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primordi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1초

전기처리에 의한 주목의 삽목발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ooting of Taxus cuspidata Cuttings by Electric Treatment)

  • 정진철;최정호;장규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3-132
    • /
    • 1994
  • Tow-year-old Taxus cuspidata shoot cuttings were treated with various electrical impacts of cathode on their base and anode on their apex by normal and reverse source. The cuttings were previously treated with 200ppm IBA for 12 hours and the rooting percentage, the length, and the weight of roots were checked. The auxin contents of cuttings were also exa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obtain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ormal treatment, cathode into the base and anode into apex, seemed to accelerate rooting while reverse treatment showed less effective than normal treatment on rooting, but both treatments were more effective than control. 2. The impact of electrical treatment at 30mV for 30min has a remarkable effect on the percentage rooting, the length, and the weight of roots. 3. Root primordia were formed at the basipetal end of cuttings where the end of primary pith ray meets the cambium in control treatment and formed at the basal part of cuttings irregularly in electrical treatment. 4.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howed electrical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on auxin accumulation than control, and 30mV-30min was the most effective on auxin accumulation.

  • PDF

당근 유식물체에서 자엽수와 유관속계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cotyledon Number and Vascular System in Carrot Seedling)

  • 김경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0-39
    • /
    • 1998
  • Carrot seedling emgryos showing variations in cotyledon number were selected and anatomical comparisons of the embryo vascular systems were performed between the variants and normal two cotyledonary (5) embryos from 800 seedings germinated . Externally, all of the four and six cotyledonary embryos had two cotyledonary petioles. Each of the cotyledonary petioles divided into two or three on the upper part fo the petiole which result in four and six cotyledons, respectively. However, the embryos had three different cotyledonary petioles in the three cotyledonary embryos. On the basis of the pattern of vascular system, the four and six cotyledonary embryos had the same basic vascular system as fnormal two cotyledonary embryos, Therefore the cotyledon number abnormality could result from the branching split of the abnormally thickened upper part of the cotyledonary petiole. However, the three cotyledonaryembryos had a different vascular system from the normla two cotyledonary embryos. They could be regarded as different varieties form the two cotyledon embryos. All embryos observed had short cylindrical plumule sheath which formed by the fusion of the cotyledon bases. The presence of plumule sheath strontgly implied that the initiation of the cotyledons was not from the two localized primordia but from the circular proimordiu formed at the blobular stageof embryo, and it is not consistent with current views of cotyledon initiation. On the formation of the primary vascular system of carrot seedlings, it is suggested that the primary vascular system of the plumule was formed independently from that of the root-hypocotyle-cotyledon system.

  • PDF

Temporal and Spatial Downregulation of Arabidopsis MET1 Activity Results in Global DNA Hypomethylation and Developmental Defects

  • Kim, Minhee;Ohr, Hyonhwa;Lee, Jee Woong;Hyun, Youbong;Fischer, Robert L.;Choi, Yeonhee
    • Molecules and Cells
    • /
    • 제26권6호
    • /
    • pp.611-615
    • /
    • 2008
  • DNA methylation is an epigenetic mechanism for gene silencing. In Arabidopsis, MET1 is the primary DNA methyltransferase that maintains CG DNA methylation. Plants having an overall reduction of MET1 activity, caused by a met1 mutation or a constitutively expressed MET1 antisense gene, display genome hypomethylation, inappropriate gene and transposon transcription, and developmental abnormalities. However, the effect of a transient reduction in MET1 activity caused by inhibiting MET1 expression in a restricted set of cells is not known. For this reason, we generated transgenic plants with a MET1 antisense gene fused to the DEMETER (DME) promoter (DME:MET1 a/s). Here we show that DME is expressed in leaf primordia, lateral root primoridia, in the region distal to the primary root apical meristem, which are regions that include proliferating cells. Endogenous MET1 expression was normal in organs where the DME:MET1 a/s was not expressed. Although DME promoter is active only in a small set of cells, these plants displayed global developmental abnormalities. Moreover, centromeric repeats were hypomethylated. The developmental defects were accumulated by the generations. Thus, not maintaining CG methylation in a small population of proliferating cells flanking the meristems causes global developmental and epigenetic abnormalities that cannot be rescued by restoring MET1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during plant development there is little or no short-term molecular memory for reestablishing certain patterns of CG methylation that are maintained by MET1. Thus, continuous MET1 activity in dividing cells is essential for proper patterns of CG DNA methylation and development.

