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sk identification

검색결과 798건 처리시간 0.031초

도시철도차량 적용을 위한 위험도 매트릭스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Risk Matrix Development for Urban Metro EMU)

  • 김영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11-117
    • /
    • 2011
  • Risk-based railway safety management has been mandatory in Korea as by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enacted since the Railway Safety Act 2004. In particular, the Railway Vehicle Safety Guidance came into effect on Jan 1, 2008 specifies the details of methodology for hazard analysis, risk assessment and safety verification and validation. Fundamentals for success of the risk-based safety management are systematic hazard ident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by use of reasonable risk assessment criteria, but the principle of risk-based safety management has not been applied in an effective way to introduction and maintenance of railway vehicle systems because definite risk assessment criteria have not been set down for each railway system or railway net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risk matrix development principle for risk assessment of domestic urban metro vehicles by analyses of relevant rules and railway operating environment of Korea.

Joint Reasoning of Real-time Visual Risk Zone Identification and Numeric Checking for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 Ali, Ahmed Khairadeen;Khan, Numan;Lee, Do Yeop;Park, Chansi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313-322
    • /
    • 2020
  • The recognition of the risk hazards is a vital step to effectively prevent accidents on a construction site. The advanced development in computer vision systems and the availability of the large visual database related to construction site made it possible to take quick action in the event of human error and disaster situations that may occur during management supervi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isk factors that need to be managed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review appropriate and effective technical methods for each risk factor. This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OSHA) related to risk zone identification rules that can be adopted by the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nd classify their risk factors depending on the effective technical method. Therefore, this research developed a pattern-oriented classification of OSHA rules that can employ a large scale of safety hazard recognition. This research uses joint reasoning of risk zone Identification and numeric input by utilizing a stereo camera integrated with an image detection algorithm such as (YOLOv3) and Pyramid Stereo Matching Network (PSMNet). The research result identifies risk zones and raises alarm if a target object enters this zone. It also determines numerical information of a target, which recognizes the length, spacing, and angle of the target. Applying image detection joint logic algorithms might leverage the speed and accuracy of hazard detection due to merging more than one factor to prevent accidents in the job site.

  • PDF

해양사고의 새로운 위기요소 식별에 관한 기초 연구 (Research on the Unidentified Risk Factors of Maritime Accidents)

  • 양시일;정재용;임정빈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6-238
    • /
    • 2015
  • 해상환경 변화와 과학기술 발전 등에 따라 기존에 알지 못하던 미식별 위기가 새롭게 창출되고 있다. 새로운 위기는 새로운 해양사고를 야기하기 때문에 이를 조기에 인지하지 못하면 해양사고는 지속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미 식별된 또는 새로운 위기요소의 식별은 해양사고 예방에 중요하다. 그리고 많은 나라에서 다양한 해양사고 분석 기법과 모델들을 사용하여 해양사고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해양사고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기요소들에 대한 식별 및 분류도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식별된 위기요소와 새로운 위기요소 식별에 관하여 기초 조사하였다.

  • PDF

쉴드 TBM 터널에 적용 가능한 리스크 관리: I. 리스크 요인 분석 (Risk management applicable to shield TBM tunnel: I. Risk factor analysis)

  • 현기창;민상윤;문준배;정경환;이인모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667-681
    • /
    • 2012
  • 일반적으로 리스크 관리는 리스크 확인, 리스크 분석, 리스크 평가, 리스크 대책, 리스크 재평가를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쉴드 TBM 터널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 요인들을 여러 문헌 자료와 워크샵을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리스크 요인들은 지질 요인, 설계 요인, 시공 관리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Fault Tree도는 리스크들을 커터, 기계 구속, 배토(굴진), 세그먼트과 관련된 4그룹으로 분류하여 작성되었다. FT도로부터 12가지 리스크 아이템을 확인하고 각각의 발생확률을 구하였다.

EU REACH의 물질확인 방법론 고찰 (Perspective on substance identification in REACH)

  • 나진성;박광서;최은경;김상헌
    • 분석과학
    • /
    • 제34권3호
    • /
    • pp.99-114
    • /
    • 2021
  • 물질확인은 화학물질 등록법에서 수행해야 하는 첫 단계로 올바른 물질확인은 이어지는 유해성 및 위해성 평가를 정확하게 효율적으로 하는데 필수적이다. 이에 톤수별 물질 등록을 모두 마친 EU REACH의 물질확인 절차를 유럽화학물질청 홈페이지 및 관련 지침서와 컨소시움 자료를 참고하여 살펴 보았고 물질확인과 물질의 동질성 확인 그리고 이를 위한 물질확인 프로파일 생성의 중요성을 고찰해보았다. 또한 기기분석에 의한 분석 결과 중 어떤 정보를 어떻게 정리하여 물질확인 프로파일을 생성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몇 개 주요 유형별 물질을 사례로 제시해보았다. 분석과학은 화학물질 등록법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첫 단계인 물질확인에서 기여를 할 수 있는데 단, 법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같은 물질의 등록자들의 분석 결과를 물질확인 프로파일로 최종 정리하여 공동 등록을 하는 등록자들과 관계 당국과 소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도시재생사업 참여주체별 위험인지 체크리스트 개발 (A Development of Risk Identification Checklist for Stakeholder in Urban regeneration-Projects)

