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pening Periods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3초

전자코를 이용한 배추김치의 숙성도 예측 (Prediction of Kimchi Aging Using Electronic Nose System)

  • 신정아;최상원;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13-616
    • /
    • 2005
  • 배추김치의 발효숙성을 $4^{\circ}C$에서 29일간 실시하면서 pH 및 적정산도 측정과 전자코를 활용한 향기성분 패턴 분석을 실행하였다. $4^{\circ}C$에서 숙성한 배추김치의 pH는 저장 초기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숙성 후 14일째부터 낮아졌고, 적정산도는 초기 $0.26\%$에서 16일째에 $0.43\%$까지 일정하다가 이후부터 급증하여 29일에는 $1.15\%$에 도달하였다. 전자코 분석 결과, 배추김치의 향기성분 패턴은 숙성기간이 늘어나면서 제1주성분 값이 negative에서 Positive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29일간숙성 중의 모든 배추김치 향은 전자코의 제1주성분과 제2주성분 값으로 나타낸 그림 상에 크게 5 그룹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즉, 4일, 6-14일, 16일, 21-25일과 29일로 구분할 수 있고, 이를 pH와 적정산도의 결과와 함께 고려하여,4일, 6-14일(이상 산도에 따라 구분한 1기), 16일(산도에 따라 구분한 2기), 21-25일과 29일(이상 산도에 따라 구분한 3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배추김치의 이화학적 성질분석과 향기성분 패턴 분석을 위한 전자코 실험결과 숙성온도와 숙성기간에 따른 배추김치의 숙성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봄배추의 저장조건 및 기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ing Kimchi Cabbage by Storage Conditions and Period)

  • 조순덕;방혜열;김은향;유소현;김병삼;김건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7-234
    • /
    • 2017
  •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the optimal conditions for storage of spring kimchi cabbage to stably control supply and demand. To this end, this study stored kimchi cabbages in various manners for different periods and compar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using these cabbages. According to the results, pre-drying with photocatalytic and pre-cooling treatments showed average selectivity loss rates of 18.83 and 21.37%, respectively, which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Spring kimchi cabbages were stored for 15 weeks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the kimchi was stored for 4 weeks at $4^{\circ}C$. After ripening, each kimchi was analyzed for their soluble solid content, pH, acidity, and salinity. The average pH of kimchi was 4.60 and tended to rise, whereas average acidity was 0.38% and fell by 0.24 to 0.31% as the storage period was extended. Extension of the storage period caused decreases in soluble solid content and salinity, and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decreased due to increased pH and reduced acidity (p<0.05).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all experts and non-professionals preferred kimchi treated by precooling compared to any other treatment.

제대천 유역 답지대의 물수지 (Water Balance on Paddy Fields in Jedae Cheon Basin)

  • 안세영;이근후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6-66
    • /
    • 1990
  •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irrigation water use and the degree of repeated use of irrigation water, observations for water balance analysis were made during the irrigation periods in 1986 and 1987 crop year. The total area of studied site is 1,441 ha. The site is a major portion of Jedaecheon basin which is located in Bubuk-myeon, Miryang-gun, Gyeongnam Province. The studied area was subdivided into six small blocks. The water balance analysis for these subdivided blocks were carried out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each block.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 1.In mountainous sloppy paddy area(less than 7% slope), the surface inflow was 5A mm/day in average that is one third of the surface inflow into plain paddy area ; 16.7 mm/day. 2.The surface inflows at the vegetative stage and the ripening stage were 15.5 mm/day and 10.4 mm/day, respectively. Those figures were larger than the actual consumptive use at respective same stages ; 13.3 mm/day and 9.2 mm/day, respectively. Whereas, the surface inflow at generative stage was 12.5 mm/day which was less than 14.0 mm/day ; the actual consumptive use. 3.The range of the variation of water storage term was 1 mm/day. This means that there were no change in depth of ponded water on paddy fiel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tion of water storage(AS) and the variation of ground water table(H) could be expressed as follow: : AS=0.14H+0.26 4.The ground water inflow: into the transition region ; paddy fields which are located continuously from the mountainous area to the plain area, was larger than the out flow from this region, in general. Rowever, in the plain region where the ground water utilization was predominant, the ground water outflow from this region was larger than inflow: to this reg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nd water flow(G2- G1) and the consumptive use in large paddy area(D1-D2) could be expressed as follow: (G2-G1) =0.95(D1-D2) -3.79

