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Site

검색결과 899건 처리시간 0.029초

금강 하구 퇴적토에서의 종속영양 세균의 분포에 미치는 환경요인과 계절적 우점속에 관하여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seasonal destribu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in Kum river estuarine sediments)

  • 이건형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7-143
    • /
    • 1987
  • Dominant genera of heterotrophic bacteria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in Kum River estuarine sediments. Numerical taxonomy on the isolated heterotrophic bacteria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al, physiological, nutritional and biochemical characters. Heterotrophic bacteria in the depths of 0 to 10 cm of sampled sediments were almost facultative anaerobes, and 77.9% to 86.9% of them were Gram negative rods. Kominant genera among the isolates were Pseudomonas, Flavobacterium, Micrococcus, Cnterobacteria and Vibrio during sampling period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 analyses by similarity index(S), the isolates were clustered in fourteen groups at clay type sediments (Site 1) and four groups at sand type sediments (Site 2).

  • PDF

울산 태화강 하류 태화동 홀로세 중·후기 식생환경 변화 (The Change of Vegetation Environment since middle-late Holocene in the lower reaches of Taehwa River, Taehwa-dong, Ulsan-si, Korea)

  • 김혜령;윤순옥;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3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pollen compositions in archaeological site on alluvial plain of Taehwa River, Taehwa-dong, Ulsan-si vegetational and environmental change during 6,200~3,000 yr BP. The results consist upward of Pollen Zone I (Inner Bay environment), Pollen Zone II (Quercus-Alnus stage) and Pollen Zone III (Alnus stage). The pollen grains of Fagopyrum and reddish gray silty horizon including artifacts of the Bronze Age suggest that there was cultivation on dry-field around the study site, although it is not sure that there was paddy-field cultivation.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에 의한 밀양강의 생물학적 수질평가 (Biological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Miryang River)

  • 박연규;박현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8
    • /
    • 1999
  • 밀양강 수계 7개 지점에 대하여 1997년 4월부터 12월까지 5회에 걸쳐 채집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분석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분류군은 총 3문 8강 15목 37과 45속 81종으로서 빈모류 1종, 거머리류 2종, 복족류 6종, 부족류 5종, 갑각류 2종, 곤충류 65종으로 곤충류가 가장 많았다. 전체 지점에 대한 평균 개체수 현존량은 815개체/㎡였다. 이 중 곤충류(약80%)가 가장 많았으며, 다시 곤충류 중에는 하루살이류(약 70%)와 날도래류(약 18%)가 주를 이루었다. 각 지점별 평균개체수 현존량을 보면, 제1지점인 청도천의 경우 262개체/㎡(32.2%)로서 가장 많은 출현율을 보였고, 제7지점인 밀양강 끝지점의 경우 38개체 /㎡(4.7%)로서 가장 출현율이 낮았다. 전체 평균 수준에서의 제1우점종은 Ecdyomurus levis Navas였으며, 우점도지수는 0.3이었다. 각 지점별 우점종을 보면 제1지점부터 제5지점까지는 Ecdyomurus levis Navas이였고, 제6지점과 제7지점은 Hirudinidae sp.1이었다. 그리고, 전체 평균 수준에서의 다양도지수는 2.66이었다. 조사지점별 평균 다양도 지수를 보면 제4지점이 가장 높았으며(H'=3.47), 다음은 제2지점, 1지점, 3지점, 5지점, 6지점, 7지점의 순이었다. 생물학적 지표종을 중심으로한 수질평가에 의하면, 밀양강 전체의 평균은 군오염지수(GPI) 1,49로서 ${\beta}$-mesosaprobic의 II급수로 평가되었다. 각 지점별로는 제3지점의 경우 Oligosaprobic의 I급수로서 가장 양호한 수질이었고, 제1지점과, 제2지점, 제4지점, 제5지점은 ${\beta}$-mesosaprobic의 II급수로, 제6지점은 ${\beta}$-mesosaprobic의 III급수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제7지점은 ${\alpha}$-mesosaprobic의 III급수로서 가장 수질이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하천유량관리를 위한 GIS 하도단면 구축 (Establishment of GIS River Section for Water Flow Management)

