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binia pseudoacacia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3초

아까시나무 뿌리껍질의 항염증활성물질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of Robinia pseudoacacia Root Bark)

  • 강동민;박우성;김혜진;정우진;강권규;안미정
    • 생약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8-15
    • /
    • 2022
  • Robinia pseudoacacia L. (Leguminosae) is widely distributed in Asia, North America and Europe. The root bark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hemostasis, arthritis and hypertens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biological activity and the bioactive constituents of the root bark. We found that the methanol extract obtained from the root bark of R. pseudoacacia reduced the level of ROS and NO production in LPS-induced inflammation of RAW 264.7 cell line. Among the fractions, methylene chlorid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inflammation. Seven constituents (1-7) were isolated from this fraction, and the chemical structures were determined to be medicarpin (1), (-)-vestitol (2), indole 3-carboxaldehyde (3), 3-acetylindole (4), liquiritigenin (5), 4(1H)-quinolone (6) and 8-methoxyononin (7). Among the isolates, medicarpin (1), (-)-vestitol (2), 3-acetylindole (4) and liquiritigenin (5) inhibited ROS and NO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is is the first study to show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root bark of R. pseudoacacia,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four constituents (1, 2, 4, and 5) could play a role in the biological activity.

청주시 매봉산 도시림의 식생, 토양특성 및 토양미소절지동물상 분석 (The Vegetation, Soil Characteristics, and Soil Microarthropods of Maebongsan Urban Forest in Cheongju-si, Korea)

  • 김흥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17
    • /
    • 2016
  • The study was aimed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status of the Maebongsan urban forest in Cheongju-si through investigating the vegetation, soil characteristics, and soil microarthropods. Phytosociological analysis for twenty plots revealed that the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Pinus rigida community,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Castanea crenat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inus strobus community, Pinus koraiensis community, and Larix kaempferi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showed that afforestation tree species like Castanea crenata, Robinia pseudoacacia, and Pinus rigida dominate the urban forest. DBH analysis indicated that although the plant communities seem to be under the succession to Quercus forest, the dominance of Castanea crenata and Robinia pseudoacacia might still persist for several more decades. The properties of soils from the plant communities showed that loamy sand and sandy loam in soil texture, low organic matters, and severe acidification. The abundance of soil microarthropod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plant communities except Castanea crenata community and Pinus koraiensis community. The two communities showed especially low abundance of collembola and acarina. Thus, we can say that Castanea crenata community and Pinus koraiensis community seem to have been influenced strongly by anthropogenic activities.

중국 귀주성 석막화 방지를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Research for Prevention of Stone Hazarding Guizhou, China)

  • 박재현;전재홍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8-39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habilitation measures and select appropriate tree species and rehabilitation methods for rehabilitating the rock desert areas in Guizhou, China. The study w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s from 2003 to 2006 and results are as follows. Afforestation site is classified as a dolomite sandstone hilly country, a halfstony hilly country, a karst physiognomy, a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and an latent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by soil type and rock desertification status. Total afforestation area of Xuiwen is 1,300ha and afforestation area of a dolomite sandstone hilly country, a halfstony hilly country, a karst physiognomy, a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and an latent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are respectively 104.0ha (8.0%), 146.6ha (11.3%), 200.5ha (15.4%), 705.7ha (54.3%) and 143.2ha (11.0%). Planted tree species were selected by five site types. Robinia pseudoacacia, Chamaecyparis obtusa, Thuja orientalis, Cupressus duclouxiana and Juniperus chinensis L. var. chinensis were planted in a dolomite sandstone hilly country and Choerospondias axillaris and Robinia pseudoacacia were planted in a halfstony hilly country. Cupressus duclouxiana, Zanthoxylum bungeanum, Lonicera fulvotomentosa, Ilex kudincila, Quercus aliena, Quercus variabilis, Choerospondias axillaris, Koelreuteria bipinnata, Cryptomeria japonica, Cinnamomum camphora and Cinnamomum bodinieri were planted in a karst physiognomy. Cupressus duclouxiana, Toona sinensis, Robinia pseudoacacia, Lonicera fulvotomentosa, Eucommia ulmoides, Ilex kudincha. Zanthoxylum bungeanum and Magnolia officinalis were planted in a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Lonicera fulvotomentosa, Juglans sinensis, Pyrus pyrifolia, Choerospondias axillaris, Prunus salicina and Diospyros Kaki was planted in an latent rock desertification farm land. Robinia pseudoacacia showed high survival rate in 2004 and 2005, but Zanthoxylum bungeanum and Cinnamomum camphora showed slightly low survival rate in 2004. Survival rate of planting species in 2005 was over 80% because some species which showed low survival in 2004 were changed with other species and a proper afforestation method was applied. Growth rate of tree species was evaluated by height and diameter growth rate. Cupressus duclouxiana showed a highest height growth rate in 2004. Toona sil1ensis, Choerospondias axillaris, Koelreuteria bipinnata, and Cinnamomum camphora showed almost 100% height growth rate in 2005, although they showed a negative height growth rate in 2004. Robinia pseudoacacia showed a good growth rate in the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and the halfstony hilly country so it could give a commercial benefit like honey as well as an afforestation effect.

