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weight loss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4초

Effect of Work and Urea-Molasses Cake Supplementation on Live Weight and Milk Yield of Murrah Buffalo Cows

  • Van Thu, Nguyen;Uden, Pete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9호
    • /
    • pp.1329-1336
    • /
    • 2000
  •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rrah buffalo cows pulling sledges under field conditions on milk production and milk composition. In Exp. 1, 24 buffaloes in the fourth month of lactation were used. They were allotted to four treatments according to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work or no work, and with or without urea-molasses cake supplementation (700 g/animal/day). Feeds consisted of 20 kg fresh elephant grass (18% DM), 2 kg rice bran per day and rice straw ad lib. The animals worked in pairs three hours per day (work done: $3464{\pm}786kJ/d$) five days a week for three months. Three teams worked in the morning and the others worked in the afternoon in the same day. The following day the working times were switched. In Exp. 2, 16 lactating Murrah buffalo cows in the sixth month of lactation were allotted to two groups (work and no work). They were fed with fresh ruzi grass (Brachiaria ruziziensis) ad lib. supplemented with 2 kg rice bran and 700 g urea-molasses cake. The working regime wa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xperiment (work done: $3753{\pm}879kJ/d$) and they worked for two months. In the first experiment, there was a small but significant drop (p<0.05) in milk yield from 3.5 to 3.0 kg/day due to work, but there was no supplementation effect. The working buffaloes lost 5.2 kg whereas the non-working animals gained 9.7 kg during the three months (p<0.05). Supplementation increased live weight by 9.9 kg as compared to -5.4 kg for those not supplemented (p<0.05). Milk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by the treatments. In the second experiment, daily milk production was similar for both treatments and approximately 3 kg.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ilk composition or in live weight changes for working and non-working groups,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work may cause a reduction in milk yield and a loss of live weight on a poor rice straw diet but that an appropriate supplementation can alleviate this situation.

1, 8-NA와 CGA 123'407 처리(處理)가 수도용(水稻用) 제초제(除草劑)의 약해경감(藥害輕減)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1,8-NA and CGA 123'407 on Reducing Herbicide Injury of Rice Plants)

  • 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4-161
    • /
    • 1986
  • 본 연구(硏究)는 보온절충(保溫折衷)못자리에서 야기(惹起)되기 쉬운 제초제(除草劑)의 약해(藥害)를 경감(輕減)시킬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을 검토하고 또한 실용화(實用化) 방안(方案)을 모색하고자 현재 벼에서 제초제(除草劑)의 약해(藥害) 경감효과(輕減效果)가 있다고 보고된 1, 8 - naphthalic anhidride와 CGA 123'407올 공시하여 보온절충(保溫折衷)못자리에서 butachlor, pretilachlor, benthiocarb 및 chlormethoxynil에 대한 약해(藥害) 경감효과(輕減效果)를 조사하였다. 1. 1,8-NA를 단독(單獨)으로 처리(處理)하였을 때 벼의 입묘율(立苗率) 및 생장(生長)은 다소 감소(減少)되었으며 처리방법(處理方法)은 침종2일후에 종자(種子)를 1, 8-NA로 0.5%를 종자(種子)에 분의처리(紛衣處理)하면 butachlor, pretilachlor, benthiocarb 및 chlormethoxynil의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어 벼의 입묘율(立苗率), 묘장(草長, 엽수(葉數) 및 건물중(乾物重)은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1,8-NA 1%에서는 제초제(除草劑)의 약해(藥害) 경감효과(輕減效果)가 안정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벼의 입묘율(立짧苗率) 및 건물중(乾物中)은 1, 8-NA 무처리보다 감소(減少)하였다. 3. CGA 123'407을 pretilachlor와 혼합(混合)하여 처리(處理)하면 pretilachlor의 약해(藥害) 경감효과(輕減效果)가 현저하게 나타났고 벼의 입묘율(立苗率)과 건물중(乾物重)은 pretilachlor 단독처리(單獨處理)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4. 따라서 1, 8 -NA 0.5% 분의 처리는 벼의 보온절충(保溫折衷)못자리에서 butachlor, pretilachlor, benthiocarb 및 chlormethoxynil의 약해(藥害) 경감효과(輕減效果)가 인정되며, CGA 123'407은 pretilachlor와 혼합처리(混合處理)하면 pretilachlor의 약해(藥害)됨으로써 1, 8-NA와 CGA 123'407은 보온절충(保溫折衷)못자리에서 제초제(除草劑)의 안전사용(安全使用) 방안(方案)으로 응용(應用)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왕겨의 마이크로파 탄화속도 (Kinetics on the Microwave Carbonization of Rice Chaff)