  • 최철관;김상호;배덕효;한건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131-140
    • /
    • 2000
  • 하천의 흐름해석 분야에서는 모형이 요구하는 입·출력 자료의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흐름의 공간적 분포특성 도시가 매우 중요하지만 지금까지 체계적인 자료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등고, 하천, 표고, 경계 및 하도단면 등으로 구성된 국가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과 등간격 하도단면 자료를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팔당댐 하류에서 인도교 지점에 이르는 한강구간을 선택하였다.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연구대상지역의 과학적인 하천유량 관리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 PDF

낙동강 유역에서 관측된 에디 공분산 자료의 품질 관리 및 플럭스 특성 (Quality Control and Characteristic of Eddy Covariance Data in the Region of Nakdong River)

  • 이영희;이병주;강금아;김수진;홍선옥
    • 대기
    • /
    • 제23권3호
    • /
    • pp.307-320
    • /
    • 2013
  • We performed comprehensive quality control for eddy-covariance measurements from 3 farmland sites and 1 industrial site adjacent to Nakdong river. The quality control program is based on Foken and Wichura (1996) and Vicker and Mahrt (1997) and we added criteria for trend and standard deviation for scalar variables and modified criteria for non-stationarity condition of Foken and Wichura (1996) to consider random error of fluxes. The classification of data quality is designed for the raw data and the processed flux data, separately. Use of added criteria efficiently reduces the number of outlier for water vapor and $CO_2$ fluxes and use of modified criteria for non-stationarity reduces the number of outlier for scalar fluxes and increases the number of data with accepted quality for further work. Energy balance ratio is higher in farmlands than industrial site, which is due to neglect of heat storage term in industrial site. Among farmland sites, C4 site shows higher energy balance ratio than other sites. This is due to more homogeneous surface of C4 site than other farmland sites. However, energy balance ratio is very low or even negative at night. Mismatch between the flux footprint and the other energy component footprint over the heterogeneous surface is main cause for energy imbalance at night. Other possible causes are also discussed.

섬진강 하구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및 공간 규모에서 다양성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across Spatial Scales of Macrobenthos in the Seomjin River)

  • 허만규;주우홍;최주수;서정윤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286-1294
    • /
    • 2012
  • 섬진강에서 2009년과 2010년 사이의 대형무척추동물에 대한 생물학적 군락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정점에 재해 총 10목 24과 106종이 채집이 되었다. 비록 정점별 종과 개체수는 다르지만 조사 시기별로는 정점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정점별 우점종은 달랐다. 2009년 5월 정점에 대해 정점 1이 5종인 반면 정점 2는 66종으로 차이를 보였으며 평균 종수는 38.3종이었다. 반면에 정점 2는 2009년 11월에 가장 많은 종수를 나타내었고 정점 3은 가장 낮았다. 대형무척추동물 중에서 절지동물문(Phylum Arthropod)이 종 수준 또는 개체 수준에서 우점이었는데 종 수준으로 5월은 63.2%, 11월은 60.9%였다. 조사 정점에 대한 환경 인자 분석의 결과 대형무척추 동물의 서식에 미치는 인자로 용존산소량(DO),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학적 종다양도는 섬진강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BIVARIATE ANALYSIS에 의한 월류량에 모의발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THETIC GENERATION OF MONTHLY STREAMFLOW BY BIVARIATE ANALYSIS)

  • 서병하;윤용남;강관원
    • 물과 미래
    • /
    • 제12권2호
    • /
    • pp.63-69
    • /
    • 1979
  • The sequences of monthly streamflows constitute a non-statonary time series. The purely stochastic model has been applied to data generation of non-stationary time series. Tow different mothods--single site and multisite generation--have been used on the hydrologic time series. In this study the synthetic generation method by bivariate analysis, studied by Thomas Fiering, one of multi-site models, has been applied to the historical data on monthly streamflows at two sites in Nakdong River, and also for validity of this model the single site Thomas Fiering model appli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t has been shown that the performance of bivariate Thomas Fiering model was better than that of the other. By comparison of mean and standard deviaion between the historical and the generated, and cross correlogram interpretation, it has been known that the model used herein has good performance to simultaneously generate the monthly streamflows at two sites in a river hasin.

