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insect pests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3초

본논초기 해충군과 비래성 멸구류의 밀도억제를 위한 살충제의 체계적 처리에 관한 연구 (A Systematic Application of Insecticides to manage Early Season Insect Pests and Migratory Planthoppers on Rice)

  • 배윤환;이준호;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0-280
    • /
    • 1994
  • 우리나라의 본농초기 해충군과 비래성 멸구류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살충제의 체계적 처리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이앙직접 carbofuran 토양혼화처리후에 벼멸구 비래시기와 buprofezin 처리시기 및 처리약량을 달리하였을때의 벼멸구 밀도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이앙직전 carbofuran (3G) 토양혼화처리의 효과로부터 벗어난 7월중 비래 벼멸구에 대한 buprofezin (25% WP)의 적정처리시기는 7월말~8월초이었다. 이때 buprofezin 의처리약량은 관행처리량보다 훨씬 낮은 수준인 7.0 g a.i./10a으로도 벼멸구의 증식밀도를 효과적으로억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carbofuran 토양혼화처리와 buprofezin 처리는 흰등멸구에 대해서도 탁월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멸구류를 천적인 거미밀도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않았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수도해충 발생특성을 고려할 때 carbofuran 과 buprofezin을 이용한 살충제 체계적 처리 즉, 이앙직전 carbofuran 토양혼화처리후 7월말-8월초 bupro-fezin처리는 본 논초기 발생해충들 및 비래성 멸구류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제체계로 생각된다.

  • PDF

논 태우기가 논 포장 및 농경지 서식 절지동물에 미치는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 of Burning Rice Paddy Fields on Arthropods in Rice Paddy Fields and Agricultural Fields)

  • 공민재;전성욱;권경화;송순이;김광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993-1003
    • /
    • 2021
  • It is known that the effect of traditional agricultural techniques of burning farmland such as paddy fields and fields gradually declines and affects both the fauna and flora of the rice paddy as well as pests. Therefore,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urning rice paddy fields and rice paddy fields levee on the control effect of winter pests inhabiting agricultural land and the amount of pests generated and damaged during the growing seas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est control effect of incineration reduces not only the density of pests, but also beneficial insects (natural enemies) and non-reptiles. It is judged that burning has a very low insect control effect.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create a sustainable agricultural environment, such as minimizing various negative effects such as pest control effects, wildfires, and air pollution caused by incineration, and suppressing unnecessary incineration and fine dust generation.

MaxEnt를 활용한 기후변화와 토지 피복 변화에 따른 멸강나방 및 혹명나방의 한국 내 분포 변화 분석과 예측 (Analysis and estimation of species distribution of Mythimna seperata and Cnaphalocrocis medinalis with land-cover data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using MaxEnt)

  • 박태철;장호중;엄소은;손기문;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40권2호
    • /
    • pp.214-223
    • /
    • 2022
  • 멸강나방(Mythimna seperata)과 혹명나방(Cnaphalocrocis medinalis)은 중국 남부 양쯔강 유역에서 봄철 편서풍을 타고 국내로 유입되는 비래 해충(Migratory insect pests)으로 벼를 기주로 삼아 벼 잎을 가해하여 생육을 저해시킨다. 두 나방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서식처의 온습도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요소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두 나방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 SDM(Species Distribution Model) 중 Machine learning model인 MaxEnt (Maximum Entropy)에 출현 자료, SSPs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현재와 미래의 서식지 적합성 모형을 예측했다. 결과로 시기에 따른 서식처 면적이 큰 차이가 없었으며, SSPs 시나리오가 나빠짐에 따라 분포 면적이 넓어졌다. 두 나방은 중국으로부터 비래 후 생존하기 위한 최적의 장소가 기주가 있는 서해안과 남해안에 집중되어 있다. MaxEnt 결과 토지피복 자료, DEM (Degital Elevation Model) 순으로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논에서의 출현 확률 높고 고도가 높아지면서 출현 확률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기후 변수에서 멸강나방은 BIO_4 (Temperature seasonality), 혹명나방은 BIO_2 (Mean Diurnal Range)가 높게 나타났다. 멸강나방은 계절에 의한 기온 차가 31.9℃ 이상일 때 서식처가 줄어들고, 혹명나방은 일교차 클수록 서식처가 넓어질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지 적합성 모형에서 두 나방은 대부분의 논에서 서식이 가능할 것이라 예측되었다. 하지만, 두 나방의 출현 위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서식지 적합성 지도를 기초로 조기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Three New Loci of Insertion Element IS1112 in Chinese Strains of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 Xie, Jiajian;Wang, Xifeng;Li, Feiwu;Peng, Yufa;Zhou, Guanghe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3호
    • /
    • pp.219-226
    • /
    • 2007
  • Insertion sequence IS1112 is a repetitive element with a relatively high number of copies in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Xoo), the causal agent of bacterial blight of rice (Oryza sativa L.). Three new loci of IS1112 were identified in seven Chinese strains of Xoo using a single oligonucleotide primer J3; 5'-GCTCA GGTCAGGTGGCCTGG-3' by insertion-sequence-based polymerase chain reaction (IS-PCR). Among the three new loci of IS1112, two were located in the open-reading frame region of genes fhuA and cirA, which encode TonB-dependent receptors, and the third in ISXo2, another type of insertion sequence in Xoo genome. Three variants of IS1112 were identified in those three loci based on their sequence similarities: two were identical to IS1112a and IS1112b, reported in strain PXO86 from the Philippines, while the third was a new member of IS1112, defined as IS1112d. Inserting IS1112 in gene fhuA caused three bases, GGT, to be duplicated at the target site, but inserting it in gene cirA did not cause any duplication in the target site. The diversity of IS1112 sequence and insertion loci in Xoo genome and their potential effects are discussed.

