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ention period

검색결과 518건 처리시간 0.027초

Potential Water Retention Capacity as a Factor in Silage Effluent Control: Experiments with High Moisture By-product Feedstuffs

  • Razak, Okine Abdul;Masaaki, Hanada;Yimamu, Aibibula;Meiji, Okamot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471-478
    • /
    • 2012
  • The role of moisture absorptive capacity of pre-silage material and its relationship with silage effluent in high moisture by-product feedstuffs (HMBF) is assessed. The term water retention capacity which is sometimes used in explaining the rate of effluent control in ensilage may be inadequate, since it accounts exclusively for the capacity of an absorbent incorporated into a pre-silage material prior to ensiling, without consideration to how much the pre-silage material can release. A new terminology, 'potential water retention capacity' (PWRC), which attempts to address this shortcoming, is proposed. Data were pooled from a series of experiments conducted separately over a period of five years using laboratory silos with four categories of agro by-products (n = 27) with differing moisture contents (highest 96.9%, lowest 78.1% in fresh matter, respectively), and their silages (n = 81). These were from a vegetable source (Daikon, Raphanus sativus), a root tuber source (potato pulp), a fruit source (apple pomace) and a cereal source (brewer's grain), respectively. The pre-silage materials were adjusted with dry in-silo absorbents consisting wheat straw, wheat or rice bran, beet pulp and bean stalks. The pooled mean for the moisture contents of all pre-silage materials was 78.3% (${\pm}10.3$). Silage effluent decreased (p<0.01), with increase in PWRC of pre-silage material. The theoretical moisture content and PWRC of pre-silage material necessary to stem effluent flow completely in HMBF silage was 69.1% and 82.9 g/100 g in fresh matter, respectively. The high correlation (r = 0.76) between PWRC of ensiled material and silage effluent indicated that the latter is an important factor in silage-effluent relationship.

Clinical Factors Affecting the Serum Retention of a Teratogenic Etretinate after the Acitretin Administration

  • Jeong, Jong Heon;Hyun, Gyu Hwan;Park, Yu Jeong;Kwon, Sung Won;Lee, Ai-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0권6호
    • /
    • pp.562-569
    • /
    • 2022
  • Etretinate, an acitretin metabolite, has a long retention duration in adipose tissues with a teratogenic potential. FDA advises a contraceptive period of at least three years after discontinuing acitretin. However, the effect of accumulated etretinate in adipose tissues on fetus is unknown. Although the teratogenic threshold for serum concentration of etretinate has been presented as higher than 2 ng/mL, that of acitretin is unknown.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body retention of acitretin and etretinate, effects of acitretin dosage, acitretin-taking duration, elapsed time after stopping acitretin, age, sex, concomitant alcohol consumption, and foods and supplements rich in vitamin A intake on serum concentrations of acitretin and etretinate were analyzed in 14 acitretin-taken patients and 58 controls without taking acitretin or etretinate. Serum concentrations of acitretin, but not etretinate, tended to be inversely related to the discontinuation duration. They were also related to old age. Different from a published result that alcohol consumption could promote the metabolism of acitretin into etretinate, alcohol intake did not affect serum concentrations of etretinate. Unexpectedly, more frequent intake of vitamin A or provitamin A-rich food and supplements was associated with higher serum acitretin, whereas less frequent intake of vitamin A or provitamin A-rich food and supplements was associated with higher serum levels of etretinate in acitretin-taken patients. Despite preliminary data, inter-individual variations in serum retention of etretinate suggest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before applying the same guidelines to everyone to minimize unnecessary contraception.

Remote digital monitoring during the retention phase of orthodontic treatment: A prospective feasibility study

  • Sangalli, Linda;Savoldi, Fabio;Dalessandri, Domenico;Visconti, Luca;Massetti, Francesca;Bonetti, Stefan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3-130
    • /
    • 2022
  • Objective: To evaluate if a remote digital monitoring system added at the end of orthodontic treatment could positively influence the retention phase 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misfit of removable appliances, number of emergency appointments (EA), and orthodontic relapse. Methods: Twenty-seven patients who completed active orthodontic treatment were divided into the study and control groups. In addition to the standard chairside follow-up appointments at month 1 (T1), month 3 (T2), month 6 (T3), the study group patients were monitored using Dental Monitoring® with monthly intra-oral scans. Occurrence of misfit of removable retainers, number of EAs, and intercanine width change were recorded for both groups. Differences in EAs and retainer fit were assessed using the chi-square test. Intra-group and inter-group differences in the intercanine width were assessed with Friedman test and Mann-Whitney U test, respectively (α = 0.05). Results: The study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occurrence of misfit of removable retainers (p = 0.027)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inter- and intra-group difference was found in the EAs and intercanine width change at each time-point. Conclusions: Integrating remote monitoring systems, such as Dental Monitoring®, to the retention phase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may lower the occurrence of misfit of removable retainers. However, a small sample size and a short observation period limit the strength of this evidence. These preliminary results tentatively suggest that remote monitoring technologies may be beneficial, especial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hen the regularity of in-office visits might be disrupted.