  • PDF

갓김치 발효 중 Sinigrin 함량 변화 (The Study for Contents of Sinigrin in Dolsan Leaf Mustard Kimchi during Fermentation Periods)

  • 임현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23-52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발효에 따른 돌산 갓김치 즙액내의 미생물량의 항산화 효과와의 관계, 발효 중 sinigrin 함량 변화와 일반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돌산 갓김치는 돌산 갓, 파, 마늘, 생강 그리고 고추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2$0^{\circ}C$, 50일간 발효하였다. 갓김치 즙액내의 미생물의 수는 적숙기인 10일째까지 상승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항산화 효과도 비슷한 앙상이어서 갓김치 발효 중 미생물에 의한 대사산물이 항산화 효과 증가와 같은 생리기능성에 큰 영향을 주었으리라 사료되며, sinigrin 함량도 발효가 진행되면서 적숙기에 최대로 나타나서 기능성 물질중 하나로 사료된다. 또한 일반성분 변화 중 조단백질의 양이 후숙기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이는 각종 미생물의 증가로 인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율무에 대한 질소시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ain Yield of Job's Tears)

  • 강치훈;육완방;김두환;윤장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40-346
    • /
    • 2000
  • 본 실험은 질소 시비 수준 0, 80, 160, $240kg\;ha^{-1}$에 따른 율무 1호 품종의 생육 특성, 조곡 수량, 질소축적 및 수확 후 토양의 화학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질소시비 수준이 증가될수록 출수, 개화기는 단축되었으나 개화기부터 수확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증가되어 파종에서 수확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0-5 일 증가되었다. 질소시비 수준이 증가할수록 간장, 주분얼경의 수, 착립부위고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0.05). 주간절수, 주간직경, 착립부위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간의 소수지경수, 주간의 착립절간은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나 $80kg\;ha^{-1}$ 이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P<0.05) 조명나방 피해는 질소 $240kg\;ha^{-1}$ 처리구에서 30%로 높아 수량감소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수량구성요소는 질소시비량과 비례하여 양호해지는 경향이었으나 주당립수는 질소시비량 $160kg\;ha^{-1}$ 구에서 가장 많아 조곡 수량이 $3,410kg\;ha^{-1}$로 최고 질소 시비수준인 $240kg\;ha^{-1}$구에 비해 $140kg\;ha^{-1}$ 많았다. 질소사용효율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실험후 토양중 총 질소함량은 실험전에 비해 질소 0, $80kg\;ha^{-1}$ 구에서는 낮았으며 질소 160, $240kg\;ha^{-1}$ 구에서는 높았다.

  • PDF

딸기 품종의 성숙도,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과실 품질과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s in Fruit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Depending on Ripening Levels, Storage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s in Strawberry Cultivars)

