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Bran Oil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3초

유리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미강유와 글리세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관한 연구 (Study on Reesterification of Rice Bran Oil Containing High Free Fatty Acids and Glycerol)

  • 문성훈;이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3-199
    • /
    • 1980
  • 유리 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미강유(산 값=119.7)와 당량의 글리세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관한 실험을 시도하였는 바, 실험 결과를 보면 (1) 반응온도를 $170^{\circ}C$에서 $210^{\circ}C$$250^{\circ}C$로 올렸을 때 촉매의 유무 및 반응시간에 관계 없이 평균 산 값은 각각 42.7, 21.5 및 10.0으로 반응이 촉진되었고, (2) 촉매를 사용하였을 때 온도와 시간에 관계없이 반응이 현저히 촉진되었다. 이 때의 평균 산 값은 12.5로써 촉매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평균 산 값 36.9보다 훨씬 적었으며, (3) 반응시간을 3시간에서 6시간으로 증가 시켰을 때도 촉매의 유무 및 반응 속도에 관계없이 평균 산 값은 각각 31.1과 18.3으로 반응이 촉진되었다. 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트러-글리세리드 및 유리 지방산의 분석 결과를 보면 탈검한 미강유를 $250^{\circ}C$에서 6시간동안 촉매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켰을 때 트리-글리세리드의 경우, 반응 전 미강유의 10.4%로부터 각각 72.9%와 61.1%로 증가하였고 유리 지방산의 경우, 반응전 미강유의 60.2%로 부터 각각 1.4%와 6.1%로 감소하였다. 요드값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중합물을 측정한 결과를 보면 촉매에 의한 중합은 일어나지 않았으며 온도를 $170^{\circ}C$에서 $210^{\circ}C$로 올렸을 때에도 중합은 일어나지 않았으나, $250^{\circ}C$에서 6시간동안 반응을 시켰을 때에는 어느 정도 중합물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에 의하면 미강유의 지방산은 주로 올레산(42.5), 리놀산(29.0%) 및 팔미트산(20.3%)이었다.

  • PDF

직접분사식 디젤기관에서 바이오디젤 연료의 연소특성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Biodiesel Fuel as an Alternative Fuel for D.I. Diesel Engine)

  • 장세호;서정주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17
    • /
    • 2008
  • Biodiesel fuel(BDF) which is easily produced from vegetable oils such as soybean oil and rice bran oil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alternative fuel in diesel engine. But biodiesel fuel can affect the performance and emissions in diesel engine because it has different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from diesel fuel. To investigate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biodiesel fuel as an alternative fuel for D.I. diesel engine,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the three-cylinder, four stroke D.I. diesel engine with T/C. Experimental parameters adopted a conventional diesel fuel and a blend of biodiesel fuel derived from soybean. As a result of experiments in a test engine, BSFC with blend of BDF resulted in higher than with diesel fuel. The ignition delay decreased with blend of BDF than with diesel fuel.

  • PDF

시판식용유의 가열시간에 따른 품질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Changes of Domestic Frying Oils by Thermal Oxidation)

