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iver policy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24초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 산림경관의 구조적 패턴 분석 (Patterns of Forest Landscape Structure due to Landcover Change in the Nakdong River Basin)

  • 박경훈;정성관;권진오;오정학
    • 농촌계획
    • /
    • 제11권4호
    • /
    • pp.47-57
    • /
    • 2005
  •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landscape-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atersheds in the Nakdong River Basin by using Geog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landscape indices for integation of spatio-temporal informations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Fragmentation index and change matrix techniques using factor analysis and grid overlay method were used to efficiently analyze and manage huge amount of information for ecological-environmental assessment (land-cover and forest landscape patterns). According to the results based on the pattern analysis of land-cover changes using the change detection matrix between 1980s and 1990s, addition on 750km$^2$ became urbanized areas. The altered 442.04km$^2$ was agricultural areas which is relatively easy for shifting of land-use, and 205.1km$^2$ of forests became urbanized areas, and average elevation and slope of the whole altered areas were 75m and 4$^{\circ}$. On the other hand, 120km$^2$ of urban areas were changed into other areas (i.e., agricultural areas and green space), and fortunately, certain amount of naturalness had been recovered. But still those agricultural areas and fallow areas, which were previously urban areas, had high potential of re-development for urbanization due to their local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tructural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using the landscape indices, the forest fragmentation of watersheds along the main stream of the Nakdong River was more severe than my other watersheds. Furthermore, the Nakdong-sangju and Nakdong-miryang watersheds had unstable forest structures as well as least amount of forest quantity. Thus, these areas need significant amount of forest through a new forest management policy considering local environmental conditions.

주민참여형 유역관리를 위한 하천모니터링 활동의 적용가능성 연구 - 무심천유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iver Monitoring Activities for Residents Participatory Watershed Management - Focusing on the Musim River Basins -)

  • 이은정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1호
    • /
    • pp.57-67
    • /
    • 2017
  • 최근 우리나라 유역관리정책을 보면, 조류 중점관리 지류 선정, 지류총량제 시범적용 등 중앙정부 주도의 본류중심 관리에서 소단위 지류 지천 관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발맞춰 소단위 하천을 대상으로 일상적, 자발적, 맞춤형 관리가 가능하도록 주민참여형 유역관리방안을 설계 및 제안한 후, 주민이 참여하는 하천모니터링 활동을 무심천유역에 시범적으로 적용해 보았다. 총 30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주민 1명씩 배치하여 격주로 총 10회동안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문서화되지 않은 실제 유역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사각지대의 오염원 실태를 통해 소단위유역별 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조사 내용이 각종 계획에 반영될 수 있는 상향식 접근이 가능한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유역관리를 위한 선행조건으로 판단된다.

기후변화와 사회경제요인 변화에 따른 4대강의 물부족 피해 추정 (Climate Change and Socioeconomic Change Effects on the Four Major Rivers: An Economic Appraisal)

  • 이윤
    • 환경정책연구
    • /
    • 제11권4호
    • /
    • pp.107-130
    • /
    • 2012
  • 본 논문은 한반도의 기후변화 영향이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물부족과 가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대상지역은 4대 하천이 중심이 되었다. 물론 기후변화의 영향은 강수량의 증가로 인한 홍수피해의 증가와 온도 상승 및 강수량의 감소로 인한 가뭄의 증가로 구분되어 설명해야 한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자료의 한계와 홍수피해를 산정하기 위한 우리나라의 침수피해모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후변화의 영향이 가뭄피해에 국한되어 연구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률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gamma function을 이용하여 실패확률 5% 이내에서 추산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확률모형으로 연구의 분석 방법을 확장할 수 있다. 정치한 분석을 위해서 할인율은 단기, 중기, 장기로 구분하여 각각 2.76%, 1.45%, 0.62%로 가정하여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한강수계를 제외하고는 단기에 피해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강의 경우는 생활용수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물 수요가 증가하는 것이 초기에 물 부족 현상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피해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민지불의사에 기초한 태화강 수질개선의 사회적 편익 (Social Benefits of Improved Water Quality at the Taehwa River Based on Citizen's Willingness-to-Pay)

  • 김재홍
    • 환경정책연구
    • /
    • 제6권1호
    • /
    • pp.83-109
    • /
    • 2007
  • 본 연구는 이중양분선택형 조건부가치측정 법을 이용하여 태화강 수질개선의 편익에 대한 울산시민의 지불의사를 계량화하였다. 이변량 프로빗 모형으로 추정한 태화강 수질개선의 편익은 가구당 월평균 3,458.5원(표준편차 1,553.4원)으로 추정되어 울산광역시 전체로는 연평균 147.6억 원(140.4억 원$\sim$155.5억 원)에 이른다. 이러한 추정치는 태화강 수질을 개선하지 않을 경우의 수질오염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또는 수질개선에 의한 사회적 편익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태화강 수질개선의 사회적 편익을 화폐가치로 추정함으로써 다양한 태화강 수질 개선사업의 타당성 검정을 위한 비용편익분석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방법론적 측면에서 표본선택모형을 이용하여 이중양분선택형 설문을 이용한 조건부가치측정법에서 발생 가능한 두 응답 간 상호의존성 유무를 검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에서는 지속성 가설, 정박가설, 비용기대가설, 긍정응답가설, 프레임가설 등 모든 종류의 두 응답 간 상호의존성이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무독성 호안블록의 수리학적 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Hydraulic Stability of Non-toxic Revetment Block)

  • 김상우;구영민;김영도;박재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987-99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하천 복원의 자연친화적인 설계를 위한 무독성 호안공법의 수리적 안정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공학적 효율 위주의 치수 기능만을 위한 하천관리 정책에서 벗어나 하천의 환경적 기능의 개선을 위한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신규 호안공법에 대한 부적절한 수리학적 설계기준이 자주 홍수기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 사석 및 블록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는 크게 하천에서 제방, 하상보호, 세굴방지 등의 목적과 바다에서 호안 또는 방조제의 축조에 따라 투하하는 사석의 안정성에 기초를 둔 연구가 대부분이며 경험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고 유속 3.5 m/s인 고속수로를 제작하여 수리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무독성 접착제를 이용한 블록공법에 대한 다양한 조건의 수리실험을 통해서 수리적 안정성을 위한 호안블록의 한계유속을 구하였다.

