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sk of bleeding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초

카무트밀 효소 식이가 Dextran Sulfate Sodium으로 유발한 대장염 마우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amut Wheat Enzyme Diet on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Mice)

  • 길범주;백채윤;이준이;황예슬;최여진;손주희;유미애;이동훈;이동헌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1-38
    • /
    • 2024
  • Objectives : Ulcerative colitis is a chronic recurrent inflammatory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However, there are some drawbacks to long-term drug therapy such as the risk of opportunistic infections. Recently, there was an increasing interest on the use of khorasan Kamut wheat because of their higher value of selenium and fiber than modern wheat.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amut brand wheat enzyme (Kamut WE) diet on colon health in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colitis mice. Methods : Female C57BL/6J mice were divided into 6 groups. (1) normal (Water and AIN-93G diet), (2) control (1.25% DSS and AIN-93G diet), (3) Kamut WE (1.25% DSS and Kamut WE diet), (4) normal (Water and AIN-93G diet), (5) control (2.50% DSS and AIN-93G diet), (6) Kamut WE (2.50% DSS and Kamut WE diet). Dietary intake, body weight change, disease activity index (DAI), colon length and spleen weight were monitored. Results : Kamut WE group alleviated colitis symptom, including dietary intake loss, DAI (weight loss, loose stools, bleeding), colon length shortening and spleen swelling. Further, Kamut WE diet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against pathological damage by the increased colon length, decreased DAI and spleen weight in DSS 1.25% as well as DSS 2.50%. Conclusions : Our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Kamut WE diet increased colon length, decreased DAI and spleen weight in intestinal inflammation.

Surgical Experience of Ascending Aorta and Aortic Valve Replacement in Patient with Calcified Aorta

  • Chung, Sur-Yeun;Park, Pyo-Won;Choi, Min-Suk;Cho, Seong-Ho;Sung, Ki-Ick;Lee, Young-Tak;Jeong, Jae-H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5권1호
    • /
    • pp.24-29
    • /
    • 2012
  • Background: The conventional method of aortic cross-clamping is very difficult and increases the risk of cerebral infarct due to embolism of the calcified aorta in these patients. Accordingly, we analyzed our experience with 11 cases of ascending aorta and aortic valve replacement with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9, 11 patients had ascending aorta and aortic valve replacement with hypothermic arrest at our hospital.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Results: There were 5 males and 6 females, with a mean age of 68 years (range, 44 to 82 years). Eight patients had aortic stenosis, and 3 patients had aortic regurgitation. An aortic cannula was inserted into the right axillary artery in 3 patients and ascending aorta in 6 patients. Two patients with aortic regurgitation had a remote access perfusion catheter inserted though the right femoral artery. The mean cardiopulmonary bypass time was 180 minutes (range, 110 to 306 minutes) and mean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time was 30 minutes (range, 20 to 48 minutes). The mean rectal temperature during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was $21^{\circ}C$ (range, $19^{\circ}C$ to $23^{\circ}C$). No patient had any new onset of cerebral infarct or cardiovascular accident after surgery. There was no hospital mortality. Early complications occurred in 1 patient who needed reoperation due to postoperative bleeding. Late complications occurred in 1 patient who underwent a Bentall operation due to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32 months (range, 1 month to 8 years) and 1 patient died suddenly due to unknown causes after 5 years. Conclusion: Patients with a calcified aorta can be safely treated with a technique based on aorta and aortic valve replacement under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상악 협측 치은에 발생한 모세혈관종 치험례 (TREATMENT OF CAPILLARY HEMANGIOMA ON MAXILLARY BUCCAL MUCOSA : A CASE REPORT)

  • 강근영;최남기;김선미;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80-684
    • /
    • 2004
  • 혈관종은 혈관의 증식에 의해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유아와 어린이에서 호발한다. 대부분 진성종양으로 보다는 과오종(hamartoma)으로 보며 구강내 호발부위는 입술 혀, 협점막, 구개부 등이다. 임상소견은 편평하거나 융기된 적청색 병소로 보통 단발성이다. 조직학적 소견을 통해 모세혈관성(capillary), 해면상(cavernous), 혼합성(mixed), 경화성(sclerosing) 등으로 분류되며 확진된다. 본 증례는 6세 남자 환아가 치은에 뭐가 났다는 것을 주소로 전남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임상검사 결과 #62, 63 부위의 부착치은에 딸기모양 종물(mass)이 관찰되었다. 조직검사 시행 결과 모세혈관종으로 확진되었으며 외과적 절제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혈관종은 재발이 드물며 악성전환이 없지만 출혈 경향이 높으므로 임상적 시술시 주의가 요구된다.