  • 장유경;이정원;김택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2-118
    • /
    • 1978
  • 튀김용으로 사용되는 식물성 기름인 콩기름(Soybean), 옥수수기름(Corn oil), 채종유(Rapeseed oil) 및 미강유(rice bran oil)등 네가지를 선택하여 가열 시간에 따른 성분 및 물성 변화를 측정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필수 불포화지방산 : 가열하지 않는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의 리노레산$(C_{18}^{=2})$은 각각 53.2%, 52.0%, 53.3%, 37.4%로서 미강유의 리노레산의 함량이 가장 낮다. 48시간 가열했을 때의 리노레산의 잔존량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가 각각 23.8%, 19.7%, 14.9%, 34.1%이다. 리노렌산$(C_{18}^{=3})$의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의 함량은 각각 7.1%, 2.4%, 0.3%, 29.7%이고 48시간 가열후 각각 1.7%, 0.1%, 0.1%, 5.0%로 상당히 감소된다. 2. 포화 지방산 : 팔미트산과 스테아르산의 전 함량은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및 미강유의 경우 각각 12.3%, 10.8%, 11.4%, 16.9%, 이고 48시간 가열후 각각 10.8%, 10.2%, 11.2%, 15.4%로서 가열후에도 거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3. 산가 :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의 산가는 0.09, 0.13, 0.15, 0.45이고 가열시간에 따른 산가의 변화는 콩기름의 경우 제일 적게 나타났으며 미강유는 32시간, 48시간 가열에서, 채종유는 48시간 가열에서 변색 또는 불용성 때문에 산가 측정이 불가능 했다. 4. 요오드가 :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의 요오드가는 각각 121, 117, 117로서 거의 비슷하나 포화도가 높고 불포화도가 낮은 미강유는 요오드 가가가 100이다. 5. 과산화물가 :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의 과산화물가는 각각 5.6, 13.5, 54.8, 13.1이며 이중에서 채종유의 값이 불포화도가 비슷한 콩기름 및 옥수수기름에 비하여 훨씬 높은 것은 포장이 허술한 병에 보관하므로서 자연광선에 의한 산패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따라서 식용유의 경우 포장 저장 방법 및 저장 기간등이 매우 중요함을 알수 있다. 6. 점도 : 가열하지 않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는 각각 48.58, 51.32, 52.46, 97.39센티스토크로 대체적으로 비슷하나 32시간 이상 가열 후에는 미강유와 채종유는 점도 측정이 불가능 할 정도로 커져 실제 튀김 조리용으로 사용이 거의 불가능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방사화(放射化) 분석법(分析法)에 의한 미곡(米穀)중 네오아소진 잔류분(殘留分)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Neoasozine Residues in Rice Grain by Neutron Activation Method)

  • 김용화;이군자;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0-24
    • /
    • 1981
  • 유기비소계(有機砒素系) 살균제(殺菌劑)인 네오아소진의 미곡중 잔류량(殘留量)을 방사화 분석법 및 비색법으로 측정하였다. 수도재배중 개화전(開花前) 2회 사포는 현미(玄米)중 잔류수준을 증가시키지 않았으나 4회 살포는 $0.54{\sim}0.75{\;}mg{\;}As_2O_3/kg$의 잔류수준까지 $4{\sim}5$배로 크게 증가시켰다. 현미 도정(搗精)중 백미(白米) 및 쌀겨로의 잔류분 분배비(分配比)는 73 : 27이었고 쌀겨중 잔류분의 대부분은 용매에 의한 ncnf과정중 유박(油粕)에 이동하여 $2.9{\;}mg{\;}As_2O_3/kg$ 수준까지 도달하였다. 방사화분(放射化分) 석법(析法)은 비색법(比色法)에 비하여 감도(感度)가 높고 분석시료(分析試料)가 소량(小量) 요구된다는 장점(長點)을 가지고 있었다.

  • PDF

쌀 품종별 유과제조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Popped Rice Snack) made by Different Varieties of Rice)

