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eum Palmatum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2초

한약재 물 추출물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 억제 검색 (Screening of th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from Water Extracts of the Medicinal Plants)

  • 이형철;황상구;이영찬;김대근;박영준;김태은;김명동;전병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5-219
    • /
    • 2002
  • Over the past decade there has been a resurgence of interest in botanical products for their medicinal uses. This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screen medicinal plants for the treatment of brain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or aging. We tested the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from 41 species medicinal plants on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in vitro. Among them, Euodia rutaecarpa, Rubus coreanus, Achyranthes japonica, Morus alba, Salvia miltiorrhiza, Liriope platyphylla, and Rheum palmatum showed relatively AChE inhibition potency over 80%. Among the 7 medicinal plants investigated, E. rutaecarpa showed an 25%, 65%, and 93% inhibitions on AChE activity at 2.5, 12.5, and 25 ㎍/㎖ of the extract, respectively and was found to be one of most potent AChE inhibitor. The water extracts from 4 species (E. rutaecarpa, R. coreanus, A. iaponica, and M. alba) were tested on their antioxidant capacities using radical scavenging effect against ABTS/sup ㆍ+/. Among the 4 medicinal plants investigated, both R. coreanus and E. rutaecarpa showed significant antioxidant capacity. Therefore, E. rutaecarpa and R. coreanus are expected to ameliorate the clinical symptoms in Alzheimer's disease due to significant AChE inhibition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

Nematocidal Screening of Essential Oils and Herbal Extracts against Bursaphelenchus xylophilus

  • Elbadri, Gamal A.A.;Lee, Dong-Woon;Park, Jung-Chan;Yu, Hwang-Bin;Choo, Ho-Yul;Lee, Sang-Myeong;Lim, Tae-He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78-182
    • /
    • 2008
  • Five essential oils and 15 herbal extracts were evaluated to control Bursaphelenchus xylophillus in laboratory. The essential oils from clove plant (Syzygium aromaticum), mustard (Brassica integrefolia), thyme (Thymus vulgaris), and Pelargonium inquinans were found to be highly promising and gave excellent control of the nematodes at all the time of exposure. Among them, the least one gave 91.3% mean mortality rate at 24 hours of exposure time, which is highly significant from the control. While in the second study, most of the methanol (Desmodium caudatum, Paulownia coreana, Auckulandia lappa, Sophota flavescens, Aloe sp., Rheum palmatum, Zingiber officinale, Magnolia officinalis, and Eugenia caryophyllata), hexane (Torreya nucifera, Pharbitis nil, Prunus mume, Melia azedarach, and Xanthium strumarium), and hot water (Cinnamomum cassia) herbal extracts killed the nematodes, but in varying degrees compared to the control. Only one extract was found to be promising viz Magnolia officinalis which foun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and gave mean mortality of 72, 82.3, and 85.3 % for 24, 48, and 72 hours exposure, respectively. Further screening was conducted for M. officinalis with concentrations of 1,000, 100, and 10 ppm against the same species of nematode with the same time of exposure. However, it gave an excellent result for 1,000 ppm for all time of exposure, whereas for the 100 and 10 ppm it gave mean mortality of 39.5 and 25.8% for the time 72hrs, respectively that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동의보감 당뇨 처방에 사용되는 한약재에서 인슐린성 물질(Insulin-like substances)의 탐색 (Screening of Insulin-like Substances from Traditional Herbs of Diabetes Prescription in Donguibogam)

  • 주영승;고병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1호
    • /
    • pp.47-52
    • /
    • 2002
  • 동의보감의 소갈 처방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약재 중에서 인슐린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해 3T3-L1 지방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3T3-L1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3T3-L1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3T3-L1 섬유아세포의 증식율은 반하, 후박, 대황, 오가피, 창출과 보두의 열수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세포의 분화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황, 과루인, 현삼과 고삼의 추출물은 3T3-L1 섬유아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켰으며, 이는 인슐린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In-Jin-Ho-Tang as a potential anti-cancer drug by induction of apoptosis in HepG2 cells