  • 최효길;강남준;문병용;권준국;노일래;박경섭;이선이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2호
    • /
    • pp.194-202
    • /
    • 2013
  • 본 연구는 '대왕'과 '설향' 딸기 두 품종의 성숙도,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과실의 품질 변화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100% 착색된 완숙 딸기 과실과 50% 착색된 미숙 딸기 과실을 수확하여 $4^{\circ}C$$15^{\circ}C$에서 10일 동안 각각 저장하였다. 딸기과실의 경도, 기능성 식물화합물, 유리당 함량, 유기산 함량 그리고 항산화 활성은 저장 5일과 10일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두 품종의 과실 경도를 비교할 때, '대왕'품종이 '설향'보다 높은 수준의 과실경도를 보였으며, 페놀 화합물과 자당 함량 또한 '대왕'이 '설향'보다 높았다. 그러나 대조적으로 안토시아닌 및 과당 함량은 '대왕'이 '설향'보다 낮았다. 두 품종의 항산화 활성은 거의 동일하였다. 저장온도에 있어 과실경도는 $4^{\circ}C$에 저장한 과실이 $15^{\circ}C$에 저장된 과실보다 높은 수준의 경도를 보였다. $4^{\circ}C$$15^{\circ}C$에 저장되는 동안 두 품종의 과실 내 페놀화합물과 자당 함량이 감소되었다. 반면, 10일 동안 저장된 과실 내의 안토시아닌과 포도당 함량은 증가하였다. 딸기 과실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산의 함량은 품종이나 온도보다는 저장기간에 의존적인 영향을 보였다. 10일 동안 저장된 미숙 과실의 항산화 활성이 미미하게 감소 또는 증가된 것에 비해, 완숙 과실의 항산화 활성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서로 다른 온도에 저장된 두 품종의 완숙 과실을 비교할 때, $4^{\circ}C$에서 저장된 과실 보다 $15^{\circ}C$에서 저장된 과실의 항산화 활성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반면, 미숙 과실의 항산화 활성 변화는 미미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보아, 고품질의 딸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기저장 시에는 완숙과실을 수확하고, 장기저장 시에는 저장기간에 따른 적정 성숙 단계의 과일을 수확하여 $4^{\circ}C$에 저장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수도(水稻) 재배유형별(栽培類型別)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과 경합특성(競合特性) - 제(第)5보(報), 잡초경합(雜草競合) 한계기간(限界期間) (Weed Occurrence and Competitive Characteristic under Different Cultivation Types of Rice(Oryza sativa L.) - 5. Competition Period of Rice and Weed)

  • 임일빈;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5-114
    • /
    • 1995
  • 다섯 가지의 벼 재배유형(栽培類型)[관행(慣行) 손이앙(移秧), 중묘(中苗)(30일묘(日苗))의 기계이앙(機械移秧), 어린모(10일묘(日苗))의 기계이앙(機械移秧), 최아종자(催芽種子)의 담수직파(湛水直播) 및 건종자(乾種子)의 건담직파(乾畓直播)]에 따라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과 경합특성(競合特性)을 조사(調査)하여 벼 생육(生育)과 수량변화(收量變化)를 근거(根據)로 한 각(各) 재배류형별(栽培類型別) 벼와 잡초(雜草)와의 경합(競合) 한계기간(限界期間)의 모형(模型)으로 잡초(雜草) 방제기간(防除期間)을 설정(設定)하였다. 무잡초상태(無雜草狀態)를 연장(延長)시킴에 따라 30일묘(日苗)와 10일묘(日苗) 기계이앙(機械移秧) 및 직파재배(直播栽培)는 벼의 출수(出穗)가 무잡초구(無雜草區)에 비하여 1~2일정도(日程度) 지연(遲延)되었다. 잡초발생(雜草發生) 허용기간(許容期間)을 연장(延長)시킨 경우에는 관행이앙(慣行移秧), 30일묘(日苗) 및 10일묘(日苗) 기계이앙(機械移秧)에서는 출수기(出穗期)에서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직파재배(直播栽培)에서는 파종후(播種後) 7~10주(週)까지의 경합연장(競合延長)으로 출수(出穗)가 4~7일정도(日程度) 지연(遲延)되었다가 더욱 경합(競合)이 길어짐에 따라 5~6일정도(日程度) 앞당겨지는 현상(現狀)을 보였다. 재배양식별(栽培樣式別) 이앙후(移秧後) 및 파종후(播種後) 무잡초(無雜草) 유지(維持) 한계기간(限界期間)이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관행이앙(慣行移秧)에서는 이앙후(移秧後) 4주이내(週以內)에 발생(發生)된 잡초(雜草)에 의하여 등숙비율(登熟比率)과 천립중(千粒重)의 감소(減少)가 나타났으며, 10일묘(日苗) 기계이앙(機械移秧)에서는 조사(調査)된 모든 수량구성요소(水量構成要素)의 감소(減少)가 있었다. 직파재배(直播栽培)에서는 단위(單位) 면적당(面積當) 수수(穗數)는 파종후(播種後) 8~9주간(週間), 수당입수(穗當粒數)는 4~5주간(週間), 등숙비율(登熟比率)은 3~4주간(週間), 천립중(千粒重)은 8~10주간(週間)의 무제초(無除草)로 인(因)하여 감소(減少)되었다. 관행이앙재배(慣行移秧栽培)는 잡초방제(雜草防除) 요구기간(要求期間)으로서 이앙직후(移秧直後) 4주간(週間)에 걸쳐 무잡초(無雜草) 상태(狀態)를 유지(維持)해 주거나 이앙(移秧) 8주후(週後)부터 무잡초(無雜草) 상태(狀態)를 유지(維持)해주는 이중(二重) 대체기간(對替期間)이 설정(設定)되었다. 30일묘(日苗) 기계이앙재배(機械移秧栽培)는 관행이앙재배(慣行移秧載培)와 같이 이앙후(移秧後) 5주간(週間)에 걸친 무잡초(無雜草) 상태(狀態) 유지(維持) 또는 이앙후(移秧後) 8주(週)부터 유지(維持)되는 무잡초(無雜草) 상태(狀態)의 이중(二重) 대체기간(對替期間)이 설정(設定)되었다. 10일묘(日苗) 기계이앙재배(機械移秧栽培)는 잡초방제(雜草防除) 요구기간(要求期間)은 이앙후(移秧後) 5주간(週間) 또는 이앙(移秧) 7주후(週後)부터 무잡초(無雜草) 상태(狀態)를 유지(維持)해주는 이중(二重) 대체기간(對替期間)으로 설정(設定)되었다. 담수직파재배(湛水直播載培)는 파종후(播種後) 5주(週)부터 7주(週)까지의 단일기간중(單一期間中)에 잡초방제(雜草防除)가 요구(要求)되어 진다.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는 잡초방제(雜草防除) 요구기간(要求期間)은 파종후(播種後) 6주(週)부터 9주(週)까지의 단일기간(單一期間)으로 설정(設定)되었다.