Response of Growing and Laying Japanese Quails (Coturnix japonica) to Dietary Sunflower Seed Meal

  • Elangovan, A.V.;Verma, S.V.S.;SastrySastry, V.R.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2호
    • /
    • pp.1726-1730
    • /
    • 2000
  • High fibre (CF, 242 g/kg) sunflower seed meal (SSM) was incorporated in standard grower and layer quail diets at 0, 50, 75 or 100 g/kg replacing part of the soybean meal (SBM) and deoiled rice bran (DORB). Each grower diet was offered to 30 quails housed in battery cages from day one to 5 weeks of age. At the end of the growing period, Twelve female quails from each of the four respective dietary groups were transferred to the individual laying cages and their laying performance from 7 to 20 weeks of age were evaluated on diets containing SSM at similar levels as that during the growing period. The results of growth bioassay revealed that the live weight gain, feed intake, nutrient retentio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quails in different dietary groups did not vary significantly (p>0.05), although the quails fed SSM based diets utilized the feed less (p<0.05) efficiently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During the laying period, the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traits remained unaffected due to dietary treatments but feed required per unit egg production increased (p<0.05) as the level of SSM in diet was increased to 100 g/kg. Although, the cost of feed per kg decreased due to the incorporation of SSM in diet but the same was not reflected in feed cost per unit gain, meat or egg production as such parameters were comparable on all the diets. It could thus be concluded that the SSM can be incorporated in quail diets upto 100 g/kg for part of SBM, an item usually expensive and also in short supply in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India.

활성글루텐 첨가 쌀 식빵 프리믹스의 저장 중 품질 특성 (Effect of Storage on Physicochemical and Bread-making Properties of Bread Premix Prepared from Rice Flour Containing Vital Gluten)

  • 이영택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311-317
    • /
    • 2011
  • 활성글루텐이 첨가된 쌀 식빵 프리믹스를 5, 25, $35^{\circ}C$의 저장온도에서 4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반죽특성, 호화특성 및 제빵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쌀 식빵 제조 시 활성글루텐의 적정 첨가량은 14-17%로 판단되었다. 쌀 식빵 프리믹스의 pH, 침전가 및 Pelshenke값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Pelshenke 값은 35$^{\circ}C$ 저장시에 그 수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쌀 식빵 프리믹스의 수분 함량은 변화가 적었으나, 보수력과 알칼리수 흡수율은 저장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Mixograph의 peak time과 width at 8.00 min은 저장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Rapid Visco Analyser에 의한 호화 특성 중 peak viscosity와 setback은 저장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다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짐으로써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프리믹스로 제조한 쌀 식빵의 비용적은 저장전에 비해 저장 중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그 감소 폭이 컸으며, 쌀 식빵의 경도는 증가하여 쌀가루 전분의 노화가 밀가루에 비해 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토심 경사지붕과 평지붕 녹화모듈의 저류 및 증발산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Retention and Evapotranspiration in the Extensive Greening Module of Sloped and Flat Rooftops)

