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fampin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5초

환자(患者)에서 분리(分離)한 Enterococcus의 약제내성(藥劑耐性)과 R Plasmid (Drug Resistance and R Plasmid of Enterococcus Isolated from Patients)

  • 이헌구;하대유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16
    • /
    • 1978
  • 환자(患者)로부터 분리(分離)한 103주(株)의 장구균(腸球菌)을 대상(對象)으로 항생제감수성검사(抗生劑感受性檢査)와 더불어 R plasmid에 의(依)한 약제내성전달(藥劑耐性傳達)을 실험(實驗)하였다. 전(全) 균주(菌株)에 대(對)한 MIC는 ampicillin이 $4{\mu}g/ml$로 가장 낮았으며 rifampin이 $16{\mu}g/ml$, amikacin과 chloramphenicol이 공(共)히 $125{\mu}g/ml$, tetracyclin이 $250{\mu}g/ml$이었고 분리균주(分離菌株) 중(中) $2,000{\mu}g/ml$ 고농도(高濃度)의 GM, KM 및 SM에 내성(耐性)을 보인 균주(菌株)는 각각(各各) 19주(株)(18.5.%), 27주(株)(26.2%) 그리고 22주(株)(21.4%)이었다. 가검물별(可檢物別) 분리균주(分離菌株)의 약제내성도(藥劑耐性度)는 뇨(尿)에서 분리(分離)된 균(菌)의 내성도(耐性度)가 가장 높았으며 각(各) 항생제(抗生劑)에 대(對)한 균종(菌種)의 약제내성도(藥劑耐性度)는 S. zymogenes의 내성도(耐性度)가 ampicillin과 rifampin을 제외(除外)한 기타(其他) 약제(藥劑)에 대(對)해 가장 높았다. 다제약제내성(多劑藥劑耐性)을 보인 28주중(株中) 17주(株)(61%)가 내성유형(耐性類型)의 일부(一部) 또는 전부(全部)를 전달(傳達)하였으며 이 중(中) 2주(株)만이 그 유형(類型)의 전부(全部)를 전달(傳達)하였고 내성전달빈도(耐性傳達頻度)는 $2{\times}10^{-4}-2{\times}10^{-6}%$이었다. 이상(以上)의 실험결과(實驗結果) 저자(著者)들은 우리나라에서 분리(分離)된 장구균(腸球菌)이 수종(數種)의 항생제(抗生劑)에 내성(耐性)이며 장구균(腸球菌)에 있어서도 약제내성전달(藥劑耐性傳達)이 R plasmid에 의(依)해 이루어짐을 결론(結論)지을 수 있었다.

  • PDF

시판 냉동식품에서 분리한 장구균의 항생제 내성 양상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Enterococcus spp. Isolated From Commercial Frozen Foods)

  • 박선희;김경식;유영아;이재규;정성국;한기영;김무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2-128
    • /
    • 2010
  • 2009년 4월부터 12월까지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 관리팀에 의뢰된 냉동식품 100건을 대상으로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 대장균과 장구균의 오염도를 조사였으며, 분리된 장구균을 대상으로 하여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세균수는 평균 검출량이 $4.3{\times}10^4CFU/g$ 이고 대장균군수는 평균 검출량이 $4.3{\times}10^3CFU/g$ 이고 대장균은 100건 모두에서 불검출되어 0.0%의 검출률을 보였다. 100건의 검체 중 총 22건에서 장구균이 분리되었으며 이 가운데 12주는 E. faecium, 7주는 E. faecalis, 2주는 E. gallinarum, 1주는 E. hirae이었다. 분리균주의 항생제 내성률을 검사 한 결과, 내성을 나타내는 항생제들은 erythroycin, rifampin, teracycline ciprofloxacin, chlorampenicol, penicillin이며, vancomycin, ampicillin, gentamicin, strepomycin, linezolid에 대해서는 모두 감수성이었다. 또 22건의 분리 균주 중에서 2종 이상의 항생제에 다제 내성을 나타낸 균주가 15주나 되며 가장 많은 형태로는 6균주의 장구균에서 나타난 E-RA에 대한 것이었다.

서해안에서 분리한 비브리오균의 항생제 감수성 특성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Vibrio spp. Isolated from West Sea)

  • 강창호;오수지;소재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46-149
    • /
    • 2013
  • 비브리오균은 해양 및 하구 환경에서 상재하는 균으로 그람 음성 간균, 호염성, 비포자형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질병과 관련된 균주로는 Vibrio parahaemolyticus, Vibrio vulnificus, Vibrio cholera 등이 있다. 매년 어패류의 섭취 등을 통해 식중독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6곳에서 패류를 채취하여 비브리오균의 분포도를 모니터링하고, 이들의 항생제 내성을 분석하였다. 총 120건의 패류를 TCBS 평판배지와 API 20E kit 기법으로 동정하였을 때 23.3%의 시료에서 비브리오균이 검출되었다. 이들 분리균주들의 항생제 내성을 16종의 항생제에 대해 분석한 결과 82.1%가 각각 vancomycin과 ampicillin에 대해 내성을 보였고, rifampin (71.4%)과 cephalothin (53.6%)에 대한 내성비율도 다른 항생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균주들의 항생제 감수성은 chloramphenicol (92.9%),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92.9%)과 tetracycline (96.4%)에 대해 가장 높았다. 분리균주들의 약 71.4%가 vancomycin과 ampicillin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항생제에 대해 다중내성을 보였다.

