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Hulls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9초

한국산 메밀의 산지 및 종류에 따른 식이섬유와 루틴의 함량비교 (Content Comparison on Dietary Fiber and Rutin of Korean Buckwheat according to Growing District and Classification)

  • 이미숙;손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49-253
    • /
    • 1994
  • In this study,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acid detergent fiber contents lignin, water binding capacity (WBC), iron binding capacity of ADF and rutin contents from Korean buckwheats were determined. Total dietary fiber (TDF) content was 3.14% in kyungbuk rice buckwheat, 5.65% in kangwon hull buckwheat and 3.35% in kangwon rice buckwheat.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 was 2.47, 4.46 and 2.94%, respectively and lignin content was 1.14, 1.60 and 1.08% respectively. The water binding capacity of these three sample dietary fiber showed that TDF were in the range of 2.87~3.88 g %H_2O$/g DF and ADF were in the range of 4.62~5.26 g %H_2O$/g DF. The iron binding capacity of ADF at pH 5.0, 6.0, 7.0 were 79.11, 78.01, 46.16% in kyungbuk rice buckwheat, 70.63, 63.83, 53.60% in kangwon hull buckwheat and 77.67, 76.33, 50.25% in kangwon rice buckwheat. The rutin contents of these samples and their hulls were 13.54~16.41 mg/100 g groats and 12.13~14.24 mg/100 g in hulls. The rutin content of kyungbuk rice buckwheat was the highest.

  • PDF

생왕겨를 이용한 실리콘 카바이드 합성 (Synthesis of SiC Whiskers from Rice Hulls)

  • 길경선;김종학;고인용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권4호
    • /
    • pp.17-22
    • /
    • 1993
  • 왕겨와 활성탄을 출발물질로 하여 탄소열 환원법으로 SiC 휘스커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이에 있어서 가수와 첨가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온도는 $1450^{\circ}C$ 이었고 합성도니 SiC 휘스커는 후처리 후 SEM, XRD 분석을 행하였다. 반응관내에 수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총유량이 클수록 휘스커의 생성율이 증가하였으며 가스의 유속이 Ar : $H_2$=300:45(cc/min)이고 NaF : $CaF_2$= 1:1가 되도록 혼합하여, 첨가하고, Ni를 flake ($1{\times}1$mm)로 첨가한 경우에 가장 양호한 형태의 휘스커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연소촉진제 첨가 및 팽연화 기술 개발을 통한 왕겨의 목재펠릿 사용 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sing wood pellets of rice husk through the addition combusion improver and development of expansion technology)

  • 김완배;오도건;유재상;정연훈;박대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678-1686
    • /
    • 2020
  • 본 논문은 농업부산물인 왕겨를 사용하여 목제펠릿 이용 가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왕겨의 낮은 발열량은 팽연화 기술과 연소첨가제를 통해 개선하고자 하였다. 왕겨의 물리?화학적 분석 시 염소 함유량이 0.09%로 목재펠릿 품질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팽연화 기술을 통해 왕겨를 팽연왕겨로 제작 시 염소 함유량이 감소하여 목재펠릿 기준에 준하는 0.02%의 생성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발열량 역시 기존 3,780 kcal/kg 대비 4,280 kcal/kg로 증가된 생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5,000 kcal/kg 이상의 생성물을 얻기 위해 연소촉진제로 붕사, 과산화수소,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했지만 발열량 개선은 미비하게 나타났다. 폐자원 바이오매스인 커피찌꺼기를 사용하여 커피유로 전환 후 팽연왕겨에 혼합하여 생성물 분석 시 커피유 15 wt% 혼합 생성물이 4,949 kcal/kg의 발열량을 나타냈다. 농업부산물인 왕겨를 목제펠릿으로 사용할 시 발열량 개선을 위해 폐자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단되며,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커피유를 혼합할 시 왕겨를 목제펠릿으로 충분히 사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and Sound Transmission Loss of Rice Hull Mat

  • Kang, Chun-Won;Lee, Nam-Ho;Jang, Sang-Sik;Kang, Ho-Ya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290-298
    • /
    • 2019
  •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and transmission loss of several types of rice hull mats with varying apparent densities and thicknesses are estimated in this paper using the transfer function and matrix methods, respectively,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sing rice hull as an acoustic construction material. The mean sound absorption rates of 10-cm-thick rice hull mats with target densities of $0.10g/cm^3$, $0.12g/cm^3$, and $0.14g/cm^3$ were 0.91, 0.92, and 0.95, respectively, while those of the 1-cm-thick plywood attached to the back of the rice hulls were 0.90, 0.92, and 0.92, respectively. The means of the sound transmission loss of the 10 cm-thick rice hull mats with the target densities of $0.10g/cm^3$, $0.12g/cm^3$, and $0.14g/cm^3$ were 7.66 dB, 10.49 dB, and 14.14 dB, respectively, while those of the 1 cm-thick plywood attached to the back of the rice hulls were 33.34 dB, 36.72 dB, and 38.95 dB, respectively. In conclusion, a rice hull mat could be used as acoustic construction materials because of its high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and sound transmission loss.