  • 류남형;이춘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07-116
    • /
    • 2013
  • 본 연구는 저토심 옥상녹화모듈의 빗물유출 및 도시열섬 저감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저토심 경사 평지붕 녹화모듈의 저류 및 증발산 특성을 규명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린초를 식재한 라이시미터(깊이 100mm)를 4방향(동, 서, 남, 북)의 50% 경사 지붕과 평지붕 위에 구축하였다. 그리고 저토심 경사지붕 및 평지붕 녹화모듈을 대상으로 연간 수분보유량 및 저류량과 증발산량 그리고 옥상과 평지붕 녹화모듈의 표면온도를 2012년 9월 1일부터 2013년 8월 31일까지 1년간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를 근거로 분석한 녹화모듈의 저류 및 증발산 특성은 다음과 같다. 경사지붕 녹화모듈의 수분보유량은 눈이 오는 겨울철을 제외하면 강우 직후 8.7~28.4mm까지 상승하였으며, 무강우 지속 시 3.3mm까지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사지붕 녹화모듈은 최대 22.2mm까지 강우를 저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녹화모듈의 강우량 대비 강우 저류율 예측식은 경사지붕의 경우 [강우 저류율(%)=-18.37 ln(강우량(mm))+107.75, $R^2$=0.79], 평지붕의 경우 [강우 저류율(%)=-22.64 ln강우량(mm))+130.8, $R^2$=0.81]였다. 경사지붕 녹화모듈의 증발산량은 강우 후 경과일수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봄철과 가을철에는 로그함수형으로, 여름철에는 거듭제곱함수형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경사지붕 녹화모듈의 강우 후 일증발산량은 여름 > 봄 > 가을 > 겨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일사량 및 기온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녹화모듈의 증발산량은 강우 후 3~5일간 2~7mm/day에서부터 1mm/day 미만으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후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녹화모듈에 식재된 기린초는 수분이 충분할 경우에는 수분을 급격히 소비하고, 수분이 부족할 때는 수분을 보존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여름철 알베도는 옥상면이 0.151, 옥상녹화면이 0.137 그리고 겨울철 알베도는 옥상면이 0.165, 옥상녹화면이 0.165로 나타나, 옥상면과 옥상녹화면의 알베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여름철 녹화에 의한 표면온도의 저감효과는 일평균표면온도가 $1.6{\sim}13.8^{\circ}C$(평균 $9.7^{\circ}C$), 일최고표면온도가 $6.2{\sim}17.6^{\circ}C$(평균 $11.2^{\circ}C$)로 나타났다. 겨울철 녹화에 의한 온도 차이는 일평균 표면온도가 $-2.4{\sim}1.3^{\circ}C$(평균 $-0.4^{\circ}C$), 일최고표면온도가 $-4.2{\sim}2.6^{\circ}C$(평균 $0.0^{\circ}C$)로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증발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녹화에 의한 저감온도가 선형함수형으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발산량에 따른 저감온도의 예측식은 [저감온도($^{\circ}C$)=$1.4361{\times}$증발산량(mm)+8.83, $R^2$=0.59]였다. 무강우 지속 시 녹화에 의한 표면온도 저감은 세덤 수관에 의한 차양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녹화모듈에 의한 저토심 옥상녹화는 저류와 증발산 작용에 의해 빗물 유출 및 도시열섬 관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또한 기린초는 무관수 저토심 옥상녹화용 수종으로 이상적 식물재료이며, 장기적인 도시열섬 완화라는 측면에서는 기린초의 증발산효과뿐 아니라 차양효과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고객보상 프로그램이 고객 유지에 미치는 효과: 교육 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Loyalty Program on the Effect of Customer Retention: Focused on Education Service Industry)

  • 전호성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5-53
    • /
    • 2011
  • 이번 연구는 실제 기업 자료를 기반으로 고객보상 프로그램이 고객 유지(retention)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고객보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다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 유사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1년이 넘는 장기적인 시간 프레임 속에서 고객보상 프로그램의 도입 시점을 전후로 소비자 집단을 구분하고 이들 집단의 비교를 통해 고객보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 설계를 고려한 이유는 종적 자료를 사용한 선행 연구들이 고객보상 프로그램의 도입 시점 이후부터 가입 고객과 비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자기선택오류(self-selection bias)의 가능성이 존재하였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는 고객보상 프로그램의 도입 시점을 전후로 두 집단을 비교하기 위해 자료를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절단(censoring)하였다. 생존분석(survival analysis)은 다른 분석기법에 비해 불완전한 자료가 포함되더라도 분석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므로 이번 연구의 분석방법으로 선택하였다. 분석 결과 고객보상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는 소비자들의 거래기간이 평균 179일이었으나 고객보상 프로그램을 도입한 이후에는 227일로 약 50일 정도 더 늘어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 가설을 지지하였다. 또한 콕스 비례위험모형을 사용하여 고객보상 프로그램과 영향 변수들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한 결과 기존고객들은 고객보상 프로그램이 도입된 후 신규고객들에 비해 회사와의 거래기간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서비스(예: 30일 이내 입회)를 경험한 고객들도 회사와의 거래기간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정적인 서비스(예: 30일 이후 입회)를 경험한 고객이라 하더라도 고객보상 프로그램을 도입한 이후에는 회사와의 거래기간이 증가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정리하면 고객보상 프로그램은 고객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이탈 장벽까지 구축해 줌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수단으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 PDF

공황장애 외래 환자의 아동기 외상과 약물치료 유지 (Childhood Trauma and Pharmacotherapy Retention among Outpatients with Panic Disorder)

