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che configur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근접쌍성 DO Cas의 Roche configuration

  • 김호일;성언창;경재만;이우맥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1999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8권1호
    • /
    • pp.18-18
    • /
    • 1999
  • PDF

근접촉쌍성 DO Cas와 SW Lyn의 로쉬 모형 (ROCHE CONFIGURATIONS OF TWO NEAR-CONTACT BIN ARIES: DO CAS AND SW LYN)

  • 김호일;이우백;성언창;경재만;윤재혁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209-216
    • /
    • 1999
  • 근접촉쌍성으로 분류된 두 개의 식쌍성 DO Cas와 SW Lyn의 광도곡선을 분석하여 이들의 로쉬모형을 알아보았다. DO Cas는 이 연구를 위하여 새로이 관측하였으며 SW Lyn은 이미 발표되어 있는 자료를 이용하였다. DO Cas에 대한 관측은 짧은 기간에 완성하여 체계적인 관측 오차를 최소화하였다. WD 모델을 사용한 우리의 분석에 의하면, DO Cas는 근접촉쌍성으로 분류될 수 있으나 SW Lyn은 준분리형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더구나, DO Cas는 접촉쌍성으로도 분류가 가능하므로 근접촉쌍성이 하나의 독립된 로쉬모형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근접촉쌍성으로 분류된 쌍성들의 광도 곡선을 보다 면밀하게 재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

근접촉쌍성 AX Draconis의 광도곡선과 로쉬모형 (LIGHT CORVES AND ROCHE CONFIGURATIONS OF NEAR-CONTACT BINARY AX DRACONIS)

  • 김호일;이재우;김천휘;윤재혁;이우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0권4호
    • /
    • pp.239-248
    • /
    • 2003
  • 2001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11일간 소백산천문대의 61cm 망원경과 VR 필터를 사용하여 근접촉쌍성 AX Dra의 광도곡선을 완성하였다. 우리의 관측으로부터 7개(주극심 3개, 부극심 4개)의 새로운 극심시각과 최근의 관측자료에 맞는 광도요소를 결정하였다. Wilson-Devinney 쌍성모델과 q-search방법을 이용하여, 우리의 VR광도곡선을 다양한 로쉬모형과 질량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는 식쌍성 AX Dra가 분리형이거나 반성은 로쉬로브를 채우고 주성은 거의 채운 준분리형인 FO Vir형 근접촉쌍성계임을 알아내었다. 또한, FO Vir형 근접촉쌍성계의 통계적인 연구(Shaw 1994)와 달리, 우리의 VR광도곡선은 모두 같은 형태의 O'Connell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그 크기는 약 $0^{m}.008$정도이다.

근접 식쌍성 SW LYNCIS의 광도곡선 분석 (LIGHT CURVE ANALYSIS OF A SHORT PERIOD ECLIPSING BINARY SW LYNCIS)

  • 김호일;한원용;이우백;김천휘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2권2호
    • /
    • pp.196-203
    • /
    • 1995
  • 소백산천문대의 61cm 망원경을 사용하여 식쌍성 SW Lyn에 대한 UBV관측을 1983년 9월 부터 1987년 3월까지 7일밤 동안 수행하여 광도곡선을 얻었다. 이 광도곡선은 부극심을 중심으로 좌우가 비대칭이며 그 정도는 파장이 짧을수록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칭 광도변화를 만드는 윈인을 흑점이라고 가정하고, 우리의 광도곡선 중에서 B와 V광도곡선을 WD 방법으로 분석하여 해를 얻었다. 그 결과 SW Lyn이 접촉에 가까운 준접촉계임이 밝혀졌으며 Case A 진화를 하는것으로 보인다.

  • PDF

AW CAM의 광도곡선 분석 (THE LIGHT CURVE ANALYSIS OF AW CAM)

  • 김천휘;한원용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2권1호
    • /
    • pp.21-29
    • /
    • 1995
  • $\beta$ Lyrae형 식쌍성 AW Cam을 UBV 세파장 영역에서 광전 관측하여 얻은 UBV 광도곡선을 Wilson and Devinney 쌍성 모델의 2가지 mode( mode 2와 mode 5)로 분석하였다. 이는 Russo and Milano (1983)가 산출한 측광 질량비(q=0.21)와 Mammano et al. (1967)의 분광질량비(q=0.43)가 일치하지 않는 모순-AW Cam 계의 남아 있는 문제인-올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Mode 2로 구한 측광학적 해가 mode 5로 구한 해보다 관측된 광도곡선을 더 잘 반영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이는AW Cam이 정상준분리형계가 아나라 분리형 쌍성계임을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산출한 질량비 (q=0.43)로 계산한 AW Cam계의 삼차원 로쉬 모형을 보면 가벼운 반성은 안쪽 로쉬 한계면에 잘 들어 있는 반연 더 무거운 주성이 로쉬 한계면에 거의 접촉하고 있다. 로쉬 기하, 공전주기의 일정성, 그리고 다른 측광학적 증거들로 부터 AW Cam은 Giuricin and Mardrossian (1981)이 제안한 ‘접촉이 깨진 상태’에 있는 진화된 분리형 쌍성계가 아니라, ‘접촉 상태’로 가고 있는case A 진화 상 태에 있는 덜 진화된 분리형 쌍성계로 잠정적으로 결론짓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