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bed structur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8초

국가하천관리자료와 연계한 하천유지관리 기술개발 (Development of a River Maintenance Management Technology Related with National River Management Data)

  • 조명희;김경준;김현정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9-17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RIMGIS) 내 하천유지관리부분의 활용성 향상 및 하천유지관리업무의 선진화를 위하여 항공레이저측량(LiDAR)과 고해상 영상자료를 기반으로 한 동적으로 변화하는 하상자료 관리 및 하상변동 분석 등의 하천유지관리기술을 개발하였다. LiDAR 및 고해상도 영상 형식으로 제작된 하천의 정밀지형도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변화하는 하천의 하상자료 및 제방자료를 정보화하여 RIMGIS DB를 구축하고, RIMGIS와 연계된 하천유지관리체계 구축 및 하상변동 영향을 최소화하는 모니터링 기술을 연구하였다. 또한, 하천 지형정보 및 유지관리정보 등을 가지고 있는 RIMGIS의 기능과 자료구조를 보완하여 하천의 실시간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개선하며, 하상정보와 하천단면정보를 제공하여 하천통수단면 확보 등 구조적 기법을 이용한 하천기능 유지가 가능하도록 RIMGIS 보완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는 기존의 2차원 선(線)기반으로 제공되는 한정된 하천정보 및 정확성이 결여된 자료제공의 문제를 보완하여 지속적인 RIMGIS 기능개선과 유지관리 작업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RIMGIS 내 하천유지관리부분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반기술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구조물에 의한 하천 주변지역 지하수 시스템 변화의 수치 해석 (Numerical Simulation of Groundwater System Change in a Riverside Area due to the Construction of an Artificial Structure)

  • 이정환;함세영;이충모;이종진;김형수;김규범
    • 지질공학
    • /
    • 제22권3호
    • /
    • pp.263-274
    • /
    • 2012
  • 본 연구는 지하수 수치 모델링을 통하여 인공 구조물 건설에 따른 하천주변 지역의 지하수 환경 변화를 평가하였다. 하성충적층의 지하수위는 강우 사건보다는 하천수위의 계절적인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것은 지하수가 하상퇴적층을 통해 하천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부정류 모델링 결과, 지하수위는 하성충적층 내부 저지대에 위치하는 독산의 남쪽과 동쪽 지역, 덤밑산 동쪽 지역에서 상승되고 있으며, 지하수위 상승폭은 6 m 이내로 평가되었다.

자갈하상 하천에서 부착미생물군집의 거동 (Dynamics of Attached Microbial Community on the River with Gravel Riverbed)

  • 박재영;최이송;오종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3호
    • /
    • pp.235-244
    • /
    • 2005
  • 본 연구는 국가하천인 오산천에서 수행되었으며, 하천의 자정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부착미생물군집을 중심으로 하천에서 거동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하천현장에서 장기간에 걸친 모니터링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부착미생물군집의 현존량은 소보다는 여울구간에서 더 높았으며, 여울구간에서도 흐름 유속이 상대적으로 빠른 급여울지역에서 더 많았다. 또한, 부착미생물군집이 하상기질에 부착하는 초기에는 빠른 유속이 부착미생물군집의 증식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지만, 부착미생물군집이 기질에 적응하여 증식하게 되는 중${\cdot}$후반기에는 유속이 오히려 증식을 돕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강우, 댐이나 저수지 방류와 같은 외부압력에 의해 교란이 발생하였을 때, 흐름의 세기와 외부압력의 형태에 따라 탈리되는 정도가 서로 다르고, 부착미생물군집 전량이 탈리되지 않기 때문에 회복속도는 비교적 빠른 것으로 관측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부착미생물군집은 하천의 자정작용에 부정적 혹은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하천의 자정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 하천의 수질특성에 적합한 하상형태가 적용되어야 하며, 각 구간에 적합한 하도구조물을 설치하여 각 구간별 정화작용을 극대화 시킬 수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탄천 생태경관보전지역에서의 10년간 하천경관 형성과정 (The Process of River Landscape for 10years in Tan-chun Ecological Landscape Reserve)