  • PDF

최대경계선을 이용한 벼 수량의 기상반응분석과 수량 예측 I. 최대경계선 분석과 수량예측모형 구축 (Upper Boundary Line Analysis of Rice Yield Response to Meteorological Condition for Yield Prediction I. Boundary Line Analysis and Construction of Yield Prediction Model)

  • 김창국;이변우;한원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41-247
    • /
    • 2001
  • 우리나라 벼 수량의 기상반응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벼 수량예측모델을 구축하고자 1985년부터 1999년까지 15년간 수행한 20개 지역의 벼 지역적응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에 대한 수량반응의 최대경계선(boundary line)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수량예측모형을 설정하였다. 1. 벼의 생육기간을 영양생장기, 생식생장기, 등숙기로 구분하고 각 발육단계를 15-20일 간으로 구분하여 각 시기의 기상요소에 대한 수량반응의 최대경계선은 평균기온( $T_{a}$ )과 일조시수( $S_{h}$)에 대해서는 지수함수 f( $T_{a}$ )=$\beta$$_{0}$(1-exp(-$\beta$$_1$/$\times$ $T_{a}$ ), f( $S_{h}$)=$\beta$$_{0}$(1-exp(-$\beta$$_1$$\times$ $T_{h}$)로 나타났으며 일교차(Tr)는 2차함수 f( $T_{r}$)=$\beta$0(1-( $T_{r}$-$\beta$$_1$)$^2$)로, 이 식에서 상수항 $\beta$$_{0}$를 제거하여 수량에 대한 각 기상요소의 영향도를 0-1로 나타내는 기상지수로 나타내었다. 2. 각 생육시기의 평균기온, 일조시간 및 일교차에 대한 수량반응의 최대경계선이외에 불임에 의한 등숙률 저하와 그에 따른 수량감소를 고려하기 위하여 Uchijima(1976)가 제안한 냉각도일수(cooling degree day)를 출수전 30일간의 생식생장기에 계산하여 이에 대한 수량과 등숙률 반응의 최대경계선을 계산하였는데 냉각도일수가 증가하면 수량이 감소하는 지수함수로 잘 표현되어 기존의 연구들과 같은 결과였다. 3. 기상지수는 벼의 생육기간을 영양생장기, 생식생장기 및 등숙기로 구별하고 각 시기별로 수량 기상지수를 각 기상요소 기상지수를 기하평균하여 산출하였는데 각 시기별 수량기상지수의 수량변이 설명도는 각각 0.383-0.430, 0.460-0.534, 0.4603-0.587로 결정계수는 영양생장기<생식생장기<등숙기의 순으로 컸다. 4. 최대경계선 분석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각 생육시기별 수량기상지수를 기하평균하여 구한 종합수량기상지수와 수량과의 직선회귀식을 구하여 수량예측모형(Model I, II, III)을 작성하였다. Model I, II, III)은 각각 결정계수가 0.6512, 0.6703, 0.6129로 모든 생육단계에 걸쳐서 기간을 15-20일 단위로 세분하여 모든 기간의 수량에 대한 기상지수를 고려하여 전 생육기간의 종합수량기상지수를 산출한 Model II가 기상변화에 따른 수량변이의 설명도가 가장 높았다.