  • 김지현;유승곤;김동국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6호
    • /
    • pp.683-690
    • /
    • 2005
  • 왕겨를 마이크로파로 탄화하고 그의 탄화속도를 기존의 열적 탄화에 의한 탄화속도와 비교하였다. 왕겨를 $300{\sim}600^{\circ}C$에서 각각 30분 동안 열적 탄화하고 그의 탄화속도를 분석한 결과 탄화온도가 증가할수록 질량감소 및 탄화도(C/H 몰비)가 현저히 증가했지만 왕겨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면 입사전력과 조사시간이 증가해도 탄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600^{\circ}C$에서 30분 동안 탄화시켜 C/H 몰비가 3.0 이상인 탄화왕겨 6 wt%를 왕겨에 혼합시키고 마이크로파를 조사한 결과 탄화가 잘 되었고 그의 속도식은 마이크로파 입사전력 및 조사시간에 의존하였으며 열적 탄화와 마찬가지로 Arrhenius 식으로 잘 표현되었다. 이때 마이크로파 탄화로 얻어진 활성화에너지는 열적 탄화에 비하여 크게 낮은 반면에 반응속도상수는 훨씬 컸다. 이는 마이크로파 흡수촉진 매체, 즉 촉매적 개시제(initiator)로 사용된 탄화왕겨에 대한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내부 부피가열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이크로파 흡수특성에 대한 왕겨의 회분과 탄화왕겨의 탄화도 및 혼합비율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삭도열병 발병정도가 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Assessments of Yield and Quality of Rice Affected by Rice Panicle Blast)

  • 심홍식;김용기;홍성준;한성숙;성재모
    • 식물병연구
    • /
    • 제9권4호
    • /
    • pp.183-188
    • /
    • 2003
  • 이삭도열병 발생 정도가 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삭도열병 발생정도별 포기당 수량, 천립중, 등숙율 및 피해립 발생율을 조사하였다. 이삭도열병 발생정도와 수량감소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조생종인 진미벼($R^2$=0.6518)가 중생종인 주안벼($R^2$=0.7977)보다 발병도 심하고 수량감소도 많았다. 천립중도 발병정도가 심할수록 적었으며, 진미벼($R^2$=0.6848)와 주안벼($R^2$=0.7841) 모두 일정한 비율로 천립중이 감소하였다. 이삭도열병 발병 정도별 벼 등숙에 있어서는 무발병구의 등숙율이 진미벼 95%, 주안벼 88%인데 비하여 발병 이 증가할수록 진미벼($R^2$=0.4745)와 주안벼($R^2$=0.703) 모두 등숙율이 떨어졌다. 또한 이삭도열병 발병이 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발병정도가 심할수록 완전미보다 피해립 발생율이 현저히 많았으며, 발병과 피해립 발생과의 관계는 진미벼는 $R^2$=0.6607, 주안벼$R^2$=0.6706으로 정의 상관관계가 었었다.

연초용(煙草用) 상토재료(床土材料)로서의 왕겨숯(燻炭)의 질산중화효과(窒酸中和效果) (Neutralization of Rice Hull Charcoal with Nitric Acid Solution and its Neutritional Effect on Tobacco Seedling)

  • 이윤환;홍순달;김용연;정훈채;강서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30-136
    • /
    • 1981
  • Rice hull was reduced to ash by carbonization grades to illcuidate alkalinity increase and extract of inorganic nutrients in the rice hull charcoal. Alkaline reaction of water extraction was neutral at less carbonized charcoal, but much carbonized ash from 65% weight loss reached over 10 of pH value, also origin shape of rice hull was maintained until near 65% carbonized grade. Therefore, physical properties sustained good condition for seedling bed. The more charcoal carbonized to ash, the pH value and concentration of inorganic nutrient in their extracts were increased gradually. Nitric acid concentrations for neutralizing extract from charcoal were stronger in proportion to the carbonized grade but 0.1 N nitric acid solution was very reasonable to neutralize the 65% carbonized charcoal for mixing with heavy texture acidy soil(pH 5.3) of uncultivated deep horizon to transplant the tobacco seedlings. Volume ratio mixing for seedling bed is adequate at five of ash to one of acid solution. Neutralization with nitric acid solution also accelerated extraction of the inorganic nutrient in rice hull ash. Tobacco seedlings grown on bed mixed with neutralized rice hull charcoal and soil had shown better results on the agronomic measurement than alkaline ash bed, and phosphorus and cations were uptaken more amounts.

