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section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21초

낙동강수계 수질의 시·공간적 특성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patio-tempor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 River)

  • 서미진;조창대;임태효;김상훈;윤현정;김용석;김경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3-320
    • /
    • 2019
  • Water quality is characterized by various complex factors. Therefor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water quality trends is required to carry out a proper evalu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patio-tempor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 River using five-year data from 2012 to 2016. Data was collected on the pH, DO, BOD, COD, SS, TN, TP, TOC, WT, EC, $NH_3-N$, $NO_3-N$, $PO_4-P$, Chl-a, rainfall, and total and fecal coliforms. A total of 38 water quality measurement stations, from Andong1 to Gupo, were considered.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trend, cluster, and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ominant water quality components affecting the Nakdong River. The Nakdong River was spatially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for up-stream (Andong1 to Sangju1), mid/up-stream (Donam to Dalseong), and mid/down-stream (Hwawonnaru to Gupo) data collection, and temporally into two groups for summer/fall (7~10), and the rest of the season (11~6) data. The water quality of the entire Nakdong River showed trends similar to the mid/down-stream section, which indicates the importance of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is section. Suspended solids, phosphorus, and coliform groups were established as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summer/fall season across the river, especially in the mid/down-stream section. Nitrogen and organic matter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rest of the season, especially in the mid/up-stream section. This study could help determine the water quality components that should be intensively monitored in the Nakdong River.

ACCURACY IMPROVEMENT OF AN APPROXIMATE COST ESTIMATING MODEL FOR RIVER FACILITY CONSTRUCTION

  • Siwook Lee;Sungkwon Woo;Jeongyoon Lee;Inwook Choi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201-1208
    • /
    • 2009
  • A making a decision of construction cost has important meaning and function for both contractor and owner in construction projects. Especially, it should be premised that estimating the construction cost in efficient and rational way in public construction, which is invested by government funds, for efficient execution of the budget and investment as a side of government. The systematic methodology for estimating construction cost approximately of a river facility construction project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because of its unique characteristics including its relatively small project size in terms of cost. On this study, It collect and analyze a river facility construction historical cost data for develop an approximate cost estimating model for river applied by typical embankment section method and rate application of the others activity type. And it verify suitability of model through a that result of application of real river facility construction statement at developed model. By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reasonable and systematic estimating construction cost through application of developed model.

  • PDF

한강하구에서 하도변화와 식물천이의 상호작용에 따른 습지형성 기작 (Mechanism of Wetland Formation according to Interaction of River Bed Fluctuation and Plant Success in the Hangang River Estuary)

  • 이삼희;윤석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0-330
    • /
    • 2022
  • 하구둑과 같은 횡단구조물이 없는 자연 하구인 한강하구는 바다와 하천을 연결하는 생태통로로서 생물종 다양성이 풍부하여 생태 가치가 높다. 한강하구에서는 유사분급이 입체적으로 다양하게 분포하여 기후변화 및 하천개발 등과 같은 여러 변화 요인에 따라 하상구조가 민감하게 변하는 특성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하도육역화와 하도복단면 발달의 원인이 된다. 국가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장항습지에서는 하도 지형변화에 따라 식물천이가 현저하다. 본 연구 목적은 이에 대한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습지형성 기작을 규명하는 데 있다. 조사연구 결과, 인위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초기의 장항습지가 이후 성장하는 과정에 유량에 따른 하도 미지형 변화와 식물천이 사이에 상호 밀접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하상의 주재료(모래)가 아닌 부재(Sub-materials of river bed)인 점성의 표층 하상재료(워시로드 성질의 미세립사)가 선구식물(새섬매자기 등)에 포집되면서 복단면 형태(습지)로 성장하는 데 매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습지가 하도복단면 형태로 발달한 후에는 선구식물이 다른 식물종으로 천이되는 양상도 나타났다.

무인기 지원 RGB 영상과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하천 수심 추정 (Estimation of river water depth using UAV-assisted RGB imagery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 문현태;이정환;육지문;문영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2호
    • /
    • pp.1059-1070
    • /
    • 2020
  • 하천단면 계측자료는 하천관리를 위한 유량산정 및 홍수 예·경보 방안 등 수리·수문 모델링 관련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입력자료 중 하나이다. 그러나 불규칙한 기하학적 구조로 이어지는 하천의 정확하고 연속적인 단면자료의 취득은 시간과 비용적 측면에서 큰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연속적인 하천특성의 공간분포를 시간과 비용, 인력의 투입을 최소화하여 계측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RGB기반 항공 이미지와 실측 자료를 이용한 다중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각 단면별로 수심을 추정하고 연속적인 단면 추정 가능성과 정확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실측 자료와 비교검증을 통해 공간적으로 이질적인 관계를 포착할 수 있는 수심 약 2 m 내외에서 수심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확하고 연속적인 하천 단면 취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GIS와 FLUMAN을 이용한 남강 저지대 침수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undation Analysis of the Nam River Lowland Using GIS and FLUMAN)

  • 최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9-5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이상기후 및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 집중호우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피해들을 대비하고 상황에 맞는 대응을 위한 침수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낙동강의 지류인 남강유역에 대하여 국 내외 홍수위험지도 작성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FLUMEN 모형을 적용한 하도 및 제내지의 2차원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ArcView에 의해 지형을 $5m{\times}5m$의 수치표고모형을 생성하여 하천의 수리 수문특성 분석 및 침수지역 식별의 정확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침수 모의 결과 1구역에 163.3 ha, 2구역에 227.7ha 그리고 3구역은 59.9 ha의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모의되었다.