  • PDF

인삼식물의 종자발육 과정에 있어서의 생리화학적 연구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emistry of Seed Development in Ginseng Seed)

  • 양희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7권
    • /
    • pp.115-133
    • /
    • 1974
  • 인삼 종자의 결실과 최아과정중에서 일어나는 물질대사의 기본적 소인을 알고저 화기형성초기로부터 개화기까지, 결실초기부터 홍숙기까지, 그리고 최아과정중 화학성분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1. 화뢰에서는 감수분열기 이전까지 신선중, 건물중, 회수화물, 질소화합물의 변동은 그리 크지 않으며 TCA가용성인, 특히 유기태인의 증가와 현저하였다. 2. 감수분열기로부터 소포자기에 이르는 기간 동안 신선중, 건물중이 급격히 증가되고 전질소량이 증가하는데 불용성 질소구분은 이 시기부터 그 량이 늘어나 단백질이 합성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불용성 질소가 전질소의 62∼70%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가용성 당분이 급격하게 증가되어 환원당, 비환원당이 모두 증가하나 전분의 증가는 볼 수 없고, 전인에 대한 TCA가용성인이 85.4%, TCA불용성인이 14.6%로 화뢰성장중 각각 최고, 최소치를 나타내고 있다. 3. 화분성숙기 이후와 개화기에서 특히 건물중의 증가가 현저하고 불용성질소도 계속 증가되어 총질소의 67%에 이른다. 또한 두드러진 유기태인의 저하와 갑작스런 조전분의 증가를 볼 수 있고 무기태인량이 유기태 인량을 능가하게 된다. 4. 결실기부터 홍열기까지에 있어서는 신선중량의 90%가 결실 후 3주간에 증가하는데, 1) 전질소량은 7배로 증가되었고 성숙되어 갈수록 전질소에 대한 불용성질소의 량이 커져서 65%에서 80%이상으로 상승되고 한편 가용성질소의 비율은 35%에서 20%이하로 저하되었다. 2) 전인산량도 8배로 증가되는데 홍숙이 시작되는 시기에 최고에 이르고 이때에 전인산에 대한 TCA가용성인의 비율도 가장 커서 90%에 이른다. 유기태인도 홍숙이 시작될 때까지 29배나 증가되며 지질태인, 핵산태인, 단백태인이 모두 증가되고 있다. 3) 회수화물의 증가는 신선중의 증가와 유사한데결실한지 3주 후에 최고량에 달하고 그 후는 사실상 증가하지 않으며 가용성당도 3주 후에 최고에 달했다가 일시 감소하며 홍숙기에 약간 증가하나 먼저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며 조전분은 점차 증가되어 홍숙되기 일주 전에 최고량에 달하나 전 건물량의 2.36% 밖에 되지 못한다. 회수화물중 가용성당이 차지하는 비율이 훨씬 크며 완숙기에서는 가용성당분중 약80% 이상의 비환원당으로 되어 있어 인삼 종자의 주요 회수화물을 이루고 있다. 4) 한편 완숙된 종자의 배란중에는 60% 이상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어 인삼 종자의 저장물질은 단백질이나 회수화물이기 보다는 주로 지방이다. 5. 최아조작중에는 배가 11월중순의 파종기까지 4.2∼4.7mm로 발육하며 충분히 흡수하여 50∼60%에 이르고, 저장지방, 단백질, 전분이 가수분해하여 가용화되고 당분, 무기태인, 인지질, 핵산태인, 단백태인과 가용성질소의 증가를 보이고 있어 세포내용물의 전이가 일어나 발아에 필요한 물질을 축적하고 있다.

