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parian marsh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Differences in functional traits of leaf blade and culm of common reed in four habitat types

  • Hong, Mun Gi;Nam, Bo Eun;Kim, Jae 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2호
    • /
    • pp.98-103
    • /
    • 2019
  • We compared the functional traits of leaf blades and culms of common reed (Phragmites australis) in four habitat types of distinguished environments such as temperature, precipitation, water characteristics, and indices related to biomass production (montane fen, MF; riparian marsh, RM; lagoon, LG; and salt marsh, SM). We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unctional traits within and among populations. Four populations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functional traits of leaf blades and culms. MF and RM had relatively tall (> 300 cm) and thick (> 8 mm) culms bearing long leaf blades (> 40 cm), whereas LG and SM had relatively shorter and thinner culms bearing shorter leaf blades than MF and RM. Some relationships between the functional traits of leaf blades and culms showed negative or not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in the population, whereas mos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unctional trait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particularly when all the data from four populations was included into the correlation analysis.

유역관리에서 경관생태학의 응용 : 절개된 경관의 생태적 기능을 어떻게 회복시킬 수 있을까\ulcorner (Application of Landscape Ecology to Watershed Management : How can We Restore Ecological Functions in Fragmented landscape\ulcorner)

  • Nakamura, Futosh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4호
    • /
    • pp.373-382
    • /
    • 1998
  • This paper describes the ecological structure and function of riparian zone, and their historical changes with land-use. The riparian zone consists of valley floor landform and riparian vegetation. The functions discussed are attenuation of sunlight energy, input of leaves and needles, contribution of woody debris to streams, and retention of flowing material out of transport. These primary function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water and sediment qualities of streams, bars and floodplains, and thereby aquatic biota. Temporal changes in a hydrological system and riparian ecosystem were examined with reference to land-use conversin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nkages between these two systems in Toikanbetsu River. The influences of channelization and land-use on discharge of suspended sediment and wetland vegetation was also investigated in Kushiro Marsh. These two examples suggested that the ecological functions of riparian zone have been degraded as flood control and reclamation works have expanded in the past twenty years The author proposes river restoration planning by preserving or creating landscape elements based on the concepts of sustaining physical and ecological linkages.

  • PDF

세 갈대 개체군의 절단 부위별 삽목 생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utting Culms Sec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from Three Reed Populations)

  • 홍문기;김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3-62
    • /
    • 2012
  • Culm cutting is very effective and convenient method for asexual propagation and even much less destructive than the other ways such as excavation of rhizomes. Despite that culm cutting is such a useful method, only few investigations for raising its efficiency have been carried out. We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fferent geographical populations and cutting sections on the shoot emergence, biomass production and its allocation in terms of cutting efficiency. Culms were sampled from three environmentally distinct wetlands : riparian marsh, salt marsh and montane fen and then they were cut separately into four sections from the bottom to the top part. Both factors of different population and section affected the shoot emergence together. Middle parts on the culm always showed more shoot emergence irrespective of different population. On the other hand, first section from salt marsh and fourth section from the montane fen did not exhibit any shoot emergence.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rease of shoot emergence between different sections during investigation period was confirmed only from salt marsh population. Not only different population but also appropriate cutting section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for better efficiency in cutting of reed culms.

인천 승기천에서 하안식생의 현황과 복원 방안 (Status of Riparian Vegetation and Implication for Restoration in the Seunggi Stream, Incheon)

  • 조강현;김자애;이효혜미;권오병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2-73
    • /
    • 2001
  • The riparian environments of urban streams in Korea have been disturbed through the channelization for flood control and artificial land use as well as water pollution and flow decrease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were investigated and an implication of stream restoration was discussed for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in the riparian area of the Seunggi stream in Incheon. Naturalized plants and ruderal plants were widely distributed in the riparian area which was disturbed from cultivating, trampling, dumping etc. Submerged and floating hydrophytes were not found in the stream due to channelization and water pollution. Some halophytes were remained in downstream and reservoir after reclamation and embankment. The communities of Humulus japonicus, Panicum dichotomiflorum, Digitaria sanguinalis, Artemisia montana, Amaranthus retroflexus, and Aster pilosus were distributed in the disturbed area of bank slope and floodplain in the stream. As a natural potential vegetation, Phragmites australis in the wet meadow, Typha latifolia, Typha angustifolia, Oenanthe javanica, Persicaria thunbergii, and Penthorum chinense in the marsh, and Salix babylonica and Salix matsudana for. tortuosa in the woodland appeared in the floodplain. The topography in the stream played an important role on the distribut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the Seunggi stream. Appropriate methods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riparian ecosystems must be planned on the basis of the actual vegetation in the disturbed urban stream.