비우량 방법에 의한 논 오염부하 원단위 산정시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Effective Rainfall Ratio Method for Estimating Unit Load from Paddy Fields)

  • 정재운;윤광식;윤석군;최우정;최우영;허유정;조경민;홍정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49-854
    • /
    • 2009
  • Pollutant unit load (unit-load) repor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MOE) in 1995 has been a useful method for watershed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The unit-load has been estimated using effective rainfall ratio method. However, reliability of unit-load determined by the method has been criticized especially for paddy field and upland conditions. In this paper the unit-load of paddy field estimated by effective rainfall ratio method was compared with continuous monitoring data. Annual loads was simulated by the method choosing 5~6 storm events randomly from whole events collected. Probability distribution of difference between results by the method and measured data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unit-load derived by the method was generally lesser than measured unit-load and showed wide variations. Therefore, unit-load estimation of paddy fields by effective rainfall ratio method need caution.

수질오염총량관리 대상물질 확대를 위한 한강수계 하천수질 경향 및 수질특성 분석 (Analysis of Water Qulity changes & Characterization at the Watershed in Han River Basin for Target indicator in TMDLs)

  • 최옥연;김홍태;서희승;한인섭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5-33
    • /
    • 2017
  • Based on the existing pollutant emissin standards which are armed at the pollutant concentration of each pollution source, government formulated and implemented new management system of total water pollutant emission. By virtue of this new management system, pollution loading amount of individual watershed could be controlled, which achieved the requirement of water quality management such as TP and BOD. In initiate stage of it's implement, BOD was selected as object of water quality management, While it'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tinuity of water quality data and established pollutant management laws and policy. During the ongoing management, TP management was added into the system while simply BOD management was not enough. However, the frequency of algae bloom in Han-river showed a trend of same, even though TP was treated as additional control target. Therefore, this paper will analyze different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characteristic of water quality, so that this study can be provide as reference for watershed management of water quality, by which the applicable management period and target pollutant can be selected in the future.

하천 부유 쓰레기 상습 정체 구간의 수환경 및 생물다양성 영향 평가 (Impact assessment to the Water Environmental and Biodiversity on the Constant Stagnation Zone by River Floating Debris)

  • 김흥민;박수호;장선웅;곽석남;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13-220
    • /
    • 2018
  • 하천부유쓰레기 관련 조사 및 정책은 수거나 처리비용에 초점이 맞춰져있으며, 부유쓰레기로 인한 수환경 오염에 대한 평가는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낙동강 유역(금곡, 호포)의 부유쓰레기 집적구간에 대한 수환경 오염 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질조사 결과 부유쓰레기 상습 정체 구간이 비정체 구간에 비해 낮은 DO 농도를 나타냈으며, COD와 Chl-a는 유사한 농도를 나타냈다. 상습 정체 구간에 약 3달간 부유 상태로 둔 포집조사 결과 절지동물문이 가장 많은 종(4종)이 출현하였으며, 깔따구류(Chironomidae sp.)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질적 저하에 대한 내성이 강하며, 유속이 느리고 정체된 수역에서 주로 블루길(Lepomis macrochirus)이 출현하였다.

위험도 평가기준을 적용한 저수지 최적운영방안 연구(II) (한강수계 저수지군을 중심으로) (A Study of Optimal Operation Policy using Risk Evaluation Criteria(II) (for the Han River Reservoirs System))

  • 박명기;김재한;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51-64
    • /
    • 2002
  • 위험도 평가기준을 발전함수를 고려하여 단일저수지에 적용한 박명기 등(2001)의 혼합정수계획법 모형을 다중저수지군 운영에 적합하도록 개선하였다. 본 모형중의 축차선형계획기법(SLP)은 목적함수중 수력발전함수의 선형화를 위하여 적용되었으며, 저수지 방류량의 합리적인 월별 방류배분을 위하여 수력발전량에 대한 가중치를 발전시간 수준별로 적용하도록 정식화요소에 반영하였다. 개선된 모형은 한강수계 5개 저수지군에 시험적용 하였으며, 수계내 연계운영을 위한 복합저수지군의 최적연계에 본 위험도 평가기준을 적용할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류 수위를 활용한 낙동강 하구둑 유출량 추정 (Estimating Nakdong Estuary Barrage outflow using upstream hydrograph)

  • 심규현;정한철;황도현;김대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3호
    • /
    • pp.165-171
    • /
    • 2023
  • 낙동강 하구둑은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감조하천 환경으로 하구둑에서 방류하는 지표수 유출량과 연안 해저 지하수 유출량에 대한 모니터링이 체계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둑 상류 지역에 위치한 수위자료와 물수지분석을 통하여 변화 저수량과 방류량을 계산하였다. 해저를 통한 육상에서의 지하수 유출도 원격탐사 기반 지형자료와 수문 모델링 자료를 근거로 산출하여 낙동강 하구둑 유출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현장 측정 이외의 원격탐사 기반 고도계 자료를 활용하여 수자원 관리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담수 지표수 유출량 뿐만 아니라 해저 지하수 유출이 연안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낙동강 하구둑 생태계 모니터링에서 담수와 해수의 상호 관계에 대한 연구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