잎의 발생과정에 있어서의 극성제어 (Regulation of Leaf Polarity during Leaf Development)

  • 조규형;전상은;;김경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1-61
    • /
    • 2008
  • 잎은 무한생장기관으로 잎의 극성제어에 많은 유전적인 요소가 필요하다. 이들 극성은 잎의 초기발생과정에서 제어되기 시작하고, 정단분열조직과 잎기관의 원기와의 제어를 담당하는 인자들에 의해서 결정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늘고 바늘처럼 생긴 잎을 가진 deformed root and leaf1 (drl1) 돌연변이체를 유전학적 해석하였고, 그 결과 DRL1 유전자는 정단분열조직과 잎의 극성축을 제어하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DRL1 유전자는 효모의 KTI12 유전자 산물과 유사한 단백질인 Elongator associate protein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이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 원핵생물에서부터 진핵생물까지 광범위하게 진화적으로 보존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DRL1 단백질과 유사한 식물의 단백질은 계통해석 결과 단일계통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이 단백질들이 육상식물의 진화과정에서 잘 보존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패랭이꽃속 Dianthus gratianopol의 현탁배양세포로부터 Shoot 증식과 식물체 재분화 (Shoot Prolifera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Suspension-Cultured Cells of Dianthus gratianopol)

  • 김준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301-306
    • /
    • 2005
  • 패랭이꽃속 Dianthus gratianopol 잎절편체로부터 캘러스를 유기하여 표면에 광택이 있고 치밀하게 배열되고 연한 녹색의 shoot-forming 캘러스를 선별하였다. 유기된 캘러스를 잘게 자르고 1.0 mg/L 2,4-D와 0.5 mg/L BAP가 포함된 CP 액체배지에서 7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여 균일한 SF형태의 조직이 치밀한 세포괴를 얻을 수 있었고 이들 세포괴를 1.0 mg/L 2,4-D와 0.5 mg/L BAP, 1.5 mg/L 2,4-D와 0.5 mg/L BAP의 MS고체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재분화능력이 있는 캘러스를 유도할 수 있었다. 이들 캘러스는 1.0mg/L TDZ과 0.5 mg/L PAA가 포함된 MS재분화배지에 치상하였더니 녹화되기 시작하여 배양 4주후부터는 다량의shoot 원기가 형성되고 shoot증식이 가능하였으며 평균 87%의 shoot 형성률을 보였다. 배양 9주후 절단된 shoot는 0.1 mg/L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 뿌리를 형성하여 화뢰와 꽃을 갖고 있는 완전한 식물체로 재분화되었다. 또한 재분화 능력이 있는 캘러스 정단 원기를 절단한 절편체는 1.0 mg/L TDZ 과 0.5 mg/L PAA가 포함된 MS재분화 배지에서 직접 부정아를 형성하였고 이들 부정아로부터 다량의 shoot 증식이 가능하여 식물체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액아배양(腋芽培養)에 의한 신품종(新品種) 대추나무의 실용적(實用的)인 대량증식(大量增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Practical Micropropagation of Juiube Cultivars through Axillary Bud Culture)