  • Yun, Hyun-Jeong;Heo, Sook-Kyoung;Park, Won-Hwan;Park, Sun-Dong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9권2호
    • /
    • pp.106-114
    • /
    • 2009
  • Hepatocellular carcinoma is the world's most common primary malignant tumor of the liver. In-Jin-ho-Tang (IJH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since ancient times, and today it is widely used as a medication for jaundice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of the liver. In-Jin-Ho-Tang is a drug preparation consisting of three herbs: Artemisiae Capillaris Herba (Artemisia capillaries $T_{HUNS}$, Injinho in Korean), Gardeniae Fructus (Gardenia jasminodes $E_{LLIS}$, Chija in Korean) and Rhei radix et rhizoma (Rheum palmatum L., Daehwang in Korean).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or not methanol extract of IJHT could induce HepG2 cancer cell death. Cytotoxic activity of IJHT on HepG2 cells was measured using an XTT assay, with an $IC_{50}$ value of $700{\mu}g/ml$ at 24 h Apoptosis induction by IJHT in HepG2 cells was verified by the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and a decrease in procaspase-3, -8, -9. Treatment of IJHT resulted in the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cytosol,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Delta}{\Psi}_m$), decrease in anti-apoptotic Bcl-2, and an increase in pro-apoptotic Bax expression. Thus, IJHT induced apoptosis in HepG2 cells via activation of caspase and mitochondria pathw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JHT has potential as an anti-cancer agent.

소과종 수박의 병해충 발생소장과 유기농업자재를 이용한 흰가루병 방제효과 (Seasonal Occurrence of Diseases and Insect Pests in Small Type Watermelon and Effect of Organic Materials on Powdery Mildew Control)

  • 한종우;정택구;김영상;김태일;노솔지;김익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19-429
    • /
    • 2017
  • 본 연구는 소과종 수박의 병해충 발생 양상을 조사하고 이중 가장 문제가 되는 병 들 중의 하나인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한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5년 충북 음성에서 소과종 수박에 발생하는 병해충 조사 결과 덩굴마름병, 흰가루병, 목화진딧물, 점박이응애, 총채벌레류,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등 일반수박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대부분의 병해충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중 흰가루병은 6월 중순에 품종별로 27~99.3%의 발생률을 나타냈으며 점박이응애는 6월 중순에 품종별로 엽당 마릿수가 79.9~111마리로 높은 발생을 보였다. 또한, 총채벌레류는 6월 중순과 상순에 황색과 청색 평판점착트랩 각각에 트랩당 407마리와 774마리로 높은 유살수를 나타냈다. 포장에서 마요네즈와 올레산 그리고 현재 시판 중인 유기농업자재 3종에 대한 흰가루병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sodium bicarbonate 80%가 함유된 자재, 마요네즈 그리고 대황추출물 1%가 함유된 자재가 60% 이상까지 효과적으로 병 발생을 감소시켰으며, 이중 sodium bicarbonate 80%가 함유된 자재가 83%로 가장 높은 방제가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소과종에 발생하는 병해충에 대한 정보와 sodium bicarbonate 80% 함유 자재가 흰가루병 방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천연물을 이용한 항균성 염료의 개발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Dye for Natural Dyeing using Natural Substances)

  • 유영은;박은영;정대화;변성희;김상찬;박성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2-39
    • /
    • 2010
  •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천연 염색 시 염료로 사용이 기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지는 한약재와 천연물 중 72가지를 선발하고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1차 조사와 열수, 에탄올, 메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이용한 2차 조사 결과 전반적인 천연물에서 열수와 메탄올 추출물에서 상대적으로 유효한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별한 천연물 중 대황, 산사, 산수유, 소목, 오매, 오미자, 오배자와 황련 추출물에서 20 mm 이상의 생육저지환이 형성되었으나 항세균성에 대한 활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항진균성에 대한 연구가 보다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물 중 가장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낸 황련 열수 추출물의 S. aureus ATCC 6538에 대한 MIC 값을 조사한 결과 110 mg/mL로 조사되었다. 또한 공시균주 외 다른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조사한 3종에 대하여도 양호한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선별된 천연물이 천연염색 뿐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많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용매에 따른 회수율과 항균성을 비교할 때 낮은 회수율에서도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는 소목과 황련의 경우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좋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신경세포 사멸과 미세아교세포활성화 억제 동시 가능 천연물질 탐색 연구 (A Screen for Dual-protection Molecules from a Natural Product Library against Neuronal Cell Death and Microglial Cell Activation)