  • PDF

점화에너지 변화에 따른 쌀겨분진의 폭발 거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Explosion Behavior of Air-born Rice Bran Dusts according to Ignition Energy)

  • 김정환;김현우;현성호;백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6-32
    • /
    • 1999
  • 쌀겨분진의 연소 및 전기적 점화에너지에 의한 폭발 위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차주사열량계(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및 열중량 분석기(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와 순간승압조정기를 이용하여 온도 및 전기 스파크에 따른 발열개시온도, 발열량 등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Hartman 식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쌀겨분진의 폭발 위험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DSC 분석 결과 대기 분위기에서 발열량이 증가하였으며 또한 승온속도가 증가하고 입도가 미세해질수록 발열량이 증가하였고, TGA 분석 결과 입도가 미세해질수록 분해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쌀겨분진의 폭발 위험성은 입도가 감소하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또한 전기적 점화에너지가 클수록 폭발압력이 증가하였으며, 전기 점화원에 인가된 전압변화에 따른 폭발압력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50/60 mesh, 1.5mg/㎤에서 약 13.5kgf/$\textrm{cm}^2$의 최대 폭발압력을 나타내었다.

  • PDF

Exploration of suitable rice cultivars for close mixed-planting with upland-adapted cereal crop

  • Shinohara, Nodoka;Shimamoto, Hitoshi;Kawato, Yoshimasa;Wanga, Maliata A.;Hirooka, Yoshihiro;Yamane, Koji;Iijima, Mori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04-304
    • /
    • 2017
  • In semi-arid countries such as Namibia, the flooding unexpectedly happens in a rainy season, causing losses in the yield of upland-adapted cereal crop. In flooding conditions, rice roots sequentially form aerenchyma and a barrier to radial oxygen loss (ROL), and oxygen is released into the rhizosphere near the root tips. Iijima et al. (2016) and Awala et al. (2016) reported that close mixed-planting with rice can mitigate the flood stress of co-growing upland-adapted cereal crop by modifying their rhizosphere microenvironments via the oxygen released from the rice roots. Moreover, by using the model system of hydroponic culture, it was confirmed that oxygen from rice roots was transferred to co-growing upland-adapted cereal crop in close mixed planting system (Kawato et al., 2016). However, it is not sure whether the ability of oxygen release varies among rice cultivars, because Kawato et al. (2016) used only one japonica cultivar, Nipponbare (Oryza sativ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bility of oxygen release in rhizosphere among rice cultiva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climate chamber in Kindai University. We used 10 rice cultivars from three different rice species (O. sativa (var. japonica (2), var. indica (3)), Oryza glaberrima Steud. (2) and their interspecific progenies (3)) to compare the ability of oxygen release from the roots. According to the method by Kawato et al. (2016),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of phase I (with shoot) and phase II (without shoot) were measured by a fiber optic oxygen-sensing probe. The oxygen released from rice roots was calculated from the difference of the measurements between phase I and phase II. The result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all of the rice cultivars released oxygen from their roots, and the amount of released oxyge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bove-ground biomass (r = 0.710). The ability of oxygen release (the amount of the oxygen release per fresh root weight) of indica cultivars (O. sativa) tended to be higher as compared with the other cultivars. On the other hand, that of African rice (O. glaberrima) and the interspecific progenies tended to be low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bility of oxygen release widely varies among rice cultivars, and some of indica cultivars (O. sativa) may be suitable for close mixed-planting to mitigate flood stress of upland-adapted cereal crop.

  • PDF

미강 식이섬유가 밀가루의 리올로지와 생국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bran dietary fiber on flour rheology and quality of wet noodles)

  • 김영수;하태열;이상효;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0-95
    • /
    • 1997
  • 미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를 밀가루에 3, 6, 9% 첨가하여 밀가루의 리올로지와 생국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강 식이섬유의 입자크기는 99% 이상이 $250\;{\mu}m$이하로 고운 분말상태를 보였다. 미강 식이섬유를 첨가함에 따라 아밀로그래프상의 호화개시온도, 최고 및 최종점도를 증가시켰으며, 패리노그래프상의 수분흡수율 및 반죽의 안정도를 증가시켰다. 색도는 조리하지 않은 국수 뿐만 아니라 조리한 국수에서 식이섬유의 첨가에 따라 L값이 크게 감소하였다. 국수의 조리후 중량 및 부피증가는 식이섬유 첨가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조리손실은 식이섬유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가 가장 높았으며 식이섬유를 첨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조리한 국수의 텍스쳐 측정 결과, 미강 식이섬유 첨가량을 증가함에 따라 견고성, 부착성, 껌성, 씹힘성은 증가하였으나 응집성은 점차 감소하였다. 조리한 국수의 관능검사 결과 외관,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구, 3%, 6% 미강식이섬유 첨가시료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혼합유박비료 시비시기가 유기농경지 토양과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Application Time of Mixed Expeller Cake fertilizer in Organic Farming Soil and Rice Yield)