  • 신동화;김명곤;정태규;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20-825
    • /
    • 1989
  • 멥쌀로 동진, 삼강을, 찹쌀로 신선, 한강품종을 선택하여 유과제조실험을 하였다. 사용한 멥쌀의 amylose 함량은 가각 18.5%, 찹쌀은 2-3% 수준이었으며 수침시 $(12^{\circ}C)$ 2시간 이내에 평형 수분함량에 도달하였고 멥쌀은 30%, 찹쌀은 42%의 수화도를 보였다. 쌀 전분의 호화 개시 온도는 $64.6-67.5^{\circ}C$로서 멥쌀과 찹쌀에서 큰 차이가 없었고 유과 반데기는 RH 75-84%에서 저장하면 튀김 적정 수분함량인 11-12% 수준에서 유지 가능하였다. 멥쌀과 찹쌀로 유과를 제조, 비교한 결과 멥쌀의 평화도는 2.5-2.9ml/g(건물), 찹쌀은 9.1-10.8ml/g(건물)로 멥쌀이 유의적으로 떨어지고 반대로 경도는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바삭바삭한 정도는 차이를 보이지 많았다. 비정상 젖산 발효균에 의하여 팽화도, 경도 등은 개선되지 않았고 튀김 기름으로는 콩기름과 미강유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Blending of Soybean Oil with Selected Vegetable Oils: Impact on Oxidative Stability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Li, Yang;Ma, Wen-Jun;Qi, Bao-Kun;Rokayya, Sami;Li, Dan;Wang, Jing;Feng, Hong-Xia;Sui, Xiao-Nan;Jiang, Lian-Zho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583-2589
    • /
    • 2014
  • Background: Soybean oil may protect against cancer of the breast and prostate. It may also exert beneficial influence in combination with other oils. Here, blends (20%, v/v) of sea buckthorn oil (SEBO), camellia oil (CAO), rice bran oil (RBO), sesame oil (SEO) and peanut oil (PEO) with soybean oil (SBO) were formulated. Materials and Methods: Oxidative stability (O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SA) of SBO and blends stored under oxidative conditions ($60^{\circ}C$) for 24 days were studied. By blending with different kinds oils, level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decreased, while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content increased. Progression of oxidation was followed by measuring peroxide value (PV), p-anisidine (PAV), conjugated dienes (CD) and conjugated trienes (CT). Results: Inverse relationships were noted between PV and OS at termination of storage. Levels of CD and CT in SBO, and blends, increased with increase in time. The impact of SEO as additives on SBO oxidation was the strongest followed by RBO, CAO, SEBO and PNO. Conclusions: Oxidative stability of oil blends was better than SBO, most likely as a consequence of changes in fatty acids and tocopherols' profile, and minor bioactive lipids found in selected oil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se oil blends could contribute as sources of important antioxidant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associated to oxidative stress, such as in cancer and coronary artery disease.

생분해 플라스틱 필름 제조를 위한 바이오매스 부산물의 분체화 및 표면개질 연구 (Micro Pulverization and Surface Modification of Biomass Byproducts for Developing Bio-Degradable Plastic Film)

  • 정성택;한정구;이로운;김판채;국영례;최춘환;박형우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3-3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 부산물을 바이오 플라스틱에 첨가할 수 있는지 여부를 찾고자 바이오매스 부산물인 왕겨, 옥 피, 밀박, 대두박에 대해 일반성분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왕겨에 대해 분체화, 표면 개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부산물 중에서는 왕겨의 입도가 6.44 ㎛로 가장 적합하였으며, silane 처리 후 ESO(Epoxidiz soybean oil)와 3-aminopropyl triethoxysilane를 1:1로 혼합한 용액을 2% 첨가 시 표면개질 상태가 가장 우수하였고, SEM에 의한 입자형상도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CM(air classifying mill) 처리한 왕겨를 silane 처리한 후 혼합용액을 2% 첨가하는 것이 표면이 개질된 바이오플라스틱 원료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토끼의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지방의 포화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in degree of saturation of fats on serum cholesterol level in the rabbit)

