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model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18초

RUSLE 모델을 이용한 금강 유역의 토지 이용별 토사유출량 추정 (Estimation of Soil Loss by Land Use in the Geum River Basin using RUSLE Model)

  • 박지상;김건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19-625
    • /
    • 2006
  • Amount of soil loss is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prope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is research, annual average soil loss of the Geum River basin was estimated using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and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put data were manipulated using ArcGIS ver. 8.3. From crop field which constitute 8.2% of the Geum River Basin, annual average soil loss was estimated as 53.6 ton/ha/year. From the rice paddy field which constitutes 20% of the Geum River Basin, soil loss was estimated as 33.5 ton/ha/year, In comparison, forestry area which constitutes 61.8% of the basin discharged 2.8 ton/ha/year, It could be known from this research that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to prevent excessive soil loss from the agricultural areas.

Non-point Source Critical Area Analysis and Embedded RUSLE Model Development for Soil Loss Management in the Congaree River Basin in South Carolina, USA

  • Rhee, Jin-Young;Im, Jung-H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363-37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개정범용토양유실공식(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을 이용하여 미국 South Carolina 주 Congaree 유역에 대한 평균 연간 토양 유실량을 산출 하였으며 비점오염원 토양 유실 민감지역을 추출하였다. 평균 연간 토양 유실량은 강우-유출 침식성 인자, 토양침식성 인자, 지면특성 인자, 식생피복 인자, 그리고 토양보존 인자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토양 유실 민감지역은 토양 유실량이 토양침식 허용량을 초과하는 지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전체 면적의 10% 이상의 면적이 비점오염원 토양 유실 민감 지역으로 확인되었으며, Congaree 유역의 7개 소유역중 Congaree Creek, Gills Creek 소유역의 도심지역과 Cedar Creek 소유역의 농업지역에서 가장 심각한 토양 유실의 위험이 나타났다. 관심 지역의 인위적, 자연적 변화가 토양 유실에 가져오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시범 모형으로서, 개정범용토양유실공식에 기초한 내장형 모형이 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VBA)를 이용하여 ESRI사의 ArcGIS ArcMap 9.0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 내장형 모형에서 사용자는 각 소유역의 토지 피복, 식생 유형, 지표 식생 유형, 경사, 작물 유형, 경작 방식 등을 변경시킴으로써 C, LS, P 인자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계산된 평균 연간 토양 유실량과 민감 지역을 현재 상태의 값들과 비교하여 앞으로의 토양유실 관리를 위한 주요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 PDF

Integration of GIS-based RUSLE model and SPOT 5 Image to analyze the main source region of soil erosion

  • LEE Geun-Sang;PARK Jin-Hyeog;HWANG Eui-Ho;CHAE Hyo-So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357-360
    • /
    • 2005
  • Soil loss is widely recognized as a threat to farm livelihoods and ecosystem integrity worldwide. Soil loss prediction models can help address long-range land management planning under natural and agricultural conditions. Even though it is hard to find a model that considers all forms of erosion, some models were developed specifically to aid conservation planners in identifying areas where introducing soil conservation measures will have the most impact on reducing soil loss.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computes the average annual erosion expected on hillslopes by multiplying several factors together: rainfall erosivity (R), soil erodibility (K), slope length and steepness (LS), cover management (C), and support practice (P). The value of these factors is determined from field and laboratory experiments. This study calculated soil erosion using GIS-based RUSLE model in Imha basin and examined soil erosion source area using SPOT 5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land cover map. As a result of analysis, dry field showed high-density soil erosion area and we could easily investigate source area using satellite image. Also we could examine the suitability of soil erosion area applying field survey method in common areas (dry field & orchard area) that are difficult to confirm soil erosion source area using satellite image.

