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zone

검색결과 518건 처리시간 0.025초

울산 태화강하류의 겨울철 조류 모니터링 연구 (Winter bird monitoring of lower Taehwa river in the Ulsan city)

  • 이종남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81-88
    • /
    • 2005
  • 2001년부터 2004년동안 4년간에 걸쳐 조사된 태화강하류의 겨울철새는 11목 21과 58종 최대 출현개체수는 14,034개체이다. 연도별로 출현 사항을 보면 종수의 경우 2001년 48종에서 2004년 31종으로 매년 줄어들고 있다. 한편 개체수의 경우 2002년에 11,991개체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2004년이 3,476개체로 가장 적게 조사되었다. 5% 이상의 우점종은 흰죽지 Aythya ferina(6,946개체), 떼까마귀 Corvus frugilegus(1,643개체), 붉은부리갈매기 Larus ridibundus(1,193개체),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805개체)로서 이들 4종의 개체수 합(10,587개체)이 전체 개체수의 75.4%를 차지한다. 태화강에 도래하는 조류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강변 가까운 곳에 조류들의 먹이장소 조성, 쉼터 등 완충지대를 만들어주고 도로와 고수부지 사이는 수목대 또는 차광대와 방음벽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시민들의 철새에 대한 보호 의지가 강해야 한다. 또한 철새들이 많이 도래하는 태화강과 동천의 합수부 일대, 조류들의 번식지와 잠자리로 이용하는 대밭 지역($2{\times}0.1km^2$)의 서식지 보호 및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 PDF

팔당호의 수리 및 수온 조사를 통한 물순환특성 분석 (Analysis of Water Circulation Characteristics for Hydraulic and Water Temperature Investigation in Paldang Reservoir)

  • 최황정;조용철;유순주;송용식;류인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1호
    • /
    • pp.12-2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팔당호 내 주요지점에서 수심별 연속 수리 및 수온 조사를 수행하여 팔당호의 시공간적 물순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포보와 청평댐에서의 수온 및 방류 패턴의 차이로 인하여 팔당호 내 북한강 및 남한강 구간에서의 흐름 및 수온 변동특성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수직혼합기에는 북한강과 남한강 구간의 전 층에서 하류방향 흐름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성층형성기에 이포보 방류수의 수온이 청평댐 방류수의 수온보다 높았으며, 이로 인해 북한강 하류 구간에서 표층은 상대적으로 고온수가 위치하여 상류방향 흐름으로 배수 현상이 나타나고 수렴대가 형성되었다. 남한강 하류 구간은 중층과 저층에서 저온수가 분포하여 상류방향 흐름이 나타나고 표층과 혼합되기 어려운 이층류 구조를 나타내었다.

Description of Two Oxytrichid Ciliates (Ciliophora: Sporadotrichida: Oxytrichidae) Newly Reported from Korea

  • Kwon, Choon-Bong;Shin, Mann-Kyo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6권3호
    • /
    • pp.307-316
    • /
    • 2010
  • To investigate the Korean ciliate fauna, two oxytrichid ciliates, Laurentiella strenua (Dingfelder, 1962) and Notohymena australis (Foissner and O'Donoghue, 1990) were collected from the Taehwa River in Ulsan, South Korea. These two ciliate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Descriptions were based on the observation of live and silver stained specimens. Diagnoses of these species are as follows: Laurentiella strenua: body is approximately $320{\times}170\;{\mu}m$ in size, an inverted triangular shape. Cytoplasmic globules are present in both anterior and posterior margins, transparent and sized $10-15\;{\mu}m$ in live specimens. Adoral zone of membranelles is covering about 50% of body length. Frontoventral-transverse cirri are arranged diagonally into 5 rows. Transverse cirri are arranged almost longitudinally and varied 4-6 in number. Dorsal kineties are 11 rows with multiple fragmentations. Macronuclei are 4-5 in number. Notohymena australis: body is approximately $170{\times}50\;{\mu}m$ in live specimens, slender and long ellipsoidal shape. Yellowish green cortical granules are present as pairs or rows which composed of 3-6 granules. Adoral zone of membranelles is covering about 36% of the body length, composed of 39-50 adoral membranelles. Dorsal kineties is 6 rows. Macronuclei are 2 in number.