  • 최정권;최미경;이가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07-115
    • /
    • 2017
  • This study illustrated the process of bar structure and vegetation coverage to understand historical changes of riverbed and suppose adaptive management in Tan-chun ecological landscape reserve. The study site that lower reach of the Tan-chun are known as habitats of migratory bird and aquatic species with dynamic riverbed. Aerial photos from 2006 to 2016 and surveyed vegetation data in 2006 and 2016 were used by analysis of landscape changes and comparison of vegetation coverage. Study area is classified into 3 sites (A: straight site, B: meandering site, C: meandering and junction with Yangjae-cheon). The result showed that bar area of A and C sites gradually increased, B site decreased during 10 years. Also, ratio of bar area to vegetation coverage and level of vegetation coverage increased in all sites during 10 years. All sites seem to have experienced the terrestrialization with time. On the other hand, ratio of annual vegetation increased and ratio of perennial vegetation decreased in C site in 2016 compare to 2006. Because area of Japanese Hops (Humulus japonicas) as one type of annual vegetation increased, other vegetation could not grow up by its powerful expandability. It is time to make active adaptive management based on not only continuos monitoring but also revaluation of river conditions in order to enhance habitat quality and quantity in Tan-chun ecological landscape reserve.

SDN-based wireless body area network routing algorithm for healthcare architecture

  • Cicioglu, Murtaza;Calhan, Ali
    • ETRI Journal
    • /
    • 제41권4호
    • /
    • pp.452-464
    • /
    • 2019
  • The use of wireless body area networks (WBANs) in healthcare applications has made it convenient to monitor both health personnel and patient status continuously in real time through wearable wireless sensor nodes. However, the heterogeneous and complex network structure of WBANs has some disadvantages in terms of control and management. The software-defined network (SDN) approach is a promising technology that defines a new design and management approach for network communications. In order to create more flexible and dynamic network structures in WBANs, this study uses the SDN approach. For this, a WBAN architecture based on the SDN approach with a new energy-aware routing algorithm for healthcare architecture is proposed. To develop a more flexible architecture, a controller that manages all HUBs is designed. The proposed architecture is modeled using the Riverbed Modeler software for performance analysi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SDN-based structure meets the service quality requirements and shows superior performance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throughput, successful transmission rate, and delay parameter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routing approach.

낙동강, 서낙동강 및 수영천의 하상 구조와 저토중 중금속간의 상관성 (Riverbed Structures and Correlationships between Heavy Metals of Sediments in the Naktong River, Western Naktong River, and Suyoung Stream)

  • 황선출;이봉헌;박원우;이부용;박흥재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5-54
    • /
    • 1998
  • 낙동강, 서낙동강 및 수영천의 하상 구조와 저토중 중금속 농도 및 중금속간의 상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위 세하천에서 30군데의 시료 채취 지점의 깊이를 측정하고 저토 시료를 채취하였다. 깊이 측정 결과 낙동강이 세하천중 가장 깊었다. 낙동강에서 가장 깊고 가장 얕은 곳은 각각 site 11(11.58m)과 9(3.35m), 서낙동강에서는 site 7(6.25m)과 4(2.06m), 수영천에서는 site 8(2.89m)과 1(0.61m)이었다. 세하천에서 채취한 저토에 함유된 중금속 농도를 분석한 결과 서낙동강에서의 Cd 농도(45.79ppm)는 다른 두하천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b(76.25ppm), Cr(48.13ppm) 및 Cu(77.50ppm)의 농도는 수영천의 저토에서 가장 높았다. 중금속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낙동강에서 Cu는 Cr과 높은 상관성을, Pb는 Cr및 Cu와 아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서낙동강에서 Cu는 Cd 및 Cr과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Cr은 Pb와 아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수영천에서 Cd는 Pb및 Cu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Cr과 Cd 및 Pb, Cu와 Pb 및 Cr은 아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 PDF

서낙동강의 오염 특성과 오염 퇴적물의 활용 방안 (Pollution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River Sediment of the Western Nakdong River)

  • 박흥재;유수진;이봉헌;정징운;안호기;박원우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1-55
    • /
    • 2001
  • The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alysis and the heavy metal analysis of river sediment in the Western Nakdong river, and then a commercial tile using the polluted sediment was produced.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riverbed structure and the depth distribution in the Western Nakdong river were that Macdo Stream(site 2) was the deepest(13 ft). The analytical result of water quality showed that BOD was the highest in the Hogei Stream(site 6); COD, Syanduengchi Island(site 1);SS, Macdo Stream(site 2);T-N, Suanduengchi Island(site 1);T-P, Macdo Stream(site 2). Therefore the deeper the site was the higher the pollution concentration was. The result of heavy metal analysis of the river sediment was that Pb and Cr were the highest in Kangdong Bridge(site 9); Cd, Macdo Stream(site 2), so the deeper the site was the higher the pollution concentration was. The production of tile using the mixure of the polluted sediment and the raw material was successful, so the reuse of polluted sediment was possible.