  • PDF

은둔형 습지 조류의 효과적인 조사 방법 탐색을 위한 국외 프로토콜의 시범 적용 (Application of Standardized North American Marsh Bird Monitoring Protocols to Survey Inconspicuous Marsh Birds in Korea)

  • 이상연;성하철
    • 생태와환경
    • /
    • 제52권2호
    • /
    • pp.143-150
    • /
    • 2019
  • 은둔형 습지 조류는 습지 생태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고차소비자임에도 불구하고, 눈에 잘 띄지 않는 습성과 신뢰도 있는 조사 방법의 부재로 인하여 국내에서는 서식 현황 및 개체군 경향성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조류 조사 시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수동적인 성격의 정점조사법과 탐지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음성조사법을 병행하는 방식의 은둔형 습지 조류를 대상으로 한 국외 프로토콜(Standardized North American Marsh Bird Monitoring Protocols; SNAMBMP)을 시범적으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 흰눈썹뜸부기(Rallus indicus)와 쇠뜸부기사촌(Porzana fusca), 뜸부기(Gallicrex cinerea), 호사도요(Rostatula benghalensis) 4종이 탐지되었지만, 점유율이 매우 낮은 상태로 상당히 희귀한 개체군으로 판단된다. 다만, 흰눈썹뜸부기와 뜸부기의 경우 동종의 음성을 이용한 조사 방법이 다른 방법에 비해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에 서식하는 은둔형 습지 조류의 종 인벤토리 확보 및 개체군 경향성 파악을 위해서는 생물다양성 확보를 목적으로 한 전국 단위의 생태계 조사 사업 지침에 SNAMBMP 방식의 조사 세부 지침을 추가 수록함과 더불어 조사 시 전 과정에 대한 녹음을 통해 음성 파일 확보를 제안한다.

(기술노트) 주진천 하류역의 퇴적물에서 산출되는 화분과 와편모조류 군집 특성 ((Technical note) Pollen and dinoflagellate cyst assemblages from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lower reach of the Jujin Stream)

  • 이상헌;이진영;한민;임재수;전창표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33권1_2호
    • /
    • pp.59-68
    • /
    • 2021
  • 곰소만을 접하고 있는 주진천 하류역의 표층시료로부터 항산화 유기질로 이루어진 해성 와편모조류와 염습지 식물의 화분 산출 특성을 이용하여 주진천에 바닷물의 최대 유입한계유역을 파악하였다. 이들의 상대적인 산출비를 통하여 주진천 하류역에서는 연안 해역, 기수역 및 담수역으로 더욱 세분하였다. JJR-41~JJR-36 정점구간에서 와편모조류의 풍부한 출현은 이 구간이 연안해역임을 잘 반영한다. JJR-35~JJR-5 정점구간에서는 해성 와편모조류와 냇가 또는 염습지 식물의 화분(예, 갈대속, 사초과)이 함께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기수역 환경을 나타낸다. 와편모조류가 JJR-4 정점까지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만조 시 바닷물이 이곳까지 최대로 유입하는 한계 유역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해석은 해발고도기반의 만조 시 바닷물이 유입할 수 있는 최대 분포역을 나타낸 가상 침수도와 비교적 잘 부합된다.

조류 서식지로서 지뢰지대 삼림습지의 경관생태학적 평가 (Landscape Ecological Evaluation for Avian Fauna Habitats at the Forest Swamp Minefields of Civilian Control Zone(CCZ) Close to the Demilitarized Zone(DMZ) of Korea)

  • 유승화;이기섭;박종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7-256
    • /
    • 2012
  • 본 연구는 선택되어진 지뢰지역과 습지조각의 산림성조류의 군집에 대하여 경관생태학적 가치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각 면적이 다른 세 곳(8.5ha, 17.4ha, 40.6ha)의 지뢰지역과 산지지역의 세 개 비교지역의 조류상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균 산림성조류의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 종풍부도와 종균등도를 조각의 크기와 습지의 존재와 연결성과 같은 환경적 특성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군집 유사도지수는 실험군과 대조군 조사구사이를 비교하였다. 조류군집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63종의 조류가 조사되었으며, 최대개체수 합계는 828개체였다. 종다양성지수는 3.8이었으며, 종풍부도는 9.2, 종균등도는 93.3 이었다. 둘째, 작고 숲과 고립된 숲은 낮은 평균 종의 수와 개체수를 가졌지만,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개활수면이 없는 숲 조각에 비하여 높은 조류 밀도를 보였다. 셋째, 갈대습지를 가진 숲 조각은 단위면적당 조류 종의 수(/10ha), 단위면적당 개체수, 종다양도지수, 종풍부도와 종균등도에서 낮은 가치를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군집 유사도지수는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다른 숲과 연결되어 있는 큰 산지 숲과 유사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저지대 숲 조각은 작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다른 서식지와 연결되고 서식지가 넓은 산지의 숲 조각과 군집유사도가 비슷하였다. 따라서, 하천숲의 복원은 산림성조류의 군집에서 생물다양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