  • PDF

동형접합성 단백 C 결핍 환아의 치과적 치험례 (DENTAL TREATMENT OF A PEDIATRIC PATIENT WITH HOMOZYGOUS PROTEIN C DEFICIENCY: A CASE REPORT)

  • 윤미;김승오;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7-212
    • /
    • 2010
  • 단백 C 결핍증은 항응고인자인 단백 C의 결핍으로 혈전 색전증의 위험성이 높다. 선천성 단백 C 결핍증 중 동형접합성 단백 C 결핍증은 단백 C의 활성도가 측정되지 않을 정도로 낮고 1/25만~50만의 발생 빈도를 가지는 희귀한 질환이다. 동형접합성 단백 C 결핍증의 주요 증상은 자반성 및 괴사성 피부 병변, 반상출혈, 실명, 중추신경계의 혈전증 등이다. 본 증례는 동형접합성 단백 C 결핍증인 만 4세 여아로 치아의 전반적인 우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본 환아는 와파린 복용 중이었고 치과치료시 합병증의 예방을 위해 소아청소년과에 협진 의뢰하였다. 와파린 복용 중단 시 혈전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이 예상되어 와파린을 적절하게 (INR 3~5) 복용하되 치과 치료 중 과다 출혈 시 신선냉동혈장으로 조절할 것을 권고받았다. 이 환아는 실명을 동반한 중증 장애 아이로 행동조절이 어려웠고 과다 출혈시 신속한 처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전신마취 하에 치과치료를 시행하였다. 저자는 치아의 전반적인 우식을 주소로 내원한 만 4세 단백 C 결핍 환아에 대하여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중고생들의 식습관 및 구강보건행태와 구강건강 상태의 관련성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of snack habits,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u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윤현경;이종화;황다혜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2
    • /
    • 2023
  • 연구배경: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식습관과 구강보건행태를 파악하여 구강건강상태와 관련성을 연구함으로써 청소년의 구강 건강 증진을 위한 올바른 식습관 개선과 구강보건관련 사업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제16차(2020년) 우리나라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복합표본 교차분석, 복합표본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서 치아외상은 최근 7일 동안 단맛 음료, 패스트푸드 섭취, 하루 칫솔질 횟수 모두 유의하였고, 치아 통증은 최근 7일 동안 탄산음료, 단맛 음료, 패스트푸드 섭취, 하루 칫솔질 횟수, 잇몸출혈은 최근 7일 동안 단맛, 패스트푸드 섭취, 하루 칫솔질 횟수에서 유의하였다. 결론: 중고생들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하여 식습관 및 구강보건행태가 고려되어야하며 중고생들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올바른 식습관 교육 및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것이다.

디지털 임플란트 플래닝을 통한 최소침습 보철수복 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with digital implant planning for a minimally invasive surgery approach)

  • 정아름;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83-292
    • /
    • 2022
  •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치료를 위해서는 보철 치료에 적합한 위치에 임플란트가 식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guided implant surgery와 CAD-CAM을 활용한 보철물 제작이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수술 시에는 surgical guide를 이용해 flapless 방식으로 최소침습 보철수복이 가능 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86세 남성 환자로 기존 의치 사용 시 불편함으로 치료를 원하였다. 환자는 전신질환으로 인해 가철성 국소의치 사용이 어려워 상악은 총의치, 하악의 경우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수복하였다. 전신질환으로 인해 높은 출혈 위험성을 가지므로 surgical guide를 사용해 flapless 방식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최종적으로 상악 총의치 및 하악 나사 유지형 지르코니아를 보철물을 제작하였으며, 만족스러운 기능 및 심미 회복을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2005~2006년 전국 위점막하종양 설문조사 결과 보고 (2005~2006 Nationwide Gastric Submucosal Tumor Report in Korea)