  • 민주식;이동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56-662
    • /
    • 2015
  •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은 일반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의 원료 약물로써 사용해 온 경험에 의한 다양한 임상적 결과의 축적과 이로 인한 안정성(stability)과 안전성(safety)의 확보 및 신약 개발 시간의 단축과 같은 이점을 가지고 있어, 천연물 유래 약물 연구는 꼭 필요한 실정이다. 다양한 신경질환에서 신경세포의 사멸과 미세아교세포의 과도한 활성화 즉 뇌염증이 관찰되며 이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 중이지만, 현재까지 신경세포 사멸과 뇌염증을 동시에 억제하는 물질 개발 시도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에서 추출한 물질로 총 240개로 구성된 라이브러리로부터 신경전달물질 중의 하나인 glutamate 과잉처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유도 신경세포(HT22) 사멸과 LPS에 의한 미세아교세포(BV2)의 과도한 활성화 즉 뇌염증의 표지 인자 중 하나인 NO의 생산량의 감소 효과가 동시에 나타나는 물질을 검출한 결과, 대황에서 추출한 Chrysophanol이 검출되었으며 더욱이 Chrysophanol이 신경세포와 미세아교세포 모두에서 glutamate와 LPS에 의해 각각 유도된 세포내 활성산소(ROS)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Chrysophanol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를 통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과 미세아교세포의 과잉 활성화에 따른 뇌염증의 발생을 동시에 억제하는 신경질환의 치료 및 예방 신약개발 후보 물질 가능성을 제시 하고자 한다.

接觸性皮膚炎의 外治法에 關한 文獻的 考察 (A Literature study on the external therapy of contact dermatitis.)

  • 전재홍;김현아;강윤호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7-218
    • /
    • 1998
  • In this study, I invastigate about oriental medical drug, dosage form and directions in external therapy of contact dermatitis. and after study on relationship oriental medical drug, dosage form and directions with cause, symptom and differentiation of symptom and 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ost frequently used oriental medical drug is until qing(淸) dynasty Eriocheir sinensis H. Milne-Edwards(蟹), Salix babylonica L.(柳葉), Natrii sulfas(芒硝), Allium macrostemon Bge.(해), Nelumbo nucifera Gaertn.(荷葉), nowadays in Korea and China Phellodendron amurense Rupr.(黃柏), Gypsum(石膏), Rheum palmatum L.(大黃), Baphicacanthus cusia Bremek(靑黛), Talcum(滑石). 2. In the frequency of dosage form, until qing(淸) dynasty powder 1case, liquor 49cases, liquer and solid mixture 58cases, nowadays Korea and China powder 16cases, liquor 96cases, liquer and solid mixture 59cases. 3. Most frequently used directions of dosage is thinly attaching method(薄貼法), attaching method(敷貼法), furnigating and cleansing method(熏洗法), cleansing method(洗傷法), wet dressing method(濕敷法), spreading powder method(撲粉法), plaster method(途차法), rubbing skin method(摩擦法) 4. In the external therapy of contact dermatitis, oriental medical drug's usage is based on stage of contact dermatitis In acute stage, most frequently used drug is heat and damp remove drug(淸熱燥濕藥), nature of drug(藥性) is bitter taste and cold charactor(苦寒), In chronic stage, most frequently used drug is nourishing the blood drug(養血藥), promoting blood circulation drug(活血藥). 5. The dosage form of drug is based on symptom. In acute stage, when papules and vesicles, or erosion and exudation is the main symptom of skin, liquor or powder is used, when erosion and crust is the main symptom of skin, plaster is used. In chronic stage, plaster is used. 6. In the directions of dosage is based on dosage form of drug and symptom. In acute stage, when papules and vesicles is the main symptom of skin, fumigating and cleansing method, cleansing method, plaster method is used, when erosion, vesicles and exudation the main symptom of skill, cleansing method, wet dressing method, spreading powder method, attaching method, spreading powder method is used, when crust is the main symptom of skin, plaster method is used. In chronic stage, plaster method, rubbing skin method is used.