  • 김덕식;이세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4호
    • /
    • pp.445-452
    • /
    • 1988
  • 조직배양(組織培養)에 의(依)한 대추나무 신품종(新品種) 실용적(實用的)인 대량증식방법(大量增殖方法)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액아(腋芽)를 이용(利用), 기내생장(器內生長) 및 야외순화(野外馴化)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BAP 0.5mg/l가 들어있는 1/2MS배지(培地)에 charcoal을 첨가(添加)하여 기내생장(器內生長)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금성(錦城)'의 경우(境遇) charcoal 500mg/l 처리(處理)하였을 때 줄기의 신장(伸張) 및 발생(發生)된 줄기의 수(數)가 각각(各各) 6.4cm, 10개(個)로 가장 높았고 '복조(福棗)'에서는 1,000mg/l 처리시(處理時) 7.5cm, 12.4개(個)로 가장 좋았다. 2. 조사(調査)한 IBA 농도중(濃度中), 그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발근율(發根率) 및 callus 생장(生長)이 양호(良好)하였으며, IBA 1.0mg/l 처리구(處理區)에서 줄기의 생장(生長)이 가장 좋았다. 3. 조직배양(組織培養)에 따른 생장반응(生長反應)의 차(差)를 조사(調査)한 바, '금성(錦城)'의 경우(境遇) 발생(發生)되는 줄기수에 있어 액아(腋芽)가 정경(頂莖)보다 2배(倍)정도 많았으나 '복조(福棗)'에서는 정경(頂莖)이 줄기신장(伸張) 및 발생(發生)되는 줄기수(數)에 있어 액아(腋芽)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4. 기내(器內) 배양묘(培養苗) 순화시험(馴化試驗)에서는 근원기(根原基)만 형성(形成)된 묘(苗)가 활차율(活差率)이 97.8%로 발근묘(發根苗)보다 월등(越等)히 높았다. 5. 온실내(溫室內) 삽목시험(揷木試驗)에서는 paclobutrazol 처리(處理)가 발근율(發根率) 및 뿌리생장(生長)에 있어 IBA, NAA, $Rooton^{(R)}$ 처리구(處理區)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다.

  • PDF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벼와 피의 생장(生長) 및 해부형택학적(解剖形態學的) 차이(差異) - II.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벼와 피간(間)의 해부학적(解剖學的) 차이(差異)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wth of Rice and Barnyardgrass under Various Cropping Patterns - II. Difference in Anatomical Characteristics)

