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m fire

검색결과 528건 처리시간 0.027초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자동화재탐지설비(P형 1급 수신기)의 설계 및 동작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Operation Performance of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P-type One-class Receiver) b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 이봉섭;곽동걸;정도영;천동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1권2호
    • /
    • pp.347-353
    • /
    • 2012
  • In this paper, authors will develop the quick and precise remote controller of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P-type one-class receiver) based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T). The remote controller detects the fire and disaster in the building automatically and quickly and then activates the facilities to extinguish the fire and disaster, monitoring such situation in a real time through wire-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posed remote controller is applied a 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micom. of one-chip type which is small size and lightweight and also has highly sensitive-precise reliabilities. The one-chip type PLD micom. analyzes digital signals from sensors, then activates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for alarm and rapid suppression in a case of fire and disaster. The detected data is also transferred to a remote situation room through wire-wireless network of RS232c and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n the situation room sends an emergency alarm signal.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AFDE) based on IT will minimize the life and wealth loss while prevents fire and disaster.

청정실 화재의 시뮬레이션 I. 방연커튼의 효과 (Simulation of a Clean Room Fire I. Effects of Smoke Curtain)

  • 박외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8-12
    • /
    • 2005
  • 청정실의 화재는 연기입자의 확산으로 인해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청정실내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역경계에 방연커튼을 설치할 때, 그 폭이 연기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전산유체역학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청정실 내 크기 $30m\times10m\times4m$의 구역에 1MW의 메탄을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화재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구역 경계에 방역커튼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각각 폭이 1, 2, 3m인 방연커튼을 설치한 경우에 대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커튼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연기가 구역경계를 통해 확산됨을 확인하였다. 또, 방연커튼의 폭이 클수록 연기확산을 지연시키지만, 연기확산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경계 칸막이를 설치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실화재실험을 통한 상수도 직결형 스프링클러시스템의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Sprinkler System with Direct-Coupled Waterworks by Full-Scale Fire Test)

  • 정종진;남동군;임우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39-4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 직결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물 주택을 대상으로 화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물 주택의 크기는 $56m^2$이며 거실, 주방, 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재는 대두유가 과열되어 자연발화가 발생하여 일어나게 하였다. 상수도 직결형 스프링클러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주방에 스프링클러시스템을 설치하였다. 실험결과 주방에서의 발화로 시작된 화재는 주방천장까지 확대 되었으나 스프링클러가 동작하면서 화재는 진압되었다. 스프링클러가 동작할 때의 상수도 압력은 0.28 MPa이었으며 이 결과로서 일반 주택의 상수도압력으로도 소화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파트 화재 사례 전산모사를 통한 화재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Fire Hazard Evaluation through the Fire Simulation of an Apartment Fire Accident)

  • 전흥균;최영상;추홍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69-7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FD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아파트 화재 사고에 대한 전산모사를 통하여 화재위험성을 평가하였다. 화재 전산모사 결과, 스프링클러 미 작동 시 최대 열방출율은 7,700kW로써 스프링클러 작동시 최대 열방출율 497kW의 약 16배이며, 화재실의 문 강제 개방 시 역화현상의 발생으로 화재위험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화재실 온도의 위험도래시간과 감지기 작동 시간에 의한 재실자 피난 여유시간은 최소 32.5초와 최대 53.5초이다. 스프링클러 작동 시에는 냉각에 의한 화재제어로 아파트 실내의 화재위험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아파트 화재사고의 전산모사 결과를 통하여 소화설비 및 비상방송설비의 정상작동이 화재안전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작동 불능 시 얼마나 큰 피해 손실을 초래하는지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자동확산소화장치의 이격거리에 따른 소화성능평가연구 (Fire Extinguishing Capability of an Automatic Spreading Fire Extinguisher in Accordance with Horizontal Distance from a Fire Source)

  • 곽지현;김동석;구재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38-43
    • /
    • 2013
  • 보일러실이나 세탁소, 또는 음식점과 다중이용업소의 주방에 주로 설치하는 자동확산소화장치는 화재발생 시 화염이나 열에 의해 자동으로 약제가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기구 중 하나이다. 이 소화장치는 공칭방호면적에 해당하는 소화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방호대상물이 이 범위를 벗어나 있으면 유효한 화재진압이 보장되지 않지만 현행 기준에는 바닥면적에 따른 설치갯수만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방호대상물과의 이격거리에 따라 소화성능은 달라지게 되며 이에 대한 특성을 고찰하고자 천장높이가 2.5 m인 모형화재실에 본 소화장치를 설치하고 A급, B급 모형가연물과의 수평이격거리에 따른 소화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일반가연물과 유류가연물을 모두 확실하게 소화할 수 있는 최대수평이격거리는 약 30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획화재에서 벽면의 열전도 계수와 내부 온도의 상관관계 분석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all Thermal Conductivity and Inner Room Temperature in Compartment Fires)