  • 박규영;김선규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87-490
    • /
    • 2008
  •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과 같은 대규모 복합개발사업은 사업기간이 길고 다양한 사업주체들이 참여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사업추진 과정상 많은 위험요인들을 내포하게 되고 이를 관리하는 것은 사업의 성패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도시재생사업에서 위험을 인지하고 대응하는 일련의 위험관리 과정은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위험관리과정에서 위험인지단계는 다양한 위험요인을 인지하고 그 위험의 성격을 규정하는 첫 단계이다. 위험을 인지하는 기법 중 체크리스트는 가장 보편적이고 실용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의 개발단계에서 사업주체들의 업무를 분석하고, 위험을 도출하여 사업주체별로 위험을 분류하는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주체별 위험요인 체크리스트는 실무자가 쉽게 위험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써, 도시재생사업과 같이 다양한 사업주체들이 자신은 물론 다른 사업 참여자들의 위험을 인지하는데도 효과적일 것이라고 기대된다.

  • PDF

디지털재화수출기업의 수출위험인식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Export Risks Identification of Exporting Firms of Digital Goods)

  • 강현재;배정한
    • 통상정보연구
    • /
    • 제9권3호
    • /
    • pp.107-129
    • /
    • 2007
  • In 1990s, both development of internet and digital economy would make new products such as digital goods. Recently, digital goods composed of softwares, digital contents, and digital services have grown up rapidly in the world market. Characteristics of goods and transaction forms in the international trade of digital goods is different from those of traditional goods. Thus, this difference would appear a new risk that did not exist in the international trade of traditional goods. Identification and confirmation about unique export risks of digital goods would be necessary to the increase of export of digital goods needs; however, in spite of the importance, very few studies have been based on the export risks of digital goods particularly in research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ort risk management and export performance. This study classifies the types of export risk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management and identification of export risks.

  • PDF

도시재생사업 건설단계의 참여주체별 위험인지 체크리스트 개발 (A Development of Risk Identification Checklist for Stakeholders in the Construction Phase of the Urban Regeneration-Projects)

  • 박규영;양문석;김선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67-75
    • /
    • 2009
  •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과 같은 대규모 복합개발사업은 사업기간이 길고 다양한 사업주체들이 참여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사업추진 과정상 많은 위험요인들을 내포하게 되고 이를 관리하는 것은 사업의 성패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도시재생사업에서 위험을 인지하고 대응하는 일련의 위험관리 과정은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위험관리과정에서 위험인지단계는 다양한 위험요인을 인지하고 그 위험의 성격을 규정하는 첫 단계이며, 위험을 인지하는 기법 체크리스트는 가장 보편적이고 실용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의 개발단계에서 사업주체들의 업무를 분석하고, 위험요인을 도출하여 사업주체별로 위험을 분류하는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주체별 위험인지 체크리스트는 실무자가 쉽게 위험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써, 도시재생사업과 같이 다양한 사업주체들이 자신은 물론 다른 사업 참여자들의 위험을 인지하는데도 효과적일 것이라고 기대된다.

A study on Data Context-Based Risk Measurement Method for Pseudonymized Information Processing

  • Kim, Dong-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53-63
    • /
    • 2022
  •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이 가속화되면서 개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데이터가 대량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데이터 중 가장 가치 있는 개인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보다 강화된 비식별 처리 절차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법률 개정과 가이드라인을 통해 비식별 조치를 위한 절차를 제시하고 있지만 모호한 처리 기준과 주관적인 위험도 측정 방식으로 인해 현업에서는 비식별정보의 처리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론이 부재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국내외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식별 조치 관련 제도 및 지침 등에 대한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보완점을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명정보 처리 중심의 데이터 상황 기반 위험도 측정 방법을 제안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델파이 조사 및 표적집단면접(FGI)을 통한 검증 결과 제안한 방법론에 대한 필요성과 지표들에 대한 타당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무에서 이를 활용할 경우 가명정보의 위험성을 측정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제안하는 방법론은 가명정보의 위험성을 계량적인 체크리스트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론이란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군수품 정부품보활동계획에 FMEA 분석결과의 적용방안 및 적용결과의 고찰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FMEA and it's Results for Hand Grenade in Government Quality Assurance Planning)

  • 이영우;권인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52-258
    • /
    • 2016
  • 군수품 품질보증을 위한 정부품보활동계획 수립의 기반이 되는 위험식별(Risk Identification)은 품질보증활동의 근간이 되는 업무로서, 위험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반영하는 활동이다. 그러나, 현재의 위험도평가 방법은 규격서 등에 명시된 제품에 대한 기능요구조건을 위주로 작성함에 따라 제조프로세스 측면에서의 위험식별 및 반영이 부족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품보원의 개인적인 판단 즉 과거 경험, 노하우 등 정성적인 판단으로 결정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위험식별의 객관성과 전문성의 보완을 위해 정량적인 자료에 의한 판단 기준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FMEA 결과를 위험식별의 결과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FMEA는 현 제조공정을 기준으로 잠재적 고장형태를 분석하고 고장에 대한 영향 분석을 수행하므로 FMEA의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위험식별을 하게 되면, 더욱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정부품보활동 계획이 도출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양산단계 위험식별 업무를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세열수류탄에 대한 FMEA 수행내용과 이를 토대로 군수품 품보활동계획수립에 대한 적용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작성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