  • 천상욱;구자옥;박상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8-143
    • /
    • 1994
  • 다양(多樣)한 재배양식(栽培樣式)하에서 파종(播種)및 이앙(移秧)한 5, 10, 15, 20일간 생장한 벼와 피를 굴취하여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차이(特生差異)를 검토(檢討)하고자 광학현미경(光學顯微鏡)으로 줄기, 잎, 뿌리의 구조(構造)를 각각(各各) 관찰(觀察)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줄기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차이(差異) 가. 5DAS/T째 벼와 피의 줄기종단(縱斷)을 통한 해부학적(解剖學的) 차이(差異)는 벼는 피보다 엽(葉)의 분화(分化)가 느리고 측아형성(側芽形成)도 적었으며, 분열조직(分裂組織) 신장(伸長)도 피보다 적었다. 나. 담수조건(湛水條件)보다 건답(乾沓)에서 생장속도(生長速度)가 빨랐고 줄기종단(縱斷)에 의한 벼는 엽초가 두껍고, 최외층(最外層) 세포(細胞)가 정교(精巧)하며, 규칙적(規則的)으로 배열(配列)되어 있으나 피는 엽초가 짧고 거칠며 성기고 큰 세포(細胞)들이 불규칙적(不規則的)으로 배열(配列)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다. 건답(乾沓)벼에서의 엽시원체(葉始原體)는 세포내용물(細胞內容物)이 있었던 반면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는 세포내용물(細胞內容物)이 없는 통기세포(通氣細胞)가 발달하였다. 라. 이앙(移秧)벼에서는 직파(直播)벼에 비해 많은 엽시원체(葉始原體)가 분화(分化)되었고 큰 통기강(通氣腔)들이 발달하였다. 2. 잎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차이(差異) 가. 벼의 표피세포(表皮細胞)는 작고 치밀(緻密)한 배열(配列)을 하며 우두상세포(牛頭狀細胞)가 존재(存在)하고 엽물세포(葉肉細胞)에 엽록소(葉綠素)가 있는 반면, 피는 표피세포(表皮細胞)가 크고 성기게 배열(配列)되어 있으며 유관속초세포에 엽록소(葉綠素)가 있고 우두상세포(牛頭狀細胞) 없었다. 엽신(葉身)의 단위(單位)길이당(當) 유관속수(維管束數)는 벼끼리는 차이(差異)가 인정되지 않으나 피는 벼보다 더 많았고, 피는 건답(乾沓)보다 담수(湛水)가 더 많았다. 다. 5DAS/T째 엽신(葉身)의 두께는 이앙(移秧)벼보다는 직파(直播)벼, 건답조건(乾畓條件)보다는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피보다 벼가 더 컸으며 직파(直播)벼에 비하여 이앙(移秧)벼는 표피세포(表皮細胞)와 세포벽이 비후화(肥厚化)되었고 엽신(葉身)이 우두상세포(牛頭狀細胞)(기동세포(機動細胞)) 부위에서 굴곡(屈曲)되어 되어 전개(展開)되었다. 3. 뿌리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차이(差異) 가. 벼와 피의 근구조(根構造)의 기본적인 차이는 근단(根端)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보면 1mm 부위는 직경(直徑)이 피보다 벼가 크고, 벼의 표피세포(表皮細胞)는 좁고 긴 타원형(楕圓形) 세포(細胞)로 배열(配列)되어 있고, 표피(表皮) 아래층(層)에 외피층(外皮層)이 존재하며 후벽세포(厚壁細胞)가 형성(形成)된 것이 특징(特徵)이고 각(各) 세포(細胞)가 조밀(稠密)하게 배열(配列)된데 비해 피는 크고 둥근 타원형세포로 된 표피세포(表皮細胞)가 있고 외피층(外皮層)과 후벽세포(厚壁細胞)가 없으며 성기게 배열(配列)되어 있었다. 나. 재배양식(我培樣式)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 근단(根端) 5mm 부위(部位)의 건답(乾沓짧)벼의 뿌리는 세포내용물(細胞內容物)이 있고 세포배열(細胞配列)이 규칙적(規則的)이며 세포간극(細胞問隙)이나 통기세포(通氣細胞)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건담(乾沓) 및 담수(湛水)피는 핵(核)이 없고 세포배열(細胞配列)이 불규칙적(不規則的)인 경향(京鄕)이었다. 다. 담수(湛水)벼는 세포간극(細胞間隙)과 통기세포(通氣細胞)가 잘 발달(發達)되고 표피세포(表皮細胞)가 아주 작으며 조밀(稠密)하게 배열(配列)되고 그 아래엔 외피층(外皮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라. 이앙(移秧)벼의 뿌리는 같은 담수상태(湛水狀態)의 직파(直播)벼와도 달리 치밀(緻密)하고 규칙적(規則的)인 표피세포(表皮細胞) 배열(配列)과 세포간극(細胞間隙)의 발달(發達), 핵(核)이 있는 왕성(旺盛)한 세포(細胞)들로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 PDF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벼와 피의 생장(生長) 및 해부형태학적(解剖形態學的) 차이(差異) - V.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제초제(除草劑) Thiobencarb에 대(對)한 벼와 피간(間)의 해부형태학적(解剖形態學的) 반응(反應) 차이(差異)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wth of Rice and Barnyardgrass under Various Cropping Patterns - V. Difference in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Response to Thiobencarb)