  • 유우준;고권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17-2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Buckingham 파이 정리를 이용하여 구획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벽면을 구성하는 재료의 열전도 계수와 내부 온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존 무차원 변수의 주요 인자를 고려하여 발열량, 열전도계수, 구획공간의 체적, 벽면 두께 그리고 대류 열전달 계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발열량에 대한 화염에서의 최대 온도 그리고 벽면의 온도를 산출하기 위해서 내화보드를 사용하여 ISO 9705 룸 코너 시험기(Room Corner Tester)의 1/6 크기를 갖는 축소 규모의 구조물을 제작하였으며, 10 cm, 15 cm 그리고 20 cm인 정사각형 화원에 대해서 가솔린 화재실험을 수행하여 국부 지점의 산소 농도와 화염에서의 온도분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류 열전달 계수와 열전도 계수의 변화에 따라서 외벽에서의 온도가 증가하는 조건을 제시하였으며, 발열량 변화에 대한 Buckingham 파이의 무차원 경험식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구획 공간에서 외벽 형상 및 열전도 계수의 변화를 고려한 화재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제연구역의 압력변화에 따른 풍량제어 배출댐퍼 개발 (The Development of Flow Control Ventilation Damper According to the Pressure Variation of Smoke Control Room)

  • 이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69-7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제연설비의 문제점 개선 및 제연설비의 성능극대화를 위해 제연구역의 압력변화에 따라 풍량제어가 가능한 배출댐퍼를 개발하였으며, 개발 댐퍼의 효용성 검증과 상용화를 위해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로부터 개발 배출댐퍼에 의해 급기량이 약 1 ~ 5% 정도 더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연구역에는 송풍기의 설계풍량 이상의 안정적인 풍량이 공급됨으로 풍량제어 배출댐퍼의 효용성이 입증되었다. 풍량제어 배출댐퍼의 원천기술을 확보하였다.

밀폐된 구획실의 체적변화가 최대 열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Volume Change in a Closed Compartment on Maximum Heat Release Rate)

  • 윤홍석;남동군;황철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5호
    • /
    • pp.19-27
    • /
    • 2017
  • 밀폐된 구획실 화재에서 화원의 면적 및 위치, 화재성장률, 구획 체적의 변화가 열발생률을 포함한 주요 화재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검토되었다. 이를 위해 닫힌 개구부가 적용된 ISO 9705 화재실을 대상으로 Fire Dynamics Simulator (FDS)를 활용한 화재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주요 결론으로서, 화원의 면적 및 위치의 변화는 최대 열발생률, 총 열량, 상층부의 최대 온도 및 화학종 농도를 포함한 구획 내의 열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화재성장률과 구획 체적의 증가는 최대 열발생률 및 총 열량의 증가를 가져오며, 한계산소농도의 감소 및 최대 CO 농도의 증가를 발생시킨다. 마지막으로 화재성장률과 구획 체적의 함수로 표현된 최대 열발생률의 상관식을 도출하여, 밀폐된 구획실 화재에 대한 화재성장곡선의 적용을 위한 방법론이 제안되었다.

공동주택 내부 공간의 잔향시간 특성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Reverberation Time Characteristics of Inside Space of Apartment Buildings)

  • 정정호;이병권;전진용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91-298
    • /
    • 2015
  • In this study, the reverberation time of apartment living room was measured and distribution of the reverberation time was analyzed. In addition, sound field characteristics of mock-up test room similar with living room and timber structured bedroom was investigated with addition of furniture and sound absorption material. Average reverberation time of unfurnished apartment unit was 1.11 s, and reverberation time in 630 Hz~2000 Hz bands were longer than 1.2 s. It was found that from the field measurement results, reverberation time characteristic of furnished apartment living room was uniform in most of frequency bands. Averaged reverberation time of furnished living room was 0.48 s and the reverberation time of bedroom was 0.44 s. Standardized sound pressure level correction values were calculated from the average reverberation time of furnished and unfurnished apartment units. The correction value of unfurnished living room was −3.4 dB and that of furnished living room was 0.2 dB. Measured reverberation time of furnished and unfurnished apartment units indicated that reference reverberation time; 0.5 s, in KS and ISO standards is reasonable also in Korean residential environment.

가연성 물질에 따른 워터커튼 시스템의 열 및 연기유동 제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nflammable Materials on the Control Characteristics of Thermal and Smoke Fluid of Water Curtain System)

  • 유우준;남준석;김동준;이정균;유홍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53-5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 물질을 고려한 워터커튼 시스템(Water Curtain System)의 열 및 연기유동 제어 특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Room Corner Tester(RCT)를 사용하여 연료의 종류가 소나무(PineWood)와 가솔린(Gasoline)인 경우 각각의 발열량(Heat Release Rate)을 구하였으며, 워터커튼용 화재실험 장치를 제작하여 화원근방에서 5m 떨어진 지점의 천장 부근에 분사각도 $180^{\circ}$, 오리피스 직경 8.2 mm의 노즐(Nozzle)을 설치한 후 목재와 가솔린 각각에 대해서 화재실험을 실시하여 워터커튼 전후의 온도분포와 가시도를 측정하였다. 그결과 워터커튼 시스템의열및연기유동 제어는 가연성 물질의 연소특성에 따른 고온의 연기발생량과 분사 노즐에 의한 유동현상이 중요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