  • PDF

Potential soil loss evaluation using the RUSLE/RUSLE-runoff models in Wadi Saida watershed (N-W Algeria)

  • Cherif, Kessar;Yahia, Nasrallah;Bilal, Bilssag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9권4호
    • /
    • pp.251-273
    • /
    • 2020
  • Soil degradation has become a major worldwide environmental problem, particularly in arid and semi-arid climate zones due to irregular rainfall and the intensity of storms that frequently generate heavy flooding.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to quantify and to map the soil losses in the Wadi Saida watershed (624 ㎢) through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model and a proposed model based on the surface erosive runoff. The results Analysis revealed that the Wadi Saida watershed showed moderate to moderately high soil loss, between 0 and 1000 t/㎢/year. In the northern part of the basin in the region of Sidi Boubkeur and the mountains of Daia; which are characterized by steep slopes, values can reach up to 3000 t/㎢/year. The two models in comparison showed a good correlation with R = 0.95 and RMSE = 0.43; the use of the erosive surface runoff parameter is effective to estimate the rate of soil loss in the watersheds. The problem of soil erosion requires serious interventions, particularly in basins with disturbances and aggressive climatic parameters. Good agricultural practices and forest preservation areas play an important role in soil conservation.

RUSLE 모델에 의한 군사격장 피탄지 토양유실량 평가: 토양 유실과 오염 화약물질 이동 상관성 (Assessment of Soil Loss at Military Shooting Range by RUSLE Model: Correlation Between Soil Loss and Migration of Explosive Compounds)

  • 공효영;이광표;이종열;김범준;이아름;배범한;김지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7권6호
    • /
    • pp.119-128
    • /
    • 2012
  • The applicability and accuracy of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model on the estimation of soil loss at impacted area of shooting range was tested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soil erosion at shooting ranges by using RUSLE. At a shooting range located in northern Kyunggi, the amount of soil loss was estimated by RUSLE model and compared with that estimated by Global Positioning System-Total Station survey. As results, the annual soil loss at a study site (202 m long by 79 m wide) was estimated to be 2,915 ton/ha/year by RUSLE and 3,058 ton/ha/year by GPS-TS survey, respectively. The error between two different estimations was less than 5%, however, information on site conditions should be collected more to adjust model coefficients accurately. At the study shooting range, sediments generated by rainfall was transported from the top to near the bottom of the sloping face through sheet erosion as well as rill erosion, forming a gully along the direction of the storm water flow. Coarser fractions of the sediments were redeposited in the limited area along the channe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xplosive compounds in soil before and after summer monsoon rainfall in the study area were compared with the erosion patterns. Soil sampling and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the dispersion of explosive compounds in surface soil was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oil erosion and redeposition pattern of sediment movements after rainfalls.

미래기후변화를 반영한 금강 수변 구역에서의 표토 유실량 예측 (The Estimation of Soil Loss in the Buffer Zone of Guem River using a Simulation of Future Climate Change)

  • 이달희;정성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9권6호
    • /
    • pp.30-36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soil loss in the buffer zone of Guem river with future climate change simulation.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model was used for the estimation of soil loss at the buffer zone of Guem river. As results of simulations, the area of the maximum soil loss potential was estimated as the Cheongsung-myeon Okchun-gun Chungcheongbuk-do. The soil losses were estimated to be 106.67 and 103.00 ton/ha/yr for the 2020 segi (2015-2025) and 2040 segi (2035-2045) in the Cheongsung-myeon area, respectively. Also, the estimated average values of soil losses in the Cheongsung-myeon with future climate change was 110.78 ton/ha/yr.