  • 천상욱;구자옥;권삼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2-222
    • /
    • 1994
  • 다양(多樣)한 재배양식(栽培樣式), 건답직파(乾畓直播), 담수직파(湛水直播) 및 이앙재배조건하(移秧栽培條件下)에서 제초제(除草劑) butachlor 및 thiobencarb에 대한 벼와 피의 해부형태학적(解剖形態學的) 반응차이(反應差異)가 검토되었다. 파종(播種) 및 이앙(移秧)후 5일(日)째에 Thiobencarb를 추천량(推薦量)의 배양(倍量)인 4,200g ai/ha를 토양처리(土壤處理)한 후(後) 10일 및 20일째에 외부형태(外部形態) 및 해부학적(解剖學的) 반응(反應)을 조사(調査)하였다. 1. 건답(乾畓)에서는 피만 제(第) 1엽(葉) 전개후(展開後) 출엽정지현상(出葉停止現狀)이 있었고 담수(湛水)에서는 표면(表面)벼의 지상부(地上部)가 억제되었고 피의 전반적인 생육억제(生育抑制)가 나타났다. 2. 건답(乾畓)에서의 초장(草長)은 무처리(無處理)에 대비(對比)하여 벼가 11~26%, 피는 83%, 담수(湛水)에서는 벼가 46~56%, 피는 82% 억제되었다. 건답(乾畓)에서의 근장(根에長서)은 벼 3%이내, 피는 21%였고 담수(湛水)벼는 78~85%, 피는 83% 억제(抑制)되었고 이앙(移秧)된 8일묘는 10% 내외의 경미한 정도였다. 3. 피, 표면(表面)벼 및 토중(土中)벼의 징상부 생체중(生體重)은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각각 무처리(無處理)에 대비(對比)하여 68, 50, 25% 순(順)이었고, 지하부(地下部) 생체중(生體重)은 각각(各各) 54, 27, 50% 억제되었으나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지상부(地上部)가 각각(各各) 62, 60, 38%, 지하부(地下部)가 60, 67, 60% 억제되었으며 이앙(移秧)벼는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가 각각(各各) 10, 30%로 경미(輕微)하게 억제(抑制)되었다. 4. 건답조건(乾畓條件)에서 토중(土中)벼의 엽령(棄齡)과 제2엽신장(第2葉身長)이 각각(各各) 무처리(無處理)에 대비(對比)하여 25, 34% 억제되었고 피는 엽령(葉齡)이 40%, 제(第) 2엽신장(葉身長)이 100% 각각(各各) 억제되었다. 그러나 담수(湛水)에선 침엽시기(針葉時期)에 있어서 생장(生長)이 정지(停止)된 상태(狀態)로 100% 억제(抑制)됨을 보였다. 한편 이앙묘(移秧苗)는 엽초장만이 약(約) 25% 억제(抑制)되었을 뿐이다. 5. 중경장(中莖長)은 20일째 건답(乾畓)에선 무처리(無處理)에 대비(對比)하여 64%, 담수(湛水)에선 32% 억제율(抑制率)을 보였다. 6 줄기횡단부(橫斷部)의 조직반응(組織反應)은 건답조건(乾畓條件)에서 토중(土中)벼의 엽시원체(葉始原體) 위축(萎縮)과 피의 Twist 현상(現狀)과 간엽발생(間葉發生)이 있었으며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표면(表面)벼의 조직(組織)이 심하게 위축(萎縮)되었고 피는 통엽(筒葉)이 발생되었다. 7. 줄기종단부(縱斷部)의 반응(反應)은 건답(乾畓)의 세포(細胞)가 액포화(液胞化)되고 규칙성(規則性)을 잃었고, 담수표면(湛水表面)벼와 분제조직(分製組織)이 위축(萎縮)되고 피의 분제조직(分製組織) 신장(身長)이 억제되고 세포(細胞)의 액포화(液胞化) 현상(現狀)이 나타났다.

  • PDF

고추냉이 정단배양에 있어서 BA 농도 및 배양방법에 따른 기내증식 효과 (Effect of BA Concentrations and Culture Methods on in Vitro Plant Multiplication from Shoot-Tip Culture of Wasabia japonica)