  • 대한위암학회 정보전산위원회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2호
    • /
    • pp.104-109
    • /
    • 2008
  • 목적: 국내 위 점막하 종양의 임상병리학적 양상과 치료방법에 대해 파악하고자 전국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국내 47개 병원에서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위 점막하 종양으로 수술 받은 환자 878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진단명, 증상, 위치, 수술법, 사망률, 종양의 크기, 악성도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위 점막하 종양의 수술 후 진단으로는 위장관 간질 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이 586명(66.8%)으로 가장 많았고, 평활근종(Leiomyoma) 97명(11.1%), 신경초종(schwannoma) 70명(8.0%), 이소성 췌장(Ectopic pancreas) 68명(7.8%), 유암종(carcinoid) 16명(1.8%) 순이었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56.0세, 남녀 비는 1:1.18이었으며, 50.9%의 환자가 증상 없이 발견되었다. 위 상부 1/3에 위치한 위 점막하 종양이 가장 흔했으며(n=449, 52.0%), GIST의 55.4% (n=319), 평활근종의 84.5% (n=82)가 위 상부 1/3에 위치하였다. 복강경적 접근이 전체 환자의 44.2% (n=388)에서 시행되었으며, 수술방법으로는 쐐기 절제술(n=726, 82.8%)이 가장 빈번히 시행되었다. 전체 환자 중 1명(0.1%)만이 수술 후 30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GIST 환자 중 115명(21.1%, 115/544)이 고위험도의 악성도를 가졌고, 41명(8.3%, 45/495)에서 수술 후 imatinib mesylate 항암 치료를 하였다. 결론: 조사된 국내 점막하 종양의 약 2/3가 GIST였으며, 약 1/2에서 복강경하 절제술이 이루어졌다. 향후 이 보고가 위점막하 종양의 진료 및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일개 대학생의 단기 체중조절 프로그램이 치주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전연구 (Effects of the Short-Term Weight Control Program on Periodontal Health in the University Students: A Pilot Study)

  • 궁화수;손수정;박후섭;서형석;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3-418
    • /
    • 2015
  • 본 연구는 K대학교에서 비만 또는 과체중 학생을 대상으로 4주간 운영하는 체중조절 프로그램에 개입하여 프로그램 전후의 비만지표 변화와 치주지표 변화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복부지방률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치면세균막지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치은지수, 탐침시 출혈부위수, 천치주낭부위수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성별, 흡연, 음주의 특성이 비만지표 변화와 치주지표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프로그램 전후 차이 지표 변화의 상관분석에 체지방율 변화와 탐침시 출혈부위수 변화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복부지방률 변화와 천치주낭 부위수 변화가 중정도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탐침시 출혈 부위수 변화에 대한 체지방률의 설명력은 58.9%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지방률과 복부지방률이 치주 임상지표와 연관성이 있으며, 비만 감소는 치주 건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초고성능 강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충전슬러리 최적배합 도출 (Optimum Mix Proportions of In-fill Slurry for High Performance Steel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

  • 김승원;박철우;김성욱;조현명;전상표;주민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196-201
    • /
    • 2014
  • 최근 국내외 정세의 변화와 함께 예상하지 못한 테러 등의 극한의 하중의 발생가능성이 증대하고 있다. 또한 국외 건설시장의 활성화와 함께 몇몇 중동국가를 포함하여 정세가 불안정한 국가로의 진출이 잦아지고 있어 신규 또는 기존 사회기반시설 및 건축물의 물리적인 안전성이 많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콘크리트나 강재로는 저항이 불가한 폭발 또는 충격하중의 저항성이 건설재료로서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폭발 및 충격하중에 저항하기 위한 초고성능 강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고혼입량의 강섬유를 우선 도포하고 내부를 충전하기 위한 슬러리의 최적배합의 결정을 위한 연구이다. 이러한 고혼입량의 강섬유의 내부를 충전하기 위한 슬러리의 기초특성을 분석하고자 재료혼입을 변수로 하여 컨시스턴시, 흐름도, J-Fiber Penetration, 블리딩 및 레올로지 특성 및 역학적 특성으로 압축강도와 휨강도를 측정하였다.

심장이식후에 발생한 외과적 합병증 - 단일 센터 경험 - (Surgical Complications in Heart Transplant Recipients - A Single Center Experience -)

  • 박국양;박철현;전양빈;최창휴;이재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719-724
    • /
    • 2009
  • 배경: 심장이식이 최근 증가하면서 거부반응과 감염외의 외과적합병증도 증가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 외과의에 실시된 심장이식후에 발생한 외과적합병증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4월부터 2003년 9월까지 실시된 37명의 심장이식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장이식의 적응은 확장성 심근증, 허혈성심근증, 판막심근증, 가족력심근증 등이었다. 결과: 총 15명의 이식환자에서 20예의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실시된 외과적 수술의 종류는 출혈로 인한 재개흉(5), 심낭액저류배액술(4), 인공박동기거치술(1), 아스페르질루스증에 의한 우하엽절제술(1), 요석제거술(1), 담낭제거술(1), 직장주위절개술(1), 부비동배액술(1), 고관절치환술(1), 치주비대에 의한 치주절개술(1), 뇨도절개술(1), 추간판 탈출증수술(1), 자궁근종으로 인한 자궁적출술(1)이 있었다. 합병증의 위치는 흉곽내가 10예, 흉곽외가 10예였다. 결론: 심장이식 수술후에는 흉곽 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장기에 많은 합병증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장기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학제간의 적극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