교량밀집 구간의 흐름특성과 하상변동 모의 (Flow Characteristics and Riverbed Change Simulation on Bridge-intensive Section)

  • 조홍제;전우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6B호
    • /
    • pp.589-598
    • /
    • 2010
  • 하천단면의 형상이 복잡하고 교량이나 보등과 같은 수리구조물이 짧은 구간에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는 경우, 흐름특성이나 하상변동 양상에 대한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울산광역시를 관통하는 태화강의 삼호교 부근 약 250 m 구간에는 3개의 교량이 설치되어 있고, 상 하류에 각 1개씩의 지천이 유입되고 있어 홍수시 수위변화와 세굴 등에 의한 단면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화강이 삼호교(구)를 기준으로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으로 나뉘는 구간이라는 이유로 상 하류 구간을 1차원 모형을 통해 따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HEC-RAS 모형과 2차원 SMS 모형의 RMA2 모형을 이용하여 교량밀집과 지천유입에 따른 흐름특성을 상 하류 연계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SMS 모형의 SED2D 모형을 이용하여 같은 구간에 대한 하상변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속된 3개 교량에 대한 HEC-RAS 모형 과 RMA2 모형의 수위차는 0.87 m였고, SED2D 모형에 의한 하상변동 모의결과는 교각간격이 좁고 중간에 위치한 삼호교(문화재)에서 최대 0.231 m가 세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하천기본계획시 교량밀집 지역이나 단면 및 흐름 변화가 심한 구간에 대해서는 2차원 모형에 의한 홍수위 산정과 교각의 세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고, 국가하천 및 지방하천에 대한 통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GQPM에 대한 10일강우예측은 첨두강수와 강수총량에 있어서 다소 과소한 모의값을 보이고 있으며, 강수보정효과도 RDAPS에 비하여 저조한 수준이었다. 이 부분은 강수예측의 사후보정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원시예측모형의 안정화를 통하여 개선할 수 있는 부분으로 판단된다.

한강 연안 경관 녹화 계획

  • 권오준
    • 한국기술사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사회 1995년도 제25회 한일기술사 합동 심포지엄 한국편 자료(2차)
    • /
    • pp.23-29
    • /
    • 1995
  • Green landscape plan to the riverfront area of the Han River The Han River, one of the symbolic elements in metropolitan Seoul, structures an axis of waterscape as the openspace crossing east to west of the city of Seoul. As riverside urban motorway(88 Olympic motorway) and riverside public park were constructed by the Han River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in 1986, the necessity of general plan for the in-stallation of envirommental facility belt to conserve living enviroument is being required with relation to, dense residential areas closed to the river Therefore, the goal of the study is to provide better riverview and to increase environmental purifi-cation ability as a large scale waterscape axis by the preparation of landscape plan to the riverfront area of Han River,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study deals with sectional speciality, the introduction of landscape assessment techniques and ecological approach to given environment. As unity is kept through whole waterfront area, the area is divided into 9 zoning sections to study development methods for each section, and themes for speciality are given to each section, and the. sort of plants which can be symboliged to the area is selected. Also, the planting methods for harmony with the type of road structure and riverscape is offered. Though the study may give significane to the image and the function of riverside road,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 ecological approach to the river is so limited that has not been reflected enough on the plan.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should be continued, and long-term riverfront openspace pla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should be arepared.

  • PDF

Mechanism for Bank Erosion and Local Scouring in Estuary of the Hangang River

  • Lee, Samhee;Han, Hyeongjun;Choo, Jeongho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53-462
    • /
    • 2014
  • The levee and bridge pier in estuary of the Hangang River are exposed in a dangerous condition due to bank erosion and local scouring occurred since the summer season in 2011. At first, it is presumed that the high sandbar formed in river channel of the study area w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occurrence of bank erosion and local scouring. It can be presumed that the record-breaking depth of freezing due to cold wave for the long term during the winter season between 2010 and 2011 as well as the heavy intensive rainfall of 2011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first damage of A section. The second damage of B section mainly occurred around the bridge pier constructed on the high water channel before it was washed away during the winter season between 2011 and 2012. It is considered that the second damage was caused by ice formation and ice floes.

창녕·함안보 방류량에 따른 하류지역 및 하구역의 수리환경특성에 관한 연구(1) (Study on Water Level and Salinity Characteristics of Nakdong River Estuary Area by Discharge Variations at Changnyeong-Haman Weir(1))

  • 김태우;양현수;박병우;윤종성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61-366
    • /
    • 2018
  •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variation factors in inducing a salinity change using the existing observation network in the section between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and Changnyeong-Haman Weir, and also examined the seasonal changes in precipitation, salinity, and discharge.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s of a salinity increase by collecting observational data during a period when abnormal salinity occurred, and further investigated the salinity transfer time in a section of approximately 5.3 km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to Nakdong River Bridge to underst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alinity moving upstream. The study results would make it possible to control the increase in salinity and block salt water from moving upstream by understanding the salinity vari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ischarge amount. This will provide stability in collecting water from various residential, agricultural, and industrial sources through water intake facilities scattered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