하천 제방 단면 특성이 동수경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해석적 연구 (A Analytical Study on Influence of Gradients on Section Characteristics of River Banks)

  • 변요셉;김종일;백승인;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3-19
    • /
    • 2012
  • 최근 기상이변에 의해 대형 태풍과 집중 호우가 발생하게 되었고, 이로 인한 이상 홍수로 인해 제방 붕괴를 일으켜 인근지역에 직접적인 큰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가져오게 되는 일이 적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하천제방 단면의 주요 특성치인 제방 둑마루 폭, 비탈면 경사도, 제방 높이의 변화에 따른 수치해석을 실시하였고, 유출부 동수경사를 분석하여 제방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탈면 경사의 확대가 둑 마루폭 증가보다 유출부 영역에서의 동수경사 감소 효과를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즉, 하천 제방 설계 및 보강 시 비탈면 경사의 확대가 둑 마루폭 증가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철원군 승일교 인근의 화강암 지형 경관 (Granite Landforms in the Vicinity of Seungil-gyo Bridge at Cheorwon, Central Korea)

  • 이민부;한주엽;김창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37
    • /
    • 2012
  • 본 연구는 강원도 철원군 명성산 화강암과 현무암 용암대지 사이의 접촉대인 한탄강 승일교 인근 지역의 독특한 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화강암 하천 침식 및 퇴적 지형과 풍화 지형 분석을 다루고 있다. 주요 화강암 지형으로서는 심층풍화된 구릉, 면상침식지형, 고지형면 및 고토양, 하천작용과 관련된 미지형으로 돌개구멍과 그루브, 램 파트형의 암괴, 사주와 사력퇴, 그리고 구하상 등이 있다. 그리고 풍화가 덜 진전된 구릉의 일부로 하천의 측방이동을 방해하는 화강암 하식애 지형이 있다.

만경 동진강 하구계의 동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염분 (Salinity and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Estuarine System of Mankyong River and Dongjin River)

  • 서해립;서호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1-192
    • /
    • 1991
  • 만경 동진강 하구계의 표층에 분포하는 동물플랑크톤을 1989년 10월과 1990년 3 월, 5월 그리고 7월에 표준 네트로 수평 채집하였다. 우점하였던 주요 분류군은 10월 과 3월은 요각류, 5월과 7월은 야광충이었다. 동물플랑크톤의 출현량은 개체수가 $12~9,256ind./m^3$, 습증량이 $2.8~1,889.8{\;}mg/m^3$ 범위로 상당한 시공간적인 연동을 보 였다. 요각류의 우점종은 10월에 Pseudodiaptomus inopinus와 Paracalanus indicus, 3 월에 Acartia hudsonica와 P. indicus, 5월에 A. hudsonica와 Centropages abdominalis 그리고 7월에 A. pacifica P. indicus와 Tortanus spinicaudatus로 변하 였다. 7월에는 강물의 유입량 증가로 정점간 염분변화가 심하게 나타났으며 ($0.7~28.9\textperthousand$), 이것은 요각류의 군집구조를 변화시켰다. 중염기수역($5.0~28.0\textperthousand$)에서는 Acartia pacifica, A. hudsonica, Centropages tenuilemis, C. abdominalis, Labidocera euchaeta, Tortanus spinicaudatus, Corycaeus affunis 그리고 Paracalanus indicus 8종이 분포 하였다. 저염분에 강한 요각류가 빈염기수역($0.5~5.0\textperthousand$)에 분포하였으며, 이들은 Thermocyclops hydlinus, Pseudodiaptomus inopinus 그리고 Sinocalanus tenellus 의 3종이었다. 고염기수역($>28.0\textperthousand$)에서는 Labidocera bipinnata, Oithona similis, Calanus sinicus, Acartia omorii 그리고 Tortanus forcipatus가 나타났다.

  • PDF

Use of the cast net for monitoring fish status in reservoirs distributed in the Korean peninsula

  • Yoon, Ju-Duk;Kim, Jeong-Hui;Lee, Hae-Jin;Jang, Mi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3호
    • /
    • pp.383-388
    • /
    • 2015
  • Reservoirs consist of two different environments, the littoral and the pelagic zone, and different fishing gear is commonly used in each zone-gill nets in the pelagic zone and electrofishing in the littoral zone. However, an active fishing gear, the cast net, is normally used instead of electrofishing for scientific studi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estimate cast net effectiveness for determining fish status in reservoirs, the study was conducted at 15 reservoirs with two different fishing gears: a cast net in the littoral zone and gill nets in the pelagic zone. When combining catches of both gears, species richness increased substantially compared to using one gear only. There was a size difference in fish caught by each net, and small fish were predominantly caught with the cast net due to its small mesh size (7 mm). The combined length of six species, used for length-weight relationship analysis, collected with the cast net was smaller than that collected with gill nets (independent t-test, P < 0.05). In this study, cast net sampling provided sufficient data for the littoral zone, but not enough to identify the overall fish assemblage in studied reservoirs. Utilization of only one gear can therefore lead to substantial underestimation of fish status, and a combination of both gears is recommended for determining more reliable estimates of fish status in reservoirs.