수도주요해충 및 포식성천적 황산적거미에 대한 살충제의 선택독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lective Toxicity of Insecticides for Rice Insect Pests between Some Dominant Rice Insect Pests and a Predatious Spider, Pirata subpiraticus)

  • 유재기;권영욱;박형만;이형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6-171
    • /
    • 1984
  • 가. 해충과 거미에 대한 반치사약량및 상대독성 조사 (1) BPMC와 MIPC는 벼멸구와 황산적거미에 대한 상대독성치가 각각 $18.4\~29.6,\;8.0\~10.3$으로 비교적 높은 선택독성을 보였다. (2) 이화명충과 황산적거미에서는 thiocyclam, chlorpyrifos-methyl이 각각 727, 14의 상대독성치를 보였으며 벼밤나방에서는 thiocyclam이 189.3으로 선택독성이 높았다. (3) 끝동매미충과 황산적거미에 대해서도 BPMC의 상대독성치가 8.2로 양호하였다. 나. 약제형성 및 처리회구가 해충 및 천적밀도에 미치는 영향(폿트시험) (1) 이화명충 방제약제중 cartap이 이화명충 방제효과도 높고, 거미밀도도 높았으며, 제형간에서는 유제가 분제보다 거미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2) MIPC 처리구에서 끝동매미충 방제효과가 높고 거미 밀도에 미치는 영향도 적었다. (3) pyridaphenthion 1회 처리구가 2회 처리구에 비하여 거미밀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으나 혹명나방 방제효과는 비슷하였다.

  • PDF

Insect natural enemies as bioindicators in rice paddies

  • Ueno, Takatoshi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545-553
    • /
    • 2012
  • In Asia, including Japan and Korea, rice paddies occupy the largest cultivated area in agricultural land. Rice paddies provide the habitats for many organisms including endemic species, sustaining high biodiversity. Insect natural enemies inhabiting rice paddies have an important function for rice production as agents of 'ecosystem services' because they play a major role in suppressing rice pests. The diversity and abundance of natural enemies can be a good index reflecting the 'healthiness' of agro-ecosystem services in rice paddi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whether insect natural enemies could be good biological indicators for general arthropod biodiversity and agricultural practice. First, the concept of ideal bio-indicators was summarized. The strategy to explore and select such bio-indicators was then proposed. Lastly, field survey was made to evaluate the abundance and biodiversity of natural enemies in Japanese rice paddies where chemical inputs, i.e., insecticide use, were different. The results showed that reduction of chemical inputs led to an increase in species richness or diversity of natural enemies including parasitoids and predators. Then, the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suitable indicator species to assess environmental soundness of agricultural practice and biodiversity in rice paddies. The density of several species of natural enemies did respond both to pesticide use and to general arthropod biodiversity. The analyses thus have indicated that natural enemies can be suitable as bio-indicators. Usefulness of indicator species in rice paddies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ecologically sound agriculture.

Internet-based Inform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Weather and Disease and Insect fast management for rice growers in Gyeonggi-do, Korea

  • S.D. Hong;W.S. Kang;S.I. Cho;Kim, J.Y.;Park, K.Y;Y.K. Han;Park, E.W.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08.2-109
    • /
    • 2003
  • Th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has developed a web-site (www.epilove.com) in collaboration with EPINET to provide information on agricultural weather and rice disease and insect pest management in Gyeonggi-do. Weather information includes near real-time weather data monitored by automated weather stations (AWS) installed at rice paddy fields of 11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ATC) in Gyeonggi-do, and weekly weather forecast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Map images of hourly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are also generated at 309m x 309m resolution using hourly data obtained from AWS installed at 191 locations by KMA. Based on near real-time weather data from 11 ATC, hourly infection risks of rice blast, sheath blight, and bacterial grain rot for individual districts are estimated by disease forecasting models, BLAST, SHBLIGHT, and GRAINROT. Users can diagnose various diseases and insects of rice and find their information in detail by browsing thumbnail images of them. A database on agrochemicals is linked to the system for disease and insect diagnosis to help users search for appropriate agrochemicals to control diseases and insect pests.