  • PDF

김치냉장고의 숙성 후 저장 및 저온 저장 모드에서 6개월간 저장한 김장 김치의 발효특성 비교 (Comparison of Fermentation Properties of Winter Kimchi Stored for 6 Months in a Kimchi Refrigerator Under Ripening Mode or Storage Mode)

  • 이은화;이명주;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619-1625
    • /
    • 2012
  • 김장김치를 김치냉장고에서 6개월간 '숙성 후 저장'과 '저온 저장' 모드에서 저장하였을 때 발효 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본 연구에 사용한 '숙성 후 저장' 모드에 보관한 김치는 $10^{\circ}C$에서 5일간 발효시킨 후 $-2.5^{\circ}C$에 저장한 F1김치, $15^{\circ}C$에서 1일 발효시킨 후 $-2.5^{\circ}C$에서 저장한 F2김치이고, '저온 저장'에 보관한 김치는 담금 즉시 $-1^{\circ}C$에 저장한 S1김치와 $-2.5^{\circ}C$에 저장한 F2김치 4종류이다. '숙성 후 저장'한 F1김치는 2주에 pH 4.4, 그리고 산도는 0.6%로 숙성기에 접어들었으나 F2김치는 8주, '저온 저장'한 S1김치는 12주에 그리고 S2김치는 저장 말기에 숙성기로 접어들었다. Lactobacillus spp. 생육은 F1 및 F2김치에서는 저장 초기부터 급속히 증식하여 8주에 최대 균수인 8.0~9.0 log CFU/mL에 도달한 후 F1김치에서는 균수가 6개월간 지속된 반면, F2김치에서는 저장 12주 이후 감소하였다. S1과 S2김치에서는 8주에 최대 균수인 6.8 log CFU/mL에 도달하여 적숙기 최대 균수에 미치지 못하였다. Leuconostoc spp.는 저장모드에 따라 최대 생육 시점은 다르나 8.0~9.0 log CFU/mL에 도달하였다. F1김치의 Leuconostoc spp.는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최대 생육에 도달한 반면, 다른 김치 시료에서는 최대 생육 후 균이 감소하였다. 고온 젖산균인 Lactobacillus spp.의 생육은 '저온 저장'한 김치에서 억제되었으나 Leuconostoc spp.의 생육은 $-2.5^{\circ}C$와 같이 낮은 온도에서도 최대 생육을 하였다. 김장김치의 관능은 저장 3개월까지 외관, 신맛, 탄산미, 아삭아삭함에서 F1김치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이는 Lactobacillus spp.와 Leuconostoc spp.의 균수가 가장 높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6개월 후에는 F1와 S1김치가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S1김치는 저장 말기에 신맛과 탄산미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는데, 이는 Leuconostoc spp.의 균수 저장 후기에 높아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김장김치를 저장 기간 내 맛있게 먹기 위해서는 김치를 완전히 숙성시킨 후 저온에서 저장하는 방법인 $10^{\circ}C$에서 5일 동안 발효시켜 $-2.5^{\circ}C$로 온도 변환하는 시스템이 가장 우수하였다. '저온 저장' 온도로는 $-1^{\circ}C$$-2.5^{\circ}C$보다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