아까시 나무 고온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Robinia pseudoacacia L. High Temperature Extract)

  • 노종현;강병만;정원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4-302
    • /
    • 2018
  • 본 연구는 아까시나무의 물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고온 추출물을 이용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 대해 염증억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RP1(아까시 나무 물 추출물), RP2(아까시 나무 에탄올 추출물) 및 RP3(아까시 나무 고온 추출물)은 세포생존율 분석에서 $200{\mu}g/m{\ell}$의 농도까지 Raw 264.7 세포에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았다. NO 생성 억제효과를 분석하였을 때 LPS 처리군과 비교하여 RP3는 약 87% 정도의 억제효과를 나타내 RP1과 RP2에 비해 NO 억제활성이 가장 높았다. 뿐만 아니라 RP3는 RP1과 RP2와 비교하여 염증매개인자의 억제율이 각각 $PGE_2$ (86.3%), $TNF-{\alpha}$ (64.1%), IL-6 (65.1%) 및 $IL-1{\beta}$ (63.3%)로 가장 높았다. 이는 RP3의 처리가 LPS에 의해 증가된 염증매개인자의 분비를 억제함을 통해 항염증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염증관련 신호전달경로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Raw 264.7 세포주는 염증조절복합체를 구성하는 ASC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아 다른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염증매개인자를 분비하기 때문에, 설치류의 대식세포를 직접 일차배양(primary culture)하여 이에 관련된 신호전달경로를 확인하는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와 분홍아까시나무(R. margarettae 'Pink Cascade') 향기성분 조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f Floral Volatile Components in the Different Species of Robinia spp.)

  • 이수진;김영기;노광래;이현숙;김문섭;김세현;권형욱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9-195
    • /
    • 2019
  • 본 연구는 아까시나무 꽃으로부터 발산되는 휘발성 성분을 SPME법으로 추출하여 GC/MS를 통해 분석을 시도하여, 서로 다른 수종 별로 발산하는 FVCs의 성분과 그 구성비율이 확연하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까시나무, 4배체 아까시나무, 분홍아까시나무에서 FVCs 분석결과를 비교해 볼 때 차이를 보이는 주요 FVCs는 각각 Linalool (35.47%), α-Farnesene (33.94%), (E)-4,8-Dimethylnona-1,3,7-triene (37.23%)으로 나타났으며, 공통적으로 (Z)-β-ocimene이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수종 간 FVCs 조성비의 차이가 꿀벌의 방화 행동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되며, 아까시나무의 FVCs에 대한 꿀벌의 선호도 및 방화 행동의 연관성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까시나무 임분의 임목수확량 및 탄소저장량 추정 (Estimation of Stand Yield and Carbon Stock for Robinia pseudoacacia Stands in Korea)

  • 손영모;김소원;이선정;김정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264-269
    • /
    • 2014
  • 본 연구는 아까시나무 군락에 대한 현재 생육지 분포면적의 파악과 임분수확량 및 탄소저장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아까시나무에 대한 분포면적은 1:5,000 임상도를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임분수확량은 Weibull 직경분포모델을 이용하였고, 탄소저장량 및 흡수량은 임분수확량에 탄소배출계수를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임분수확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임분 평균직경, 임분 흉고단면적, 최소 및 최대 직경 등 임분 생장인자에 대한 추정식을 산출하고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이 결과 모든 생장인자의 추정식이 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유의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지의 생산력을 판정할 수 있는 지위지수를 도출한 바, 지위지수는 16~22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을 종합하여 임분수확표를 만들었다. 우리나라 아까시나무는 경상, 충청 및 경기도의 내륙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면적은 26,770 ha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탄소저장량으로 전환한 결과 2,517,598 tC 였으며, 연간 3.76 tC/ha를 흡수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이는 탄소흡수량이 높은 수종으로 알려져 있는 참나무류와 유사하여, 추후 아까시나무가 기후변화 시대에 온실가스를 저장하는 수종으로서의 역할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만든 임분수확표는 아까시나무 경영 및 관리정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WINSPAN과 CCA Ordination에 의한 서해안 곰솔림과 토양환경과의 상관 분석 (An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inus thunbergii Forests and Soil Conditions by TWINSPAN and CCA Ordination in West Coast of South Korea)

  • 김민하;박종민;장규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9
    • /
    • 2016
  • Vegetation and soil conditions of four sites in west coastal forests in South Korea, were examin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inus thunbergii forests structure and soil conditions. The P. thunbergii forests were divided into four clusters; 1) P. thunbergii - Prunus sargentii var. sargentii, 2) P. thunbergii - Robinia pseudoacacia, 3) P. thunbergii - P. densiflora and 4) P. thunbergii - Quercus serrata. The soil of each site was poor in chemical characteristics but good enough for land plants to grow because of its low sal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by CCA Ordination, certain excessive soil nutrition has influenced on vegetation and specific species distribution. Forty eight species were found in the whole sites of coastal forests and some species appeared in every site. They are P. thunbergii, R. pseudoacacia, Rhus chinensis, Idesia polycarpa and Morus alba. For the tree species importance value, P. thunbergii was followed by R. pseudoacacia, Q. serrata, P. densiflora, Celtis sinensis, M. alba, I. polycarpa and Q. mongolica in order.