A New and Rapid Testing Method for Drug Susceptibility of Mycobacterium leprae Using RT-PCR

  • Kim, Min-Joo;Lee, Ju-Hang;You, Ji-Ch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5호
    • /
    • pp.685-689
    • /
    • 2000
  • Due to the uncultivable nature of Mycobacterium leprae in vitro, the fast, easy, and accurate measurement of the antimicrobial drug susceptibility of this microbe has been difficult. Conventional methods for such testing are subjective, cumbersome, and expensive in some cases. Here, the utility of a reverse transcriptase-PCR (RT-PCR)-based assay for testing was examined and compared with a Buddmeyer-type radiorespirometric assay. The susceptibility of M. leprae to rifampin was determined by probing the presence of M.leprae-specific 18 kDa gene mRNA in M. leprae-infected IC-21 macrophage cells after drug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refampin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360-bp cDNA products generated by the RT-PCR-based assa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s in the drug susceptibility observed in the Buddmeyer-type assay. The drug susceptibility testing of M. leprae by the RT-PCR based assay was found to be not only faster but also nearly $10^4$-fold more sensitive than the Buddmeyer-type assay. Moreover, it was also found that, unlike the RT-PCR based assay, the same testing by a DNA-PCR resulted in no differences in the 360-bp signal, regardless of the rifampin concentrations used. Accordingl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drug susceptibility of M. leprae can be determined effectively by an RT-PCR-based assay, thereby providing a new, fast, and sensitive testing method.

  • PDF

In-Vitro 흡수특성 검색모델로서 Caco-2 및 MDCK 세포배양계의 특성 비교 평가 (Comparison of Caco-2 and MDCK Cells As an In-Vitro ADME Screening Model)

  • 고운정;천은파;한효경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3호
    • /
    • pp.183-189
    • /
    • 2008
  •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feasibility of Caco-2 and MDCK cells as an efficient in-vitro model for the drug classification based on Biopharmaceutics Classification System (BCS) as well as an in-vitro model for drug interactions mediated by P-gp inhibition or P-gp induction. Thirteen model drugs were selected to cover BCS Class I{\sim}IV$ and their membrane permeability values were evaluated in both Caco-2 and MDCK cells. P-gp inhibition studies were conducted by using vinblastine and verapamil in MDCK cells. P-gp induction studies were also performed in MDCK cells using rifampin and the P-gp expression level was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Compared to Caco-2 cells, MDCK cells required shorter period of time to culture cells before running the transport study. Both Caco-2 and MDCK cells exhibited the same rank order relationship between in-vitro permeability values and human permeability values of all tested model compounds, implying that those in-vitro models may be useful in the prediction of human permeability (rank order) of new chemical entities at the early drug discovery stage. However, in the case of BCS drug classification, Caco-2 cells appeared to be more suitable than MDCK cells. P-gp induction by rifampin was negligible in MDCK-cells while MDCK cells appeared to be feasible for P-gp inhibition studies. Taken all together,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Caco-2 cells might be more applicable to the BCS drug classification than MDCK-cells, although MDCK cells may provide some advantage in terms of capacity and speed in early ADME screening process.

Frequency and Type of Disputed rpoB Mutations in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olates from South Korea

  • Jo, Kyung-Wook;Lee, Soyeon;Kang, Mi Ran;Sung, Heungsup;Kim, Mi-Na;Shim, Tae S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0권3호
    • /
    • pp.270-276
    • /
    • 2017
  • Background: A disputed rpoB mutation is a specific type of rpoB mutation that can cause low-level resistances to rifampin (RIF). Here, we aimed to assess the frequency and types of disputed rpoB mutations in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olates from South Korea. Methods: Between August 2009 and December 2015, 130 patients exhibited RIF resistance on the MTBDRplus assay at Asan Medical Center. Among these cases, we identified the strains with disputed rpoB mutation by rpoB sequencing analysis, as well as among the M. tuberculosis strains from the International Tuberculosis Research Center (ITRC). Results: Among our cases, disputed rpoB mutations led to RIF resistance in at least 6.9% (9/130) of the strains that also exhibited RIF resistance on the MTBDRplus assay. Moreover, at the ITRC, sequencing of the rpoB gene of 170 strains with the rpoB mutation indicated that 23 strains (13.5%) had the disputed mutations. By combining the findings from the 32 strains from our center and the ITRC, we identified the type of disputed rpoB mutation as follows: CTG511CCG (L511P, n=8), GAC516TAC (D516Y, n=8), CTG533CCG (L533P, n=8), CAC526CTC (H526L, n=4), CAC526AAC (H526N, n=3), and ATG515GTG (M515V, n=1). Conclusion: Disputed rpoB mutations do not seem to be rare among the strains exhibiting RIF resistance in South Korea.

자돈 설사 분변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 BY06의 장 독소 생성 및 항균제 감수성 (Enterotoxin Productivity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Bacillus cereus BY06 Isolated from Pigs with Diarrheal Disease)

  • 오위걸;노용환;안병용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13-218
    • /
    • 2014
  • 적리를 동반하는 돼지 분변에서 용혈성 균주를 분리 동정한 후, 장 독소 생성 유 무 및 항생제 감수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분리된 용혈성 균주 B. cereus BY06의 gyrB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B. cereus와 99%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PCR법에 의한 장 독소 유전자 검출 시험에서 B. cereus BY06는 장 독소 분비 양성으로 판정됨에 따라 설사형 식중독 균임이 확인되었다. B. cereus BY06를 이용한 항균제의 감수성 시험 결과, penicillin G에는 내성을 나타낸 반면 cephalothin, vancomycin, clindamycin, fusidic acid, gentamicin, ciprofloxacin, tetracycline 및 rifampin에 대하여 감수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돼지 분변에서 분리된 B. cereus 균주는 설사를 유발하는 장 독소를 분비하며, penicillin G에 대한 내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