GIS 기반에서 토양침식의 정량화를 위한 해상도 결정에 관한 연구 (The Determination of Resolution for Quantification of Soil Loss in GIS Environment)

  • 장영률;이근상;조기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301-316
    • /
    • 2002
  • 강우나 물의 유출에 의한 토양침식은 농업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목초지를 손상시키며,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등의 각종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또한 침식된 토사의 하천유입으로 저수지나 댐의 유효저수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GIS를 연계하여 유역의 토양침식량을 추정하기 위해 수정범용토양손실공식(RUSLE)을 주로 활용하고 있으나, 실측자료와의 비교가 어려워 계산된 토양침식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RUSLE 모형으로 계산한 토양침식량의 정량적인 추정을 위해 보성강 유역의 비퇴사량 실측자료를 이용하였다. RUSLE 모형으로 계산한 비유사량과 비퇴사량 실측자료로부터 계산한 비유사량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 RUSLE 계산에 적합한 해상도를 결정한 결과, 150m의 셀크기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토양침식량 산정에서 토양도 축척에 따른 적정 해상도 분석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Optimum Resolution with Different Scale of Soil Map for the Calculation of Soil Loss)

  • 이근상;장영률;조기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10
    • /
    • 2003
  • 최근 수정범용토양유실공식을 활용한 토양침식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으나, 실측자료와의 비교가 어렵기 때문에 계산된 결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RUSLE 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인자들을 GIS 격자분석기법으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1:250,000 개략토양도를 주로 활용하였던 기존의 연구와 달리 1:25,000 정밀토양도를 활용한 토양침식인자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RUSLE 모형으로 계산한 토양침식량의 검증을 위해 보성강 유역의 비퇴사량 실측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토양도의 축척을 고려한 결과 1:25,000 개략토양도의 경우는 120m의 해상도가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1:25,000 정밀토양도를 고려한 경우는 150m 해상도가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RUSLE와 SEDD를 이용한 고랭지 경작지로부터의 토양유실 평가 (Estimating Soil Loss in Alpine Farmland with RUSLE and SEDD)

  • 조홍래;정종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79-90
    • /
    • 2005
  • 본 연구는 고랭지 경작지로부터 발생하는 토양유실을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원도 내린천 유역을 대상으로 고랭지 경작지에서 발생하는 연간토양 유실량과 이 토양유실량 중 하천에 도달하는 양을 나타내는 유사량을 추정하였다. 연간토양유실량은 RUSLE 공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으며, 유사량은 SEDD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지역의 $2.6\%$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밭이 연간 유역 내에서 발생하는 총토양유실량과 유사량에 대하여 각각 $10.9\%$$33.12\%$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도 400m 이상에 해당하는 고랭지 경작지의 경우 유역 내에서 총 $1.74\%$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나, 연간 총 토양유실량과 유사량에 대해서는 면적에 비하여 월등히 큰 $7.69\%$$15\%$의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내린천 유역의 밭 경작지 특히, 고랭지 경작지에서의 토양유실과 유사량 발생이 다른 토지용도에 비하여 매우 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랭지 경자지로부터의 토양유실 방지대책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범용토양유실공식(RUSLE) 기법을 활용한 금호강 수변지역의 토양유실위험도 비교 분석 (Utilizing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Technique Comparative Analysis of Soil Erosion Risk in the Geumhogang Riparian Area)

  • 김정철;윤정도;박정수;최종윤;윤종학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2_1호
    • /
    • pp.179-190
    • /
    • 2018
  • 본 연구는 하천 유역의 정비사업 전 후의 토양유실위험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GIS 및 디지타이징 자료를 토대로 수정범용토양유실공식(RUSLE)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토양유실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토지피복지도, 지형도, 토양도, 강수량 등의 자료들을 이용하였으며, 금호강 유역의 수변지역을 범위로 디지타이징한 후, 유역을 행정구역 단위로 분할하여 분석하였다. 하천 정비 전('8)과 후('16)로 토양유실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지역(클래스 1)에서 심하게 일어나는 지역(클래스 5) 등 총 5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사업('16) 후 전체지역에 대하여 1, 5 클래스는 감소, 2~4 클래스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와 영천은 5 클래스의 면적이 감소하였고, 경산은 5 클래스의 지역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원인은 공원조성과 인공시설물 확대, 농경지 감소 등으로 인하여 5 클래스의 지역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며, 수변지역의 준설 및 공원조성을 위한 하안선 단순화는 하천 유량 및 유속에 의한 토양유실량 증가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