  • PDF

배양신경세포의 저산소증모델에서 대황 물추출물에 의한 유전자 표현 변화의 microarray 분석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by Rhei Rhizoma Water Extracts in a Hypoxia Model of Cultured Neurons)

  • 이현숙;송진영;문일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1-33
    • /
    • 2009
  • 대황(Rhei Rhizoma; RR, 대황(大黃))은 Rheum officinale Baill.와 Rheum palmatum L.(polygonaceae)의 땅속부분으로 남아시아의 민속의학에서 간 및 신장의 손상을 치료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양한 흰쥐 해마신경세포의 저산소증모델을 이용하여 대황의 물추출물이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microarray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배양 후 10일 (DIV10)에 추출물을 배지에 $2.5{\mu}g/ml$ 농도로 첨가하고, DIV13에 저산소증(2% $O_2$/5% $CO_2$, $37^{\circ}C$, 3 h)을 유발한 후 24 시간 후에 total RNA를 분리하여 microarray에 사용하였다. MA-plot에 의하면 표현이 연화된 대부분의 유전자는 ${\pm}2$배 이내로 증감되었다. 이 가운데 Global M 값이 0.2(즉, 15%)보다 더 증가한 유전자는 472종, Global M 값이 -0.2(즉, -15%)보다 더 감소한 유전자는 725종이였다. 세포의 생존과 관련된 유전자 가운데 세포자연사 억제유전자인 Tegt(2.4배), Nfkb1 (2.4배), Veg (1.8배), Ngfr (1.6배) 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자연사 촉진유전자인 Bad (-64%), Cstb (-66%)는 감소하였다. 스트레스를 극복하는데 필요한 유전자인 Defb3 (2.7배), Cygb (2.2배), Ahsg (2.18배), Alox5 (2배) 등도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유전자인 Erbb2 (1.84배), Mapk12 (1.8배)도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대황의 물추출물은 세포생존에 필요한 유전자를 증가시키고, 세포사를 유도하는 유전자는 감소시킴으로서 저산소층 스트레스에서 신경세포의 사망을 억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Emodin의 항염 및 피부장벽개선 활성 연구 (Emodin Studies on Anti-inflammatory and Skin Barrier Improvement Activities)

  • 김세기;최재근;장영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383-1392
    • /
    • 2021
  • 호장근, 적하수오, 대황, 알로에 등과 같은 생약재의 주요 약리 활성 성분인 emodin은 항산화, 항균, 항염, 항암, 간보호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emodin의 피부 질환 및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염증 개선과 피부장벽기능 개선 관련 활성을 확인하였다. human keratinocyte인 HaCaT 세포에 대하여 항염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cytokine억제능은 ELISA kit로, 단백질 발현은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TNF-α (10 ng/mL)/IFN-γ (10 ng/mL)로 활성화된 HaCaT 세포에서 emodin을 농도별(5, 10, 20, 40) µM로 처리한 결과 TNF-α, IL-1β 및 IL-6의 생성량은 emodi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염증관련 단백질인 iNOS, COX-2 발현량에 대한 실험결과에서도 emodin 20 µM 농도에서 control 대비 iNOS는 48%, COX-2는 29%가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피부장벽기능 개선의 지표로써 filaggrin, involucrin, loricirn의 mRNA 발현 정도와 filaggrin, involucrin, loricirn의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에모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우수한 결과가 얻어졌다. 특히 20 µM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2배의 생성량 증가를 보인 filaggrin은 천연보습인자인 NMF의 형성에 관계되는 단백질로 각질층의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론적으로 emodin의 피부 질환 및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 중 염증 개선 및 피부장벽기능 개선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면 그 활용 범위가 더 넓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