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kettsia tsutsugamushi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초

Nested PCR을 이용한 사람 유래 태아 폐세포에서 배양된 Rickettsia tsutsugamushi의 혈청형 동정 (Use of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Identification of Rickettsia tsutsugamushi Serotype Cultured in Human Embryonic Lung Cells)

  • 안창남;우규진;김태연;신광순;김철중;백락주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35-244
    • /
    • 1996
  • Rickettsia tsutsugamushi의 원형균주인 Karp주와 Gilliam주를 초대 배양된 사람 정상 2배체 폐세포(LuMA cell)를 이용하여 증식과 세포병변들의 속도를 비교할 수 있었고, 배양된 균주는 네스티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혈청형을 동정할 수 있었다. R. tsutsugamushi의 세포벽 외막에 존재하며 혈청형을 결정하는 주요항원은 54-56Kd 단백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는데, 이 단백 유전자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Karp주와 Gilliam주의 공통서열로 첫번째 프라이머쌍을 만들었고 첫번째 프라이머쌍의 안쪽에 위치한 혈청형 사이에 차이가 있는 서열로 두번째 프라이머쌍을 만들었다. 네스티드 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는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특이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 실험 결과로 이 PCR 방법은 scrub typhus의 진단과 혈청형의 동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 PDF

국내 쭈쭈가무시병(양충병)의 매개종 (Determination of the vector species of tsutsugamushi disease in Korea)

  • 이한일;이인용;조민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87-92
    • /
    • 1991
  • 1989년 7월∼11월에 걸쳐 9개 지역에서 생포한 48마리의 등줄쥐(Apodemus agrarius)로부터 4,142개체의 털진드기(Acarina: Trombiculidae) 유충을 채집하였다. 이들 중 10종 990개체를 해부하여 그 내용 물질로부터 쭈쭈가무시병의 병원체를 간접 면역형광항체법으로 조사하였다 L. pallidum 유충 447개체 가운데 2개체에서 병원체인 Rickettsia tsutsugamushi를 발견하여 본중이 쭈쭈가무시병의 매개종임을 확인하였고, 감염률은 0.4%이었다.

  • PDF

Survey of Rickettsia spp. and Orientia tsutsugamushi Pathogens Found in Animal Vectors (Ticks, Fleas, Chiggers) in Bangkaew District, Phatthalung Province, Thailand

  • Sanprick, Amornrat;Yooyen, Thanapon;Rodkvamtook, Wuttik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2호
    • /
    • pp.167-173
    • /
    • 2019
  • Rickettsial infections (Rickettsioses) are the causes of acute fever found in Thailand. It is classified as acute febrile illnesses transmitted by bloodsucking arthropod vectors (tick, flea, and chigger). This research investigated pathogens of scrub typhus in vectors from Bangkaew District, Phatthalung Province. A total of 303 pools of vector samples were ticks (Rhipicephalus sanguineus, R. microplus, and Haemaphysalis sp.), fleas (Ctenocephalides felis orientis, C. f. felis, and C. canis), and chiggers (Leptotrombidium deliense, Aschoschoengastia indica, Blankaartia acuscutellaris and Walchia disparunguis pingue) collected from reservoir hosts (dogs and rodents). The 17 and 56 kDa gene of Rickettsia causing scrub typhus were found in 29% of ticks and 98% of flea. DNA sequence analysis reveeled the detected strains were R. asembonensis and Rickettsia sp. cf1 and 5.The chiggers, 1%, were infected with Rickettsia strain TA763, a pathogen of scrub typhus.

쭈쭈가무시병의 숙주동물에 관한 역학적 조사 (Epidemiological studies on host animals of tsutsugamushi disease in Korea)

