 각 조건에서 새로 발생된 기외 뿌리의 수와 길이 및 경엽부 길이와 마디 수에서는 서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체중에서는 전정>제거>절단의 순으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미세증식된 카사바의 기내발생 부정근을 적절히 전정 또는 제거한 후 이식하여 순화시키는 것은, 작업을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유식물의 생존율이 높고 생장에도 지장이 거의 없으므로 경제적인 미세증식 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PDF

천연기념물 노거수 외과수술 문제점 및 보존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e Surgery Problem and Protection Measures in Monumental Old Trees)

  • 정종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1호
    • /
    • pp.122-142
    • /
    • 2009
  • 본 연구는 노거수 관리개선을 위하여 국내외의 외과수술 제반 이론을 살펴보고 국내 외과수술의 현 실태를 대상 수목의 수술부위 해체 조사와 전문가 집단의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그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조사 대상 수목 67주를 수령, 생육 상태, 주변 환경 등과 상관관계 분석 결과, 이들은 위치별 특성과 상처크기별 특성은 상호 상관관계가 밀접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충전물별 재료 등에는 상관관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부의 크기는 $0.09m^2$ 이하의 가지 절단부위에서 빈도가 가장 높았고, 위치별(부위별) 공동의 크기는 근주부후로 출발되는 "뿌리+줄기"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도, 건전도가 낮은 상위 그룹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근주(根株)부후에서 발생된 큰 공동이나 노출뿌리에 충전물(특히 우레탄)을 채우거나 표면처리를 하는 경우 문제가 심각하였다. 공동부 충전으로 인한 잇점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현재 주로 사용하고 있는 충전물의 표면처리(인공수피)는 주로"에폭시+부직포+코르크"를 이용하고 있으나, 유연성이 없어 목질부와의 접합부에서 틈이 자주 발생하고 표면이 갈라지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다섯째, 수술부위 외부 상태와의 상관관계 평가에서 목질부와의 밀착, 표면상태, 유합조직 형성 등과 내부 조사 결과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여섯째, 노거수의 관리 잘못으로 수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복토였으며, 잘못된 가지치기는 지상부 상처의 근원이 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가지치기에서 작은 가지는 표준방법으로 잘랐을 경우 유합조직의 형성이 활발하여 상처가 쉽게 회복되지만 심재가 있는 큰 가지는 방어능력이 없어 부후균의 침입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일곱째, 노거수 관련업무 처리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노거수 관리자 및 관련업체의 의식개혁이 필요', '노거수에 가장 많은 피해가 발생되는 부위는 특정부위와 상관없다.', '노거수의 가장 중요한 가치는 생물학적 가치', '노거수 외과수술 결과, 문제점 발생원인은 약제 사용 부적절이다.', '새로운 기법의 개발 및 시도로 인한 수술기법의 다양', '노거수에 가장 많은 피해가 발생되는 부위는 가지이다.', '노거수 관리자 및 관련업체의 의식개혁이 필요', '노거수 관련업무 처리시 문제가 되는 것은 업무분장 모호성 및 중복성이다.'등 8개의 변수들이 나타났다. 설문 조사결과, 수술 및 제도 개선 부분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인 항목은 노거수 관리 현황 등의 파악을 통한 관리 정보체계의 확립, 수목외과수술의 처치법 표준화, 업체와 기관사이의 정보의 공유 활성화, 전문인력에 의한 모니터링, 정기적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행정조직의 개선, 산학협력, 수술시기의 부적절성, 외과수술 건의 안정적 수요에 대한 불안감, 전문인력의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분석되었다. 여덟째, 개선 방안으로는 제도적인 측면에 있어서 노거수 관리 및 보존에 관한 법과 조직의 정비를 들 수 있다. 특히. 노거수 관리에 있어서 외부 용역 등을 통하여 적시에 행함으로써 노거수 생육 상태의 건전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존 관련법의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른 법의 개정이나 제정 시 문화재 보호를 위한 조항의 삽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정 노거수의 실태 조사를 통해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로, 보다 많은 개체조사를 통한 실태 조사 결과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에 대한 한계점과 제도적 개선 방안 도출을 위한 통계적 자료에 의한 근거 제시가 미약했다는 미진함을 남기고 있다. 이는 연구자의 후속연구를 통해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