'태국 연안역의 지진해일 충격' 야외답사 보고 (Report on the Field Excursion, 'Tsunami impact on the coastal zone of Thailand')

  • 장세원;이희일;박영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3호
    • /
    • pp.171-180
    • /
    • 2005
  • 2004년 수마트라 지진에 의해 야기된 지진해일의 충격과 관련하여 태국 피해연안에서 "Tsunami impact on the coastal zone of Thailand"라는 제목의 야외답사가 3일간 수행되었다. 태국 안다만해 연안의 지진해일 피해지역은 피해정도에 따라 심한 피해 연안역, 중간 피해 연안역, 약한 피해 연안역으로 구분된다. 하구의 수로들은 넓어지고 해빈 모래는 침식되어 인근해역이나 배후지역에 재퇴적되었다. 답사는 심한 피해 연안역인 팡아(Phang Nga)주와 약한 피해 연안역인 푸켓 섬 등 대표지역의 총 12개 지점에서 수행되었다. 본고에서는 지진해일 이전과 이후의 위성자료와 현장답사 사진을 중심으로 지질해일이 태국의 연안역에 미친 지질학적 영향을 소개한다.

라이다 데이터와 항공 정사영상을 활용한 인공 제방선 지도화 (Mapping Man-Made Levee Line Using LiDAR Data and Aerial Orthoimage)

  • 정윤재;박현철;정연인;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4-93
    • /
    • 2011
  • 제방선 지도화는 하천지역의 환경보호와 하천 범람 방지, 그리고 하천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라이다(LiDAR)와 항공 정사영상(aerial ortho-image)과 같은 원격탐사 데이터의 활용은 대상 지역에 접근하지 않고도 대상 지역에 관한 지형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하천 지도화 작업에 효율적이다. 라이다 자료는 얕은 물을 관통하는 능력과 높은 수직 정확도 때문에 하천구역 지도화 작업에 활용되어 오고 있다. 영상자료의 활용 또한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여러 특징들을 추출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하천 지도화 작업에 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라이다와 항공 정사영상을 각각 활용하여 3차원 제방선 지도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지상 실측정보들을 통해 두 자료로부터 추출된 제방선들의 정확도를 측정하고, 두 측정 결과들을 비교한다. 통계적인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라이다를 활용하여 추출된 3차원 제방선이 항공 정사영상을 활용하여 추출된 3차원 제방선에 비해 수평 및 수직 정확도가 훨씬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낙동강 하구 부근의 해양 환경 조사 연구 (Ecological Survey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 박청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2권4호
    • /
    • pp.1-20
    • /
    • 1986
  •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surveys on Nakdong River estuary were made from October, 1985 to September, 1986. 1. For all the seasons except summer, the sea surface temperature in northwest area of the line which linked from Seo Island to Jisim Island was I-2$^{\circ}$C lower than in southeast area, but in summer the sea surface temperature in northwest area was I-2$^{\circ}$C higher than in southeast area. On the contrary, bottom temperature of coastal area was 1$^{\circ}$C higher than that of oceanic area except winter. 2. Surface salinity in summer and fall has minimum value of 1. 9%0 and maximum value of 32.9%0. This large variation was caused by the runoff of the Nakdong River. Effect of less saline Nakdong River water in northwest area of the line which linked from Seo Island to Jisim Island was greater than in southeast area. A strong current rip always formed near this line. 3. The yellowish-green colored zone was observed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throughout the year by influence of river dischar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quality in the zone have shown that the water color was grade 7 by the Forel water-color meter, transparency was less than 4 m, and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s was more than 5 mg/1. This water body was in the state of eutrophication in terms of chlorophyll-a and inorganic nitrogen concentration during summer season. 4. During the study period, total 276 taxa were identified. Most of them were diatoms and dinoflagellates which consisted of 97.5%. The component ratio of the above two groups was 84.4% and 13.1 % respectively. Diatoms were plentiful in December and dinoflagellates in July. Dominant species were Nitzschia seriata in October, Thalassiosira rotula in December, Skeletoncma costatum in April, and Nitzschia longissima in July. 5. A total of 47 zooplankton taxa was identified from the samples collected. Copepods were numerically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tudy area. The domir:ant copepod species were Paracalanus parvus, Acartia clausi and Temora turbinata. Noctiluca scintillans was the next important component. The other zooplankton with minor abundance were Cladocera. Sagitta spp., Cnidaria, Mysidacea, Lucifer spp. and Amphipoda. 6. During the study period, fishes from 47 families and 87 species were sampled in th~ study area. The four most abundant fish species were Rep~mucen//'s valencicnnei, Leiognathus n~cha!is, Amblychaeturicllthys hexanema and Sardirel/a zun:zsi. The fish species of the secondary importance in abundance were Cynoglossus joyneri, Sillago sihama, Engra~lis japonicus, Encdrias nebulos'l, Acanthogobius flavimanus, Trichiurus lepturus, LiParis tanai/ai, Cynagloss//'s interruptus, Aj)ogon line:z!us, Thrissz la 1l.'1la!ensis, and Limanda yokohama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