  • 문영훈;안병구;이공준;서경원;고도영;최선우;김진호;최인영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75-487
    • /
    • 2017
  • 친환경 벼 재배농가에서 혼합유박비료를 관행적으로 이앙 3일 전에 사용함에 따라 분얼기 이후에 비료효과가 나타나므로 수량이 감소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내에서 조사한 혼합유박비료의 무기화는 담수조건에서 7주까지 $NH_4-N$가 증가하였고, 비담수 조건에서 5주까지 $NO_3-N$가 증가하였다. 벼 이앙 20일에 논토양의 질소무기화는 이앙 20일 전 처리구가 0.85%로 가장 높았다. 수확기 토양특성은 혼합유박비료 시비시기에 따라 토양유기물함량을 제외하고 차이가 없었다. 이앙 60일에 초장, 간장, 수장은 이앙 20일 전 처리구가 가장 길었다. 또한 이앙 20일 전 처리구에서 수수, 등숙비율, 천립중이 높게 나타나 백미수량이 관행처리(이앙 3일 전)에 비해 9% 증가하였다. 백미의 백도와 amylose는 차이가 없었지만, 단백질 함량과 식미치는 이앙 20일과 30일전 처리에서 같은 수준이었다. 쌀 수량과 품질 등을 혼합유박비료 시용시기와 관계식으로 산출하면 혼합유박비료의 적정 사용 시기는 이앙 21.3일 전으로 나타났다.

삼산간척지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재배환경이 종자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ltivation Environments on Seed Yield and Quality of Italian Ryegrass in Samsan Reclaimed Land)

  • 남철환;김기수;박만호;윤안아;배희수;장현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3-79
    • /
    • 2020
  • 본 연구는 전남 장흥군에 위치한 삼산간척지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의 종자 생산단지 조성 추진을 위한 안정적인 종자 생산 기술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IRG 종자는 가을 파종 기준으로 출수 후 35일에 종자를 수확하는 것이 가장 많은 수량성(2,232kg/ha)을 나타내었고, 출수 후 45일, 55일로 수확 시기가 늦춰짐에 따라 탈립으로 인해 수량성이 감소하였다. 출수 후 35일 수확 시 벼 입모중 파종은 벼 후작 파종과 비교하여 종자 수량성이 약 80% 수준이었고, 봄 파종은 벼 후작의 40% 수준으로 수량 차이가 컸다. 가장 많은 종자 수량을 얻은 것은 국내산 종자를 사용하여 벼 후작으로 30kg/ha 조파하는 것으로 2,507kg/ha의 종실 수량을 보였다. 가을 파종 시험구에서 출수 후 35일에 수확한 종자의 발아율은 최고 92.7%에서 최저 42.0%로 50.7%의 큰 차이가 있었고, 출수 후 45일에서 출수 후 55일로 수확 시기가 늦어질수록 각각 26.7%와 28.7%로 그 차이가 줄어들었다. 종자 채종 후 부산물인 IRG 짚은 출수 후 35일 수확을 기준할 때 벼 후작으로 수입산 종자를 20kg/ha 조파하는 것이 ha당 생초중이 36,667kg, 건물중이 14,500kg, TDN 수량이 7,895kg로 높았다. 가을에 파종한 IRG의 짚은 평균 건물중이 11,871kg/ha이었고, 조단백질 함량은 5.7%, TDN 함량은 54.4%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통상 수확하는 IRG 조사료에 비해 사료가치가 낮으나, 볏짚보다는 높은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삼산간척지에서 국내산 종자를 10월 상순에 30kg/ha 수준으로 조파하여 출수 후 35일에 수확할 경우 ha당 대략 종자 2.5톤과 부산물로 짚을 11톤 정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종자대가 kg당 2,500원, 짚이 kg당 100원에 판매된다고 가정하면, 종자 수확 시 범용콤바인 작업비로 ha당 100만 원이 별도로 소요된다고 하더라도 조사료 생산 시보다 약 339만 원/ha의 추가 수익을 발생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