  • PDF

안동댐과 임하댐 유역에서 퇴적물 특성 및 오염도의 시·공간적 변화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Characteristics and Pollution Assessment of Sediment in the Watersheds of Andong-Dam and Imha-Dam, Korea)

  • 김신;정현기;김형근;김주언;박수정;김용석;양득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085-1099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in characteristics and pollution assessment of sediments in the watersheds of Andong-Dam and Imha-Dam, in Korea. Surface sediments were collected from six sites once a year for three years (2015-2017), and analyzed for organic matter (water content, IL, COD, TOC, TN, and TP), grain size, and concentration of trace metals (Al, Li, Zn, Cr, Pb, Cu, Ni, and As). Organic matter generally tended to increase, and was higher in the Andong watershed compare to Imha watershed. Surface sediments were mainly composed of silt. Coarse sediments were mainly distributed at the site adjacent to Andong-Dam, and showed fining after coarsening. Fine sediment were mainly distributed at the site adjacent to Imha-Dam, and were gradually coarsening. Concentration of trace metals generally tended to increase, and was higher for sites in watershed of Andong watershed (PLI > 1) than for sites in Imha watershed (PLI < 1). Trace metals in the study area were considered to be affected by fine sediment (silt), and contamination of trace metals was somewhat affected by Pb, and greatly affected by Zn and As.

국내 복류수 및 강변여과수 취수시설의 오염물질 제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lutants remov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iverbed filtration and riverbank filtration intake facilities)

  • 정찬우;이선익;신성우;송창현;조부근;최재원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81-288
    • /
    • 202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llutants removal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of RBFs(Riverbank filtration, Riverbed filtration) intake facilities installed in Nakdong River and in Hwang River respectively. The capacity of each RBF is 45,000 m3/d for riverbank filtration intake facility and 3,500 m3/d for riverbed filtration intake facility. According to data collected in the riverbank filtration site, removal rate of each pollutant was about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52%, TOC(Total Organic Carbon) 57%, SS(Suspended Solids) 44%, Total coliforms 99% correspondingly. Furthermore, Microcystins(-LR,-YR,-RR) were not found in riverbank filtered water compared to surface water in Nakdong River. DOC(Dissolved Organic Carbon) and Humics which are precursors of disinfection byproduct were also reported to be removed about 59% for DOC, 65% for Humics. Based on data analysis in riverbed filtration site in Hwang River, removal rate of each contaminant reaches to BOD 33.3%, TOC 38.5%, SS 38.9%, DOC 22.2%, UV254 21.2%, Total coliforms 73.8% respectively. Additionally, microplastics were also inspected that there was no obvious removal rate in riverbed filtered water compared to surface water in Hwang River.

낙동강 강정고령보에서 관측된 플럭스의 지표면에 따른 특성 비교 (Comparison of Surface Fluxes Based on Landuse Characteristics Near Gangjeong-Goryeong Weir of the Nakdong River)

  • 강금아;구해정;변재영;박영산;정현숙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61-57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강정고령보 근처에서 2011년 7월부터 2012년 9월까지 1년 이상 관측된 에너지 플럭스 자료의 분석을 통해 강 주변 농경지와 도시에 따른 플럭스 특징을 알아보고 향후 영향평가에 활용 가능한 자료인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농경지로 둘러싸인 시골지역과 도시공단 지역에 위치하였다. 현열 및 잠열 플럭스를 풍향에 따라 분석하였다. 여름에 바람이 강쪽에서 불어올 때 두 관측지점 모두 현열은 감소하고 잠열은 증가하는 형태를 보였다. 이는 강으로부터 전달된 수분에 의한 것으로 파악된다. 보웬비, 에너지 수지 닫힘, 운동량 플럭스, 안정도에 대한 분석 또한 이루어졌다. 두 지점간 보웬비를 비교한 결과 전 계절에 걸쳐 도시 지역의 보웬비가 농경지 지역의 보웬비보다 더 높았다. 에너지 수지 닫힘은 도시 지역에서 더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도시 지역에서 저장항 계산이 배제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운동량 플럭스는 여름과 겨울 두 계절 모두 도시 지역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강한 난류를 보이는 주간과 여름에 불안정한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었다. 이들 지점에서 관측된 자료는 향후 강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 사용하기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