  • 이한일;이홍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2호
    • /
    • pp.181-188
    • /
    • 1991
  • 최근 전국적으로 높은 이환률을 보이고 있는 쭈쭈가무시병에 대한 방제 대책이 시급한 현실에 반해 본 질병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저자들은 1989년 7월부터 1950년 9월까지 9개 지역에서 숙주동물에 대한 역학적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두 794개의 Sherman식 live trap을 설치하여 111마리의 들쥐로 포획하여 trapping rate가 평균 14.0%이었다. 계절별로 보면 봄, 여름, 가을에 각각 11.7%, 11.2%, 12.8%이었고 겨울에는 24.0%로 가장 높았다. 포획한 111마리 중 103마리가 등줄쥐 (Apodemus agrarius)로 92.8%를 차지하여 우점종이었고, 땃쥐 (Crocidura Zasiura)가 7마리로 6.3%이었으며. 갈밭쥐 (Microtns fortis)는 1마리가 채집되어 0.9%이었다. 들쥐의 털진드기 기생률을 보면, 등줄쥐의 경우 103마리 중 84마리로 81.6%이었고, 땃쥐의 경우 7마리 중 2마리로 28.6%이었다. Chigger index는 등줄쥐의 경우 43.0개체였고 만취는 0.9개체였다. 2. 등줄쥐 혈청의 Rickettsia tsutsugamushi 항체 양성률을 보면 평균 41.8%이었는데, 조사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어 고양군 도래 5리 54.9%, 고양군 고양리 20%, 고양군 원홍 2리 28.6%, 청인군 시목리 40%이었고 고양군 행신 1리, 파주군 광탄 3리 와 예산군 덕산리에서는 모두 음성이었다. 땃쥐의 경우는 7마리 모두 음성이었다. 동일 장소에서의 등줄쥐 혈청의 R. tsutsugamushi 항체 양성률의 계절적 변동은 11월부터 3웜까지는 평균 75.8%이었는데 4일에는 30.3%로 감소하였고 5월부터 8월에 걸쳐 평균 13.3%로 크게 감소하였다. 조사한 모든 양성 혈청의 항체가를 보면 Karp, Gilliam및 Kato 주에 대해 서로 교차반응을 나타냈는데 Karp주와 Kato 주 간에 보다 강한 교차반응을 보였다. 3. 총 94마리의 등줄쥐로부터 마우스 복강접종법과 간접 면역형광법으로 R. tsutsugamushl치 분리를 시도한 바 3마리에서 분리되어 감염률은 3.2%이었다.

  • PDF

경북지방에서 발견된 Tsutsugamushi 병 치험 1례 (A Case of Tsutsugamushi Disease)

  • 박시화;윤성철;이영현;정재천;김종설;홍석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1호
    • /
    • pp.173-176
    • /
    • 1987
  • 저자들은 경북 고령지방에서 발생한 tsutsugamushi 병 1예를 Weil-Felix test로 확진하였으며 Doxycycline으로 치료하여 그 경과를 보았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특히 환자의 거주지가 경북지역이고 최근 타지역을 여행한 경험이 없었다는 사실에 미루어 휴전선, 강원도, 경기도 지역뿐만 아니라 남부 지방에서도 tsutsugamushi 병이 발생가능하다는 사실을 본 증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국내 박쥐에서의 한탄바이러스 및 리케차에 대한 항체 조사

  • 이재상;이연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4-128
    • /
    • 1992
  • 한국 야산에서 포획한 275 수를 대상으로 형광항체법을 이용, Hantaan virus 에 대한 항체 보유 여부를 조사한 바 3.6% 가 양성으로 나타나 박쥐도 Hantaan virus 매개체란 사실이 세계최초로 확인되었고 박죄 종류별 항체 양성률을 보면 관박쥐(Rhinolophus ferrumeguinum) 가 4.3%, 안주애기박쥐 (Verperitilio superans) 가 10% 의 양성률을 모였으며 긴가락박쥐(Miniopterus schreibersii)와 큰수염박쥐 (Myotis mystatinus cilis)는 음성이었다. 또한 야생박쥐의 Rickettsia 종류별 향체보유율은 R. tsutsugamushi 가 3.3%, R. typhi 가 1.8%, R. sibirica 가 R. sibirica 가 3.3%였으며 Thai typhus-118 가 4.4% 로서 가장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이상의 성적을 종합하여 보면 국내에 서식하는 박쥐는 신증후출혈열 및 리케치아의 보균 동물임이 최초로 밝혀져 보고한다.

  • PDF

쭈쭈가무시 병으로 규명된 진해지방에서 발생하던 발진성 질환 (Tsutsugamushi Disease in Chinhae Area Confirmed by Serology)

  • 이강수;정윤섭;권오현;이삼열;김길영;우지이에아쓰오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3-120
    • /
    • 1986
  • In Korea 8 tsutsugamushi disease patients were reported among the United Nations Forces personnel during 1951-54, but the disease was not known among the native Koreans. In Chinhae, patients with fever, chills, headache and rash were observed in every late autumn to early winter for many years, but etiologic diagnosis was not made. In 1985, there were 34 such patients. The authors were able to determine the disease as tsutsugamushi disease by observing the pathognomic eschar in 4 patients and demonstrating antibodies against Proteus OXK and Rickettsia tsutsugamushi antigens in 21 patients. The patients were mostly females of over 30 years of age. It was considered that most of them contracted the infection while doing farm works or picnic at the outskirts of Chinhae city and the adjacent areas. They were treated with chloramphenicol and no fatalities were observed.