  • PDF

낙동강 하류의 하상구조와 오염물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Riverbed Structure and Pollutant Concentration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 황선출;정성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81-494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sediment and the depths of 27 sampling sites along the West Nakdong river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The deepest site was Kangdong bridge nearby 20ft. From here, the depth was shallowed to Chidong gradually. In each site the smaller mesh was, the liger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becomed. Concentration of Zn, Cd, Cr and Cu at inflow point of Shinoe stream was 576.016 ppm, 262.307 ppm, 68.674 ppm and 61.634 ppm,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was the higest at this point. From here, it was lowered gradually.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at inflow point of Joman river was 155.328 ppm, 56.485 ppm, 25.200 ppm and 31.172 ppm, respectively, those concentrations were liger than other points with the exception of Shinoe stream. Therefore, woman river and Shinoe stream were the major source of pollution in West Nakdong river. Among two sources Shinoe stream was more important source of pollution. West Nakdong river has become lake by Noksan floodgate because it's pollution has had influence on Bonglim.

  • PDF

서식처 유형에 따른 갑천의 어류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Gap Stream by Habitat Type)

  • 이동준;변화근;최준길
    • 생태와환경
    • /
    • 제42권3호
    • /
    • pp.340-349
    • /
    • 2009
  • 2007년 4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갑천의 자연형 구간 가운데 7개 지점을 선정하여 각 서식처별 어류군집의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조사지점은 폐쇄형 웅덩이(Closed pool), 평여울(Runs), 급여울(Riffles), 내만형 웅덩이(Opened pool), 소(Pool), 징검여울(Rock-scattered riffles), 댐형 웅덩이(D-type pool)등으로 구분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8과 29종이 출현하였으며, 서식처를 대표하는 표징종은 붕어 (Corassius ouratus, St. 1),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St. 3), 납자루(Acheilognathus lanceolatus, St. 4), 피라미 (Zacco platypus St. 2, 5, 6, 7) 정도로 구분하였다. 붕어(C. auratus)는 폐쇄형 웅덩이(St. 1)와 같이 하상구조가 대부분 모래로 구성되고 수심은 65$\sim$90 cm 정도로 다소 깊으며 유속이 거의 정체된 수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쉬리 (C. splendidus)는 급여울(St. 3)과 같이 수심이 8$\sim$38cm정도, 유속 $0.14\sim0.85\;m\;sec^{-1}$ 정도, 그리고 하상구조는 작은돌과 조약돌이 산재된 곳에 주로 서식하며 유속이 빠르기 때문에 BOD, COD, TN, TP, SS의 농도는 낮으며 DO는 높게 나타나는 곳을 선호하였다. 납자루(A. lanceolatus)는 개방형 웅덩이 (St. 4)와 같이 수심이 3$\sim$44cm정도,유속은 $0.01\sim0.02\;m\;sec^{-1}$로 낮은 수심과 느린 유속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라미 (Z. platypus)는 평 여울(St. 2), 소(St. 5), 징검 여울(St. 6)댐형 웅덩이(St. 7)등 여러 서식처에서 우점하였는데 주로 유량이 풍부하고 하상구조가 다양한 지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징검여울(St. 6)에서 미호종개(Iksookimia choii)가 4개체 출현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출현한 미호종개(I. choii)의 서식지는 하폭 24 m 정도, 수심 이 3$\sim$35 cm 정도, 유속은 $0.01\sim0.49\;m\;sec^{-1}$ 정도를 나타내며 하상구조는 큰돌부터 모래까지 다양한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수질측정 결과 수온, EC, BOD, COD, TN, TP의 농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DO, SS의 농도가 비교적 높은 범위를 나타내어 이와 비슷한 물리, 화학적인 서식 환경이 조성되어야만 미호종개(I. choii)가 서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리구조물 설치에 따른 흐름특성 및 하상변동 연구 (An Assessment of Flow Characteristic and Riverbed Change by Construction of Hydraulic Structure)

  • 곽재원;진환석;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42-550
    • /
    • 2017
  • 흐름특성과 하상변동의 추정은 하천유역 내 수리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홍수터 관리, 하천개수 및 하도의 안정 등을 위한 기본적인 요소이며, 하천관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하도 내에 수리구조물 설치에 따른 흐름의 특성과 그에 따른 하상변동을 추정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금강 대청댐 하류부 11.65km 구간을 대상으로 RMA2 모형 및 SED2D 모형을 이용하여 수리구조물의 신설로 인한 흐름특성의 변화와 빈도별 홍수량에 따른 하상변동을 모의하였다. 연구결과, 수리구조물 설치로 인해 상류부에서는 하상 상승, 하류부에서는 보 설치전과 유사한 형태의 침식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