  • 김동주;김대호;이진복;김예슬;손수진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53-62
    • /
    • 2020
  • 연구목적 최근 공황장애와 초기 외상 사건에 대한 연구결과가 축적되는데, 아직까지 공황장애의 경과나 치료와 아동기 외상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 연구는 공황장애 외래 환자에서 아동기 외상 병력과 약물치료 유지 기간 사이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방 법 이 횡단적 연구는 한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공황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일생의 외상력, 우울, 불안 및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약물치료 기간을 조사하였다. 2012년 3월~2016년 2월까지 총 135명의 공황장애 외래 초진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연구를 실행하였으며 이중 53명(39%)이 거절하거나 불완전한 설문을 작성하여 나머지 8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지에는 외상력 선별 검사(Trauma History Screen), 벡우울척도, 벡불안척도, 간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체크리스트 설문지가 포함되었다. 결 과 일생 동안 경험한 외상 종류의 수와 치료기간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ho=-0.269, p=0.015). 외상의 아형을 볼 때는 아동기 신체 학대와 치료 기간 사이에 유의한 부정 상관 결과를 보였다(rho=-0.298, p=0.007). 결 론 이 연구의 결과는 심리적 외상, 특히 아동기의 대인관계적 외상이 공황장애의 치료 유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아동기 외상과 불량한 치료 유지를 중재하는 요인, 예를 들어 치료 관계나 치료에 대한 기대 부족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INTERACTION OF CALCIUM, PHOSPHORUS AND PROTEIN IN BROILERS

  • Ryu, Y.S.;Han, I.K.;Kim, I.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4호
    • /
    • pp.583-589
    • /
    • 1994
  • In order to study the interrelationships of calcium (0.45 vs. 0.90%), phosphorus (0.40 vs. 0.70%) and protein (17, 20, 23%), $2{\times}2{\times}3$ factorial design was employed. A total of 480 broilers (Hisex-Hibro) aged 3 days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for a period of 28 days. Body weight gain, daily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were investigated for the simple effects, first order interaction and second order interaction of the dietary factors. These effects were also applied to bone ash retention, percent Ca in bone & ash, percent P in bone & ash, and protein utilizability.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body weight gain, simple effects of dietary levels of Ca, P, C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0.05). Body weight gain at 0.90% Ca level was improved as the dietary CP levels increased. For the feed intake, single effects of dietary levels of both P and CP were found (p<0.05). Feed efficiency was improved as the dietary CP and P levels increased. Ca $\times$ P intera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r body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p<0.05), however, Ca $\times$ P $\times$ CP interaction effect was not found. 2) Protein utilizability decreased as the dietary CP level increased (p<0.01). 3) 0.90% Ca in diet showed less bone ash retention than 0.45% Ca level. And, increasing the dietary P level resulted in increased bone ash retention. Increasing the dietary P level resulted in increased bone Ca retention (p<0.01) and increased bone P retention (p<0.05). Dietary CP levels had significant (p<0.01) effect on bone Ca retention except for 23% CP level. Increasing the dietary Ca level resulted in wider Ca:P ratio of bone, but increasing the dietary P level resulted in narrower Ca:P ratio of bone. 4. Ca $\times$ P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0.01) for bone ash, bone Ca & P, ash P content, and bone Ca:P ratio. Ca $\times$ P $\times$ CP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for bone ash (p<0.01), bone Ca (p<0.05) and bone P content (p<0.01).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의 공통기능 보존기간기준표 설계 사례 (A Case Study on Redesigning the Retention Schedule of Common Functions in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of Science and Technology)

  • 이미영;박윤미;심세현;김슬기;김현우;주미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25-143
    • /
    • 2018
  • 본 연구는 연구기관 기록관리업무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기록물 분류체계와 평가도구로서의 보존기간기준표를 공동으로 설계했던 과정에 대한 기록이다. 8개 기관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약 4개월 동안 공통기능 16개, 단위업무 66개, 기록물철 381개로 구성된 보존기간기준표를 설계하였다. 그 과정은 '참여기관 전체의 기록관리 관련 규정 검토, 보존기간기준표의 계층구조와 범위 결정, 16개 공통기능 도출, 기능별 단위업무 도출, 단위업무별 기록물철 구성, 기록물철별 보존기간 책정'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기관 및 연구기록 관리에 특정된 국가주도의 연구기록 관리 정책과 전략을 당장은 기대하기 힘든 상황에서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 기록관리담당자들이 공동으로 설계한 보존기간기준표는 기관에서 유용한 기록관리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사기관 기록관리담당자들간의 이러한 협업 노력은 향후 새로운 정책과 혁신플랜에도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의미있는 경험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