  • PDF

입제의 수면처리에 의한 주요수도해충의 동시방제 (Simultaneous Control of Several Rice Insect Pests by Broadcasting Application of Granulated Insecticides (Terracur P, Lebaycid, and Gamma-BHC))

  • 최승윤;배상희;송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32
    • /
    • 1970
  • 본 시험은 유기인계 살충제인 Terracur P입제 및 Lebaycid 입제와 유기염소계 살충제인 상감마입제$(\gamma-BHC 입제)$를 수면시용 하였을때 수도요해충인 이화명충, 끝 동매미충, 애멸구 및 흰둥멸구에 대한 동시방제가능성과 방제적기를 구명하고 약제간의 방제효과를 비교코저 실시하였다. 얻어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처리후 부화직후 이화명충 접종 시험에 있어서 상감마와 Terracur P는 높은 살충율을 보였으나 Lebaycid의 살충율은 낮았다. 約 $50\%$ 살충력 잔효일수에 있어서 상감마는 8-14日이었고 Terracur P는 6일간이었다. 2) 당초 계획된 방제적기에 관한 정보는 얻을 수 없었다. 즉 주어진 일간격이 좁아 유의한 차를 얻을 수 없었다. 3) 1,2화기 이화명충에 대한 방제효과는 Terracur P=상감마>Lebaycid의 순이었다. 4) Terracur P와 Lebaycid 입제의 처리는 끝동매미충의 방제효과가 좋았으나 상감마$(\gamma-BHC 입제)$의 방제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끝동매미충에 대한 Terracur P와 Lebaycid입제의 잔효력은 30일 이상이었다. 5) 애멸구와 흰등별구에 대한 시험은 충의 서식밀도가 낮기 때문에 약제간 방제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6) 공시약제중 Terracur P와 Lebaycidd입제는 이화명충과 끌동매미충의 동시방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 PDF

Screening of botanicals against the adults of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 L.

  • S. Rajashekara;R. Kiran;V. Bhavya;C. Chithrashree;V. Chaitra;Deepti Ravi Joshi;M. G. Venkatesh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7권1호
    • /
    • pp.12-24
    • /
    • 2023
  • Sitophilus oryzae L. (Rice Weevil) is a stored pest of rice that causes extensive loss throughout the world. We tested the leaf powders of 12 plant species viz., Chrysanthemum sp., Cinnamomum zeylanicum, Citrus grandis, Citrus limon, Gliricidia sepium, Gymnema sylvestre, Hemigraphis colorata, Michelia champaca, Moringa oleifera, Murraya koenigii, Polyalthia longifolia, and Sauropus androgynus at dosages of 1.00, 1.50, 2.00 and 3.00g against the adult rice weevil and mortality was recorded at 1, 2, 3, 5, 7, 12 and 2l days after treatment (DAT) by direct contact toxicity for their adulticidal effect. We observed 100 percent adult mortality in C. zevlanicum and M. koenigii among the tested leaf powders. In addition, the first-time tested H. colorata and S. androgynus also caused high mortality compared to other plants. All the plant powders caused moderate to high adult mortality. Hence, these plants could be effective botanical insecticides against S. oryzae as they comprise a potential source of bioactive chemicals and are generally free from toxicants. Applications of these natural derivatives in S. oryzae control could reduce the cost of control methods and storage of rice contamina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some plant extract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toxic synthetic chemicals in the management of rice weevils.

유기 및 관행벼 재배지 충해 발생 및 방제에 관한 연구 (Insect Pests Occurrence and Control in Organic and Conventional Rice Paddy Field)

  • 이상계;이용환;김지수;이병모;김미자;신재훈;김한명;최두회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1-314
    • /
    • 2005
  • 우리나라 벼 유기농업 실천농가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알려져 있는 병해충의 제어기술을 정립하기 위하여 강화 등 5개 지역의 벼 유기농재배지와 관행재배지에서 해충의 발생실태와 방제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 생육시기별 해충발생은 강화지역의 오리농법과 쌀겨농법 재배지에서 본답 중기에 애멸구의 밀도가 높았으며 여주지역의 관행재배지에서 본답초기에 벼물바구미의 밀도가 높았다. 홍성지역에서는 본답초기에 관행방제구에 비하여 유기재배지에서 끝동매미충과 벼물바구미의 밀도가 높았다. 시기별 해충발생은 본답후기에 많았으며 지역 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유기재배지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2. 홍성지역에서는 오리투입시기에는 발생이 적었으나 본답초기 및 후기에 발생이 많았다. 천적류도 본답후기에 발생이 많았고 지역별로 큰 차이는 없었으며 거미류와 기생봉류가 주류를 이루었다. 홍성지역에서는 유기재배지보다 관행재배지에서 꼬마거미와 접시거미의 발생이 많았다. 논거미의 분포는 대부분 조망성 거미인 꼬마거미과, 접시거미과, 갈거미과 등이 배회성 거미인 늑대거미, 염낭거미, 닷거미 등 보다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하였으며, 거미의 발생량은 지역간의 차이가 심하였고 농법간의 차이는 일관성이 없었다. 3. 일부 자재의 경우 방제효과가 높이 나타났으나, 유기농 자재에 대한 효과는 보다 과학적인 검증이 필요한 상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