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d bed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6초

도로면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작업 생산성 분석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roductivity Analysis of Automated Pavement Crack Sealing Machines)

  • 서원중;유현석;김영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289-1298
    • /
    • 2014
  • 도로면 크랙실링 공법은 균열발생 초기에 도로면을 보수하여 균열의 확산을 예방하는 유지보수공법으로써 북미를 중심으로 한 선진 외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많은 도로 보수 물량에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재래식 크랙실링 공법은 작업 특성상 교통량이 많은 일반도로나 고속국도에서 작업이 수행되므로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가열된 실런트를 도로면에 직접 분사하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노무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진 외국에서는 1990년대 초부터 ARMM, OCCSM, TTLS 등의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를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해 왔으며, 국내에서도 2004년 APCS 장비와 2013년 ACSTM 장비를 개발 완료한 바 있다. 그러나 다수의 연구기관에서 서로 상이한 시기에 개발된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는 각기 다른 테스트베드 조건과 생산성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개발 장비의 작업 생산성을 측정, 표기함으로써 각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비교, 평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동일한 환경 조건 내에서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해 완전자동 맵핑 및 반자동 맵핑 방식에 따른 각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이미지 프로세싱 소요시간을 추정하고, 작업 프로세스상의 동작요소별 이동시간을 산정하였다. 또한 국내 도로환경이 반영된 생산성 측정 테스트베드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외에서 개발된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생산성을 동일한 조건 내에서 측정하고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능동방음벽을 위한 적응필터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f adaptive filters for active noise barriers)

  • 최정일;박경원;조현기;남현도;신은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1-306
    • /
    • 2011
  • In this paper, active noise barriers for attenuation of road noise are proposed. multi-channel audio systems, DAQ part and high performance DSP H/W were designed. Active noise control firmware programs were implemented for multi-channel off-line/on-line estimation methods for secondary path transfer functions and FIR/IIR filter structure are used main noise control algorithms. To evaluate performance of proposed systems,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an active noise barrier test bed for various noise cases.

  • PDF

콘크리트 도상 방진 침목의 연결재 유·무에 대한 역학적 거동 고찰 (A Study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Resilient Sleeper in Concrete Bed by Connection)

  • 김성칠;이기승;김준형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21-128
    • /
    • 1998
  • The rail, which supports the train road, distributes the wheel loads to the tie by rail stiffness. Subway sleeper on concrete ballast is construction of PC or RC sleeper. The present, PC sleeper is constructed of line 1, 2, 3, 4 Seoul Subway and RC sleeper is planing construction for the STEDEF system on concrete ballast of the line 5, Seoul, Taegu, and Kwangju Subway.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influence of the angle with analysising the behavior of sleeper according to the existent or non-existent of angle. And the study is carried to check static analysis by manufacture of same model.

  • PDF

예산배분을 위한 철도선로구간의 노후도 평가 (Deterioration Evaluation of Railway Line Segments for Budget Distribution)

  • 김성호;최찬용;나희승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02-1809
    • /
    • 2011
  • A distribution method of limited budget for rail line facility improvement is to use investment priorities of rail line segments based on their deterior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valuation method of rail line segment deterioration which can be used to distribute limited budget. Rail line facilities include rail track, crossing, road bed, bridge, tunnel. These facilities deterioration and line shape can affect line segment deterioration. Deterioration evaluation method we present is a weighted sum of each component deterioration scores. The component weight can be obtained from expert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 PDF

A Study on Removal of Harmful, Heavy Metals in Fly Ash from Municipal Incinerator

  • Nakahiro, Yoshitaka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The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ast Asian Resources Recycling Technology
    • /
    • pp.489-493
    • /
    • 2001
  • Big cities in Japan have serious problems due to the shortage of new reclaimed land for municipal wastes. If harmful heavy metals such as cadmium, lead, copper and etc. are contained in the municipal waste combustion residues, they are not able to fill up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law in Japan. In this study, the removal of heavy metals in the fly ash (EP ash) was dealt with chloridizing vaporization method. EP ash as a non-hazardous materials is utilized as covering materials, road bed, and building materials.

  • PDF

임도(林道) 옆도랑의 침식요인(浸蝕要因) 평가(評價)와 안정성(安定性) 판별(判別)에 관(關)한 연구(硏究) (Evaluation of Side-ditch Erosion Factors and Judgment of Side-ditch Stability in Forest Road)

  • 이해주;지병윤;정도현;김종윤;차두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397-404
    • /
    • 2000
  • 임도 옆도랑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평가 및 안정도 판별을 위하여 광릉시험림의 임도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침식에 미치는 기여순위는 종단물매, 시설위치, 절토사면경사, 절토사면구성물질, 유하거리, 노면형태, 노면재료, 절토사면피복도, 절토사면길이 순으로 나타났다. 임도 옆도랑침식을 유발하는 요인을 평가하면, 종단물매는 8% 이상, 임도시설위치는 산록(山麓)과 중복(中腹), 절토사면경사는 $50^{\circ}$ 이상, 절토사면토성은 견질토사, 자갈섞인 토사, 호박돌섞인 토사, 유하거리는 80m 이상의 지역에서, 그리고 노면재료는 토사도(土砂道)와 자갈부설도에서, 노면형태의 경우에는 철(凸)형과 직선형, 절토사면 피복도(被覆度)는 피복도가 중(中)이상인 곳에서 임도 옆도랑침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豫測)되었다.