  • 박윤영;조문수;이영득;정종배;박신;정병룡;박상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1-6
    • /
    • 2007
  • 고추냉이 (Wasabia japonica) 종자로부터 기내 무균상태 하에서 발아된 유묘에서 절취한 shoot-tip을 이용하여 대량증식 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MS 기본배지에 BA 농도 및 반고체배지, filter paper bridge, 액체진탕배양 등의 배양방법을 달리하여 multi-shoot을 유도하였다. 1.0 mg/L BA가 들어있는 액체진탕배양에서 2주 동안 배양한 후 반고체배지에서 4주 동안 배양한 방법이 신초 수가 22.8개 그리고 신초의 길이가 3.5cm로 가장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한 개의 shoot-tip으로부터 약 $5{\sim}11$개의 분할묘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부정근을 유도하고자 여러 가지 농도의 IBA 및 NAA가 함유된 반고체배지에서 9주간 배양한 결과 배양 4주 이후부터 부정근이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IBA (0.01 mg/L)가 NAA처리 보다는 부정근 형성에 효과가 있었으나 위의 두 생장조절물질이 전혀 첨가되지 않은 배지가 90.0%의 부정근 형성율을 보이면서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잎과 뿌리가 잘 발달된 재분화묘를 원예용상토 (bio-media Co., peatmoss $8{\sim}10%$, coir dust $66{\sim}70%$, zeolite $13{\sim}17%$, vermiculite $3{\sim}7%$, perlite $2{\sim}4%$)에 넣어 2주간 습도를 높게 유지시킨 후 육묘온실에서 순화시킨 결과 모든 개체가 정상적인 형태로 성장하였다.

STUDIES ON THE TISSUE CULTURE OF PANAX GINSENG

  • Harn C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74년도 학술대회지
    • /
    • pp.9-22
    • /
    • 1974
  • Unlike the tissue culture in animals and human being, in higher plants various parts of the plant are cultured for varied purposes, and they are named variously depending on which parts are used as explants or what purposes they are cultured for. Followings are some of the names of culture used frequently: organ culture, tissue culture, callus culture, single cell culture, meristem culture, mericlone culture, ovary culture, ovule culture, embryo culture, endosperm culture, anther culture, pollen culture, protoplast culture, etc.. As the names of the culture indicate, in some kinds of culture the explants used for culture are actually not tissues, but organs, single cells, or protoplasts. It seems, however, convenient to call all of the above-mentioned cultures grossly as tissue culture. Several kinds of tissue culture were attempted using Panax ginseng as material and some of the results were summarized below. 1. Callus culture After dormancy of the sed was broken, whole embryo or parts (hypocotyl, cotyledon and epicotyl) of partly grown embryo were cultured in the media supplemented with growth regulators. Rapid swelling occurred in a few weeks, but most of the swelling was observed only in the basal part of epicotyl, changes in the other parts of embryo appearing in much later stages. The swelling or increase in size, however, was resulted not from the divisions of cells, but from the mere expansion of cell. Real calli were formed about two months after inoculation of explants. Callus tissues developed from cortex, pith, and vascular bundle in the cases of hypo- and epicotyl, from mesophyl tissue in the case of cotyledon. Shoots developed more easily from cotyledon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detached from or attached to the embryo proper. 2. Culture in the Knudson C medium When cotyledons, detached from or attached to the embryo proper, were cultured in the growth regulator-free Knudson C medium comprision only several kinds of mineral compounds and sucrose, shoot primordium or callus developed profusely and finally plantlets were produced directly from shoot primordium or indirectly through callus. In this medium epidermal cells as well as mesophyl cells of the cotyledon became meristematic and divided, changing into multinucleate cells or multicellular bodies, developing eventually into either shoot primordia or calli. 3. Anther culture Anthers were cultured in the media supplemented with various growth regulators applied singly or in combinations. Callus was formed mostly in the connective tissue of anther. Cells of anther wall layers changed in appearance, but no division occurred. Microspores of all stages in development were not changed, ruling out the possibility that microspore-originated callus might be formed. 4. Isolation of protoplast Protoplasts were isolated from young root, leaf, and epicotyl, using 0.7M D-mannitols as osmoticum and using macerozyme and cellulase respectively for maceration and digestion of the cell wall. Production in large number of naked intact protoplast was rather difficult as compared with other plant species. Fusion of protoplasts occurred infrequently mainly due to the fewer number of naked protoplasts in the solu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