  • 남현근;성하진;장인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7
    • /
    • 1981
  • The effect in degree of saturation and unsaturation of dietary added oils on the serum cholesterol level in the rabbit was studied for a kperiod of 4 weeks using isocalories and isonitrogenous diets. The subject rabbits were divided into 10 feeding groups such as control-1 (Basal diet only), A group (Basal+sesame oil), B group (Basal+perilla oil), C group (Basal+soybean oil), D group (Basal+rice bran oil), Control-A(Basal+casein), A-1 group (Basal+sesame oil+ casein), B-1 group (Basal+perilla oil+casein), C-1 group (Basal+soybean oil+casein) and D-1 group (Basal+rice bran oil+casei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ody weight gains per week of the perilla oil fed group were higher than anyother group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2. Food efficiency ratios for the group of perilla oil fed were 1.041, 0.781, 0.520 and 0.431 for 1st, 2nd, 3rd and 4th week, respectively. 3. In the group of perilla oil and Casein fed, food efficiency ratios for the experimental period were 0.887, 0.823, 0.489 and 0.437 for 1st, 2nd, 3rd and 4th week, respectively. 4. It is investigated that the food efficiency ratio for perilla oil fed groups was higher than the group of perilla oil and casein fed. 5. Calorie efficiency ratios for perilla oil fed group were 0.018, 0.036, 0.024 and 0.020 for 1st, 2nd, 3rd and 4th week, respectively. Calorie efficiency ratios for perilla oil and casein fed group were 0.028, 0.030, 0.024 and 0.020 for 1st, 2nd, 3rd and 4th week, respectively. 6. Serum cholesterol was 72.8mg% for the group of perilla oil (6gr) and casein(6gr) fed, and liver cholesterol was 460.5mg% for the same group. 7. Serum triglyceride was 130.7mg% for the group of perilla oil (6gr) and casein (6gr) fed. 8. Blood glucose was 40.34mg% for control-l and 96.4mg% for control-A, respectively. Blood glucose was 120.4mg% for group Band 1l0.7mg% for group B-1, respectively. 9. The degree of saturation/unsaturation for perilla oil (SFA/USFA) was 7.8/92.2 and nonessential fatty acid/essential fatty acid(NEFA/EFA) was 26.3/73.7. In this conditions, serum and liver cholesterol was lower than anyother conditions for this experimental period. 10. For the perilla oil fed group, serum cholesterol was 105.5mg% for pleic acid/linoleic acid(18.5/58.5) and 72.8mg% for linoleic acid/linolenic acid(15.2/58.5). In this group, triglyceride was 132.5mg% for oleic acid/linoleic acid and 130.5mg% for linoleic acid/linolenic acid. 11.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cholesterol and saturated fatty acid $({\gamma}=0.78)$, and unessential fatty acid $({\gamma}=0.41)$. There a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cholesterol and unsaturated fatty acid$({\gamma}=-0.78)$ and essential fatty acid$({\gamma}=0.77)$, respectively. 12. The range of most effective diet for serum cholesterol level lowering was nonessential fatty acid/essential fatty acid(26.3/73.7), saturated fatty acid/unsaturated fatty acid(7.8/92.2) and added oil (6gr)/added casein protein(6gr).

  • PDF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식용유의 향미 안정성 측정 (Gas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lavor Stability of Cooking Oils)

  • 김인환;윤석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32-735
    • /
    • 1988
  • 식용유의 향미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유지시료의 윗 공간내에 있는 총 휘발성물질, 산소 및 수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유지의 산패가 진행됨에 따라 총 휘발성물질의 양과 수소의 양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두 값 사이의 상관계수는 0.95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유지의 향미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하여 실험할 필요없이 시료 윗 공간내의 수소와 산소의 양을 한 칼럼을 사용하여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유지의 향미안정성을 나타내는 지료로써 수소와 산소의 함량이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Nutrient Intake and Digestibility of Fresh, Ensiled and Pelleted Oil Palm (Elaeis guineensis) Frond by Goats

  • Dahlan, I.;Islam, M.;Rajion, M.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0호
    • /
    • pp.1407-1413
    • /
    • 2000
  • Oil palm frond (OPF) is a new non-conventional fibrous feed for ruminants. Evaluation on the nutritive values and digestibility of OPF was carried out using goats. In a completely randomised design, 20 local male goats were assigned to evaluate fresh and different types of processed OPF. A 60 day feeding trial was done to determine the digestible nutrient intake of fresh, ensiled and pelleted OPF and its response on live weight gain of goat. The pelleting of OPF increased (p<0.05) intake compared to fresh or ensiled OPF. The OPF based mixed pellet (50% OPF with 15% palm kernel cake, 6% rice bran, 6% soybean hull, 15% molasses, 2% fishmeal, 4% urea, 1.5% mineral mixture and 0.5% common salt) increased (p<0.05) nutrient intake, digestibility and reduced feed refusals. The mixed pellet also increased digestible dry matter intake (DDMI) and digestible organic matter intake (DOMI) at 80% and 63% level respectively than the fresh OPF. The increased digestible nutrient intake on the OPF based mixed pellet, resulted in increased live weight gain of goats. Furthermore, OPF has a good potential as a roughage source when it is used with concentrate supplement. OPF based formulated feed in a pelleted form could be used as a complete feed for intensive production of goat and other rumin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