딸기의 고설수경재배에서 배지의 종류가 생육, 수량 및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strates on the Growth, Yield and Fruit Quality of Strawberry in Elevated Hydroponic System)

  • 전하준;황진규;손미자;최문환;조문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7-321
    • /
    • 2006
  • 본 실험은 딸기의 고설수경재배에 이용 가능한 적정한 배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코코피트 배지에서 엽수가 가장 많았으며, 원예용 상토배지에서 엽장과 엽폭이 가장 우수했다. 과중은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지만 원예용 상토배지에서 25.8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과장, 과경, 당도 등도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원예용 상토배지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주당 수확과수는 원예용 상토와 코코피트 배지 모두 왕겨 혼합배지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주당 수량은 원예용 상토배지가 545.9g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코코피트 배지에서 높았으며 왕겨 혼합배지에서 가장 낮았다. 본 연구에서는 딸기의 수경재배에 적합한 고형배지로서 생산자가 구입과 작업이 편리하고 물리성이 좋은 원예용 상토의 우수성을 입증하여, 딸기 재배농가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타 작물의 고형배지 재배에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New Stigmastane Steroids Constituents from Rice Hulls of Oryza sativa and Inhibitory Activity on Radish seed

  • Jeong, Il-Min;Ali, Mohd;Khanh, Tran Dang;Choung, Myoung-Gun;Park, Hong-Jae;Ahmad, Ateequ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1호
    • /
    • pp.93-98
    • /
    • 2006
  • Two new compounds 1'-(stigmast-11,20(21),25-trien 3$\alpha$,9$\alpha$-diolyl)-3'-(pimara-11,15-dien-3$\alpha$-olyl) glycerol (1) and stigmast-5-en-3$\alpha$,26-diol (2) along with known fatty acids n-hexacosanoic acid (3) and hexadecanoic acid (4), have been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rice hulls of Oryza sativa. The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elucidated using 1D and 2D NMR spectral methods, viz; $^1H, ^{13}C, ^{13}C$-DEPT, $^1H-^1H$ COSY, $^1H-^{13}C$ HETCOR, HSQC and HMBC aided by IR, EIMS, FABMS and HRFABMS. Compound (1) showed inhibition to radish germination, growth of shoot and root length.

돌피(Echinochloa crus-galli)에 대한 벼품종의 알레로파시 잠재성 평가 (Allelopathic Potential Evaluation of Rice Varieties on Echinochloa crus-galli)

  • 정일민;김광호;안종국;주호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2-58
    • /
    • 1997
  • 본 실험은 allelopathic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국내 재배벼(Nagdong 외 46종)의 왕겨와 잎의 조 추출액을 이용하여 제초활성 벼품종 선발과 천연식물성 제초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피(E. crus-galli)의 발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였다. 피 종자에 대한 발아율은 왕겨 추출액의 경우 남원벼가 36%, 계화벼가 38%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잎 추출액은 삼백벼 43%과 서안벼 46%로서 가장 큰 억제 작용을 보였다. 왕겨 추출액과 잎 추출액의 피에 대한 발아 억제 정도 비교 실험에서는 왕겨 추출액이 46%로서 잎 추출액 71% 보다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추출액의 농도처리 효과에서는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서 발아율이 억제되었고 왕겨 추출액의 발아억제정도는 연차간의 차이를 보였다.

  • PDF

먹이조건의 차이가 지렁이 생육, 분립생산량 및 체조직으로의 유기물 전환효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fferent Feeding Conditions on Growth, Cast Production and Conversion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to the Earthworm(Eisenia foetida L.))

  • 이지영;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87-298
    • /
    • 2008
  • 우분에 왕겨와 볏짚을 1:1, 1:2, 1:3의 부피비율로 혼합한 먹이조건이 지렁이의 생육, 분립생산량, 체조직으로의 유기물 전환율 및 전환효율을 조사하여, 적정 먹이조건을 추정하였다. 1. 우분+왕겨 혼합구가 우분+볏짚 혼합구보다 지렁이의 증체속도, 증식효율 및 분립생산량이 많았다. 특히 우분+왕겨 1:3 혼합비율이 지렁이 생육에 가장 알맞은 먹이조건이었다(Table 2). 2. 우분+왕겨 혼합 구에서 지렁이 체조직으로의 유기물 전환율과 전환효율이 높았던 것은 먹이 중의 휘발성 고형분과 전탄소함량이 높았기 때문이었다(Table 1, 4). 4. 지렁이 분변토는 약알칼리성이고, 전질소함량, 유효인산함량, CEC 및 치환 성 양이온 함량이 높아서 친환경 농자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Table 5).

  • PDF

요소수지(尿素樹脂) 연질(軟質) 왕겨보드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Rice Hull Insulation Board using Urea Formaldehyde Resin)

  • 이화형;강춘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4호
    • /
    • pp.50-55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low density board made of rice hull which needs proper use. Urea formaldehyde adhesive(UF) was used. The raw materials were the mixtures of the rice hulls from IllFum, DongGin, ChuChong, etc.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ice hull insulation board were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or the thickness of 15mm of the low density rice hull board bonded with UF resin, proper manufacturing conditions were $171^{\circ}C$ of hot pressing temperature with thickness bar for optimum density, 12 percent of resin solid contents of rice hull ovendry weight, and 20 minutes of hot pressing time. These conditions meet Korean standards(KS 3201-1982) in relation to free formaldehyde emission, bending strength, water absorption and heat resist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