월드컵공원 사면지구 식생현황 및 변화 특성 연구 (A Research o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of the Vegetations in the World Cup Park Landfill Slope District)

  • 한봉호;박석철;최한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15
    • /
    • 2023
  • 본 연구는 월드컵공원 사면지구의 현존식생과 식물군집구조 조사를 통해 매립지 사면지역의 식생구조 특성 및 변화 경향을 밝혀 쓰레기매립지의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현존식생 변화 분석은 1999년, 2003년, 2005년, 2007년, 2008년, 2012년, 2016년, 2021년 현장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주요 식생의 변화양상을 파악하였다. 식물군집구조 조사는 자연발생림 내 1999년에 설정한 고정조사구 총 6개소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존식생 변화상을 종합해보면 2010년 태풍 곤파스(Kompasu)의 영향으로 사면지구의 아까시나무는 강풍으로 인해 도복되면서 분포면적과 세력 변화가 발생하였고, 특히 건조하고 불량한 식재기반 위에서 군락을 형성하던 습지성 목본인 버드나무는 세력이 감소하게 되었다. 식물군집구조 변화상을 종합해보면 아까시나무군락은 2010년 이후 목본 종수와 개체수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 향후 아까시나무림이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가죽나무-아까시나무-참오동나무군락은 종수 및 개체수가 아까시나무군락과 유사한 변화를 보였으며, 교목층의 참오동나무와 가죽나무는 도태된 상태로 아까시나무림으로 변화가 예측되었다. 능수버들군락은 아까시나무림으로 천이된 상태였으며, 일부 조사구에서만 교목층에 아까시나무와 함께 능수버들이 생육하고 있으나 대부분 능수버들이 쇠퇴된 상태이었다. 이들 식생군락은 월드컵공원 사면지구의 대표식생으로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군락별 생태계 변화를 파악해야 하며, 생태계 복원 차원의 매립지 내 조경수식재지 조성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아까시나무림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Robinia pseudoacacia Forests)

  • 조광진;김종원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1호
    • /
    • pp.15-23
    • /
    • 2005
  • 아까시나무 우점림의 식생유형에 대한 분류와 분포양식 그리고 생태식물상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전통적인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식생조사자료 및 식생유형간의 유사성 분석을 위하여 주좌표분석법(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과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가 이용되었다. 생태식물상의 분석에는 출현 식물종들의 특질(넌출형, 일이년생 생명환, 삼림식생요소, 체감도시화지수)이 이용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출현종의 상대기여도를 바탕으로 하는 입지-식생조사구 매트릭스의 식물군락표 및 군락합성표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아까시나무 우점림은 총 77과 193속 323종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아까시나무-닭의장풀군집(전형아군집, 떡갈나무아군집, 자귀나무아군집, 소나무아군집, 굴참나무아군집, 가중나무아군집), 아까시나무-갈대군락(전형하위군락, 띠하위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크게 네 가지 식생형(도시형, 농촌형, 하천형, 복합형)으로 구분되었다. 아까시나무-닭의장풀군집은 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의 냉온대 남부 저산지대의 아까시나무 조림식생을 대표하는 식생단위이며, 아까시나무-갈대군락은 하천(정수역)형으로 기재되었다. 가중나무아군집은 높은 체감도시화지수에 의하여 도시형 아까시나무림으로 규정되었다. 하천형을 제외한 우리나라의 아까시나무 우점림은 지속군락으로 고려되었다.

도시녹지의 생태학적 조성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안산 도시자연공원을 중심으로- (Studies on Urban Green Open Spac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Ecological Approach -A case study of Ansan urban nature park in Seoul-)

  • 오충현;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5-137
    • /
    • 1993
  • Ansan urban nature park is 197.8ha and located in Seodeamun-Gu of Seoul. Flora of Ansan consisted of 141 species, 76 genera, 40 families in woody pl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stablish the park management plan with ecological approac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hort term plan shall be performed in six vegetation management zones;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zone, Sorbus alnifolia community zone,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zone, Populus ${\times}$albagrandulosa community zone, Pinus densiflora community zone, and landscape planting zone. Pinus densiflora and landscape planting zones shall be managed artificially, the others managed with ecological approach. 2. The long term plan shall be performed in four vegetation management zones;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zone, Quercus spp. community zone, Pinus densiflora community zone, and landscape planting zone. Pinus densiflora and landscape planting zones shall be managed artificially, the others managed with ecological approach. 3. Because soil of Ansan is acidified and the soil disturbed growth of plants, the improvement of soil is necessary. The fertilization shall be performed in three zones; evergreen confierous tree zone(ex. P. densiflora), Quercus spp. zone, and the other deciduous tree zone(ex. R. pseudoacac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