  • PDF

한국 박쥐에 기생하는 Exoparasites와 Rickettsia, Hantaan Virus 감염에 관한 연구 (Study of Exoparasites, Rickettsia and Hantaan virus in Bats)

  • 이연태;박철희;조규봉;윤정중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
    • /
    • 1998
  •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ectoparasite, Rickettsia and hanntan virus in bats, four order of Athropoda were collected from Rhinolophus ferrumequinum captured in Cheju and Eptesicus serotinus captured in Chungnamin from July 1989 to March 1998. Also antibody of Rickettsia and hanntan virus were detected by immunofluoroscent antibody technique and RT-PC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ive species of Acarina were identified from E. serotinus: Leptotrobidium subakamushi of Trombiculidae, Macronyssus coreanus, Steatonyssuss spinosuss and Steatonychus superans of Macronyssidae, Argas vespertilionis of Metastigmata. 2. Ischnopsyllus needhami of Siphonaptera and Cimex of Hemiptera were identified from E. serotinus. 3. Cycteribia uenoi and Brachytarsina kanoi of Diptera were identified from R. ferrumequinum. 4. The positive rate of rickettsial antibodies in E. serotinus were 17.58%, 15.15%, 22.22%, 52.73% against R. tsutsugamushi, R. typhi, R. sibirica and R. thai tick typhus, respectively. The high positive rate of antibody related to the high content of Arthropoda. 5. The Positive rate of hantaan virus IFA antibodies were 3.4% (27 of 802) and hanntan virus infection rate 36.7% (22 of 60) by RT-PCR in bats. According these result, we showed that certain species of Athropoda isolated playa role as vector of Rickettsia in E. serotinus. Also bats playa role as a reservoir of hantaan virus in nature.

  • PDF

1996년 한국에서 발생한 열성질환에 대한 혈청역학적 연구 (Seroepidemiologic Analysis of Acute Febrile Illness from Korea in 1996)

  • 송진원;한성희;백락주;이용주;송기준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77-382
    • /
    • 1998
  •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FRS), scrub typhus, murine typhus and leptospirosis have been the principal acute febrile diseases in Korea. To evaluate the seroepidemiologic patterns of acute febrile illness, sera collected from 2,423 patients in 1996 were examined for antibodies against Hantaan virus, Orientia tsutsugamushi, Rickettsia typhi, and Borrelia burgdorferi by indirect immunofluorescent antibody technique (IFA) and macroscopic agglutination test for Leptospira interogans. Seropositive cases against Otsutsugamushi, Rickettsia typhi, Leptospira interogans and Hantaan virus were 192 (7.9%), 193 (8.0%), 12 (0.5%) and 324 (13.4%), respectively. Male was more affected in HFRS and murine typhus contrasting to scrub typhus and leptospirosis in female. Most positive cases occurred during October and November for scrub typhus, and during November and December for HFRS. These results showed similar patterns with previous epidemical data for recent couple of years, and possibly implied no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in ecologic situations for acute febrile diseases in Korea.

  • PDF

제주도의 쭈쭈가무시병 매개 털진드기에 관한 연구 (Study on vector mites of tsutsugamushi disease in Cheju Island, Korea)

  • 이한일;이인용;조민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341-348
    • /
    • 1992
  • 1991년 8원부터 1992년 4월에 걸쳐, 쭈쭈가무시병 환자 다발생 지역의 하나인 제주도에서 털진드기류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채집된 들쥐 155마리 중 등줄쥐 (Apedemus agrarirsschejuensis) 가 143마리 (92.3%)로 우점종이었고, 땃쥐 (Crocidura laciura) 11마리 (7.1%)와 멧밭쥐 (Micromys minutus) 1마리 (0.6%)였다. 이들 들쥐에 기생한 12,075개체의 털진드기를 동정한 결과 4속 9종이 확인되었다. 그 중, 사 계절을 통한 우점종은 L. zetum(43.3%)이었다. (2) 털진드기 개체군의 계절별 밀도를 비교하면 교. tetu변은 겨 울(46.2%)과 봄(42.9%)에 주로 출현하였고, L. orientale는 겨울(57.7%)에 피크를 보였다. L. scutellare는 가을에 96.0%로 집중적인 발생을 보였고, 가을에 출현하는 모든 털진드기의 79.8%를 차지하여 가을의 우점종으로 쭈쭈가무시병 환자 발생시기와 일치하였다. (3) 총 1,476 개체의 털진드기 유충을 해부하여 그 내용물을 간 접면역형광현미경법으로 관찰한 결과 1,142 개체의 L. scutellare 중 6 마리가 항원 양성으로 확인되어 (감염률 0.5%), 우리 나라에서는 처음으로 L. scutellare도 매 개종임이 밝혀졌다. (4) 채집된 139마리의 등줄쥐 가운데 44마리가 R. tsutsugamushi에 대한 함체 양성으로 나타나 양성률은 31.2%이었다. 사계절을 통한 양성률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