  • PDF

하수관로 배면 공동 탐지를 위한 최적 물리탐사 방법 (Optimal Geophysical Exploration Performance Method for Common Detection Behind a Sewer)

  • 김진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8호
    • /
    • pp.11-17
    • /
    • 2018
  • 최근 도심지를 중심으로 도로함몰이 증가하고 있어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도로 하부에는 상하수도관로, 전기통신시설 등 각종 도로시설물이 매설되어 있는데 이 시설물의 노후화가 도로 함몰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도로함몰의 주된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노후 하수관의 경우 CCTV 탐사를 통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지반함몰 위험도를 산정하고 있다. 현재 GPR 탐사를 통해 공동을 탐사하고 있지만 지표면에서 탐사하기 때문에 관로 배면에 있는 공동을 찾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 공동 탐사 기법에 대해 조사하고, 조사 기술 중 하수 관로 내부에서 관로배면에 존재하는 공동을 탐사할 수 있는 최적 기술 선정하고 각 기술별로 테스트 베드에서 검증했다. 이는 하수관 주변 공동을 확인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 방법으로 판단된다.

미끄럼방지포장 유지관리를 위한 미끄럼저항 성능평가방법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kid Resistanc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for Maintenance of Skid Resistance Pavement)

  • 조현우;노상균;이봉춘;정윤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79-85
    • /
    • 2023
  • 미끄럼방지포장은 도로의 부속물로서 도로 및 교통 특성으로 인해 미끄럼저항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곳이나 도로선형의 변화가 심한 구간에서 포장의 미끄럼저항을 높여 자동차의 안전한 주행을 도모하기 위한 시설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특히, 눈, 비, 블랙아이스와 같은 기상 악천후 상황에서 미끄럼방지포장의 미끄럼저항성능은 도로교통 및 운전자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현재 미끄럼저항성능을 측정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BPN은 시험 면적이 0.009 m2에 불과하여 전체 포장면에 대한 대표성을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에 미끄럼방지포장 유지관리를 위한 신뢰성 있는 미끄럼저항성능 평가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침 및 표준 조사를 통하여 BPN, SN, GN 시험의 미끄럼저항 성능평가 방법을 비교하고 현장 미끄럼저항 성능평가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미끄럼방지포장의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미끄럼방지포장재 미끄럼저항 성능평가 Test-bed 및 실도로 실증 현장에 미끄럼저항성능이 다른 미끄럼방지포장을 설치하여 성능평가방법(BPN, SN, GN)별 미끄럼저항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SN과 GN은 미끄럼저항성능이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GN은 BPN × 0.01 과 유사하게 도출되었다.

철도노선의 생애주기비용에서 노반건설비와 에너지비용의 상대적 비중 분석 - 경부고속철도 사례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Relative Weights of Cost for Road-bed Construction and Energy on Life Cycle Cost of Railroad -in Case of Seoul-pusan High Speed Rail)

  • 서선덕;김정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261-1267
    • /
    • 2014
  • 철도노선은 도로노선과 달리 운행비용, 특히 에너지비용이 전체 생애주기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부고속철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철도 노반건설비와 에너지비용의 상대적 비중을 분석하였다. 이는 최근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전산화된 철도선형 최적화가 단순히 건설비 최소화만을 목적으로 할 수 없으며, 에너지 비용을 포함한 전반적인 생애주기 비용의 최소화를 목표로 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경부고속철도 운행실적이 아직 10년에 불과하기 때문에 향후 20년간의 운영 시나리오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에너지비용이 건설비용의 10~30%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중보다 낮은 수치이다. 철도 선형 최적화를 위한 방법론 정립에 있어 에너지 비용을 고려할 경우, 그 상대적 비중을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데 본 연구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3D-GPR탐사를 이용한 도로하부 지반상태에 대한 연구 (A Sudy on the Underground Condition of Road Using 3D-GPR Exploration)

  • 이승호;장일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49-58
    • /
    • 2019
  • 3D-GPR탐사를 활용하여 도로하부 지반 상태 분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건과 유사한 테스트베드를 조성하여 각 심도별 공동과 지중매설물에 대한 탐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지반의 유전율을 역산하여 파악하였고, 공동에 대한 탐지심도를 정확한 계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3D-GPR탐사를 통해 도로하부의 공동에 대한 신호파형을 확인하였고, 분석사의 경험적이고 주관적인 기존분석에 비하여 정량적인 분석방법 및 분석인자를 제시할 수 있었다. 도로하부의 지중침하에서도 3D-GPR탐사를 통해 침하분포 및 심도를 파악할 수 있었고, 지반보강 후 탐사해석단면을 통해 지반상태 변화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