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ail Environment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4초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온라인 지불결제 서비스 수용에 관한 분석 (Analyzing the Adoption of Online Payment using System Dynamics)

  • 무홍레이;이영찬
    • 산업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1-14
    • /
    • 2018
  • 온라인 소매업은 인터넷 기반 회사들에게 전 세계의 온라인 고객들과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그러나 많은 고객들은 온라인 지불결제 서비스의 위험성이나 사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고도 온라인에서 거래를 완료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온라인 지불결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했지만 온라인 시장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되면서 향후 5년 또는 10년 후의 전개될 상황을 예측하기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지불결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토하고 제3자 결제 회사 및 온라인 서비스 제공 업체에게 장기적인 동태적 의사 결정 모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온라인 지불결제 서비스 수용 모형을 개발하고 향후 10년 동안 전개될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온라인 지불결제 고객은 10년 안에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핵심 영향 요인으로는 서비스 품질, 시스템 품질 및 예상 소요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디자인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responsibility of beauty design)

  • 박유경;이순재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5호
    • /
    • pp.679-693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first to expand participation types in the field of beauty design by examining activities in the field, and second, to seek practical methods for addressing the important issue of social responsibility amid the current pandemic situation. Accordingly, social responsibility in design was examin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features of practice domains and design performance fields were examined comparativel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cial practices take place in various sectors, with sensibility toward the environment being escalated to a new level in the cosmetics industry. In terms of cosmetics enterprise practices, collecting, recycling, manufacturing, and retail networking has been established to reuse up to 95% of waste resources. Furthermore, ethical responsibility and participation concerning product and service waste resources are recommended, resulting in the supply of eco-friendly products in a virtuous cycle. In terms of systematic policy, even component transformation (such as organic certification and excluding toxic substances) is being carried out. However,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such responsible activities in Korea; thus, systematic practice is needed. Designers take part in talent donation activities, and it was the sector they prefer the most.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on limitations such as venues equipped with cosmetics procedure equipment and public cosmetics sanitation and make systematic improvement, such that activities can be led with initiative from passive participation.

옴니채널 소매업 환경에서 채널 통합 품질이 고객 참여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권한 부여의 조절 효과 (Impact of Channel Integration Quality on Customer Engagement in Omni-channel Retail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Empowerment)

  • 양옌;류성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9-49
    • /
    • 2022
  • Consumers are now no longer satisfied with using a single channel to shop and then desire a smooth and consistent purchasing experience across channels. By integrating different channels and services, an omni-channel strategy allows consumers to choose their preferred channel to complete their shopping tasks. Therefore, large retailers in China have recently been transforming into omni-channel retail formats to secure their competitive advantage. To better implement this strategy and optimize its effectivenes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consumers respond to the quality of channel integration.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SET),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impact of channel integration quality on consumer engagement in the Chinese omni-channel retailing environment and to further examine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empowerment on this relationship. To test this research model, we collected data from 330 respondents by conducting an online questionnaire in Chin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wo dimensions of channel integration (breadth of channel-service choice and transparency of channel-service configuration) positively affected two dimensions of customer engagement (conscious attention and enthusiastic participation), respectively. The findings also show that consumer empowerment only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dth of channel service choice and conscious attention, whereas it nega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parency of channel-service configuration and conscious attention/enthusiastic participation. Given these results, this study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channel integration on customer engagement in the context of omni-channel retailing in China and sheds light on how retailers can attract consumers with different levels of empowerment.

농산물 소매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산지유통조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직화·규모화·전문화를 중심으로 (A Study 0n th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in producing area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change retail environment: Focused on organized, scaled, Specialization.)

  • 김대윤
    • 산경연구논집
    • /
    • 제2권2호
    • /
    • pp.5-14
    • /
    • 2011
  • 1996년도의 유통시장개방을 계기로 소매유통 환경이 급변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소매유통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화를 통한 규모화가 산지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산지에서는 여건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소규모 개별농가가 조직화를 통해 전문화·대규모화 되어 가고 있고, 품목별·지역별로 특화되어 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소비지 시장에 대한 경쟁력 강화라는 관점에서는 여전히 문제점을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시장대응상의 산지유통조직의 조직화·규모화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통한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산지 조직화 배경 및 필요성, 국내 산지유통조직의 현황 및 문제점, 국내·외 산지유통조직 우수사례를 살펴보고, 조직화·규모화를 중심으로 향후 산지유통조직 경쟁력 제고방안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농산물 소매유통환경 변화에 따라 산지유통조직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1) 원물수집 체계 다양화를 통한 가동률 향상 및 조직화 강화, 2) 전문화된 품목의 광역연합마케팅 추구를 통한 규모화 실현, 3) 국외 산지유통조직 우수사례인 프랑스 "브레따뉴 청과물 경제위원회"와 같은 관리 운영조직 설치 및 운영, 4) 국내에 적합한 산지유통조직모델 개발을 위한 지원체계 확립 등의 4가지를 제시하였다. 특히 국내 산지의 경우 산지조직화·규모화에 성공한 각종 사례분석을 통해, 조직적 규모화의 과정 속에서 생겨나는 각종 어려움과 그에 대한 극복방식 등을 일반화 시켜가는 노력이 요구된다.

  • PDF

업종별 프랜차이즈 선택결정요인이 가맹점 성과의 만족도와 성공·실패에 미치는 영향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Franchise Business Members on Affiliate Outcomes)

  • 장재남;강창동;안성식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49-59
    • /
    • 2011
  • 한국프랜차이즈산업은 1970년대 도입된 이후, 외식업, 도·소매업, 서비스업 등 광범위한 영역에 국민생활과 밀접한 지식기반서비스산업으로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이제 국내 프랜차이즈산업은 양적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을 통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해야 할 시기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가맹본부와 가맹점 사업자 간의 신뢰구축을 위한 가맹본부와 가맹점사업자의 노력과 실천이다(Stanworth & Kaufmana, 1995). 가맹본부와 가맹점사업자간의 우호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Relationship)야 말로 프랜차이즈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고 건강한 프랜차이즈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는 근간이기도 하다. 가맹사업을 하고자 하는 가맹본부는 프랜차이즈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 가맹점창업의 성공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항목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가맹점 사업성과의 만족도와 가맹점 사업성공·실패에 미치는 가맹점의 선택속성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업종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히려는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가맹사업을 하고 있는 가맹본부나 예비 가맹본부 창업자들이 가맹점 모집뿐만 아니라 가맹점 지원시스템 구축력, 브랜드력, 가맹점의 상권 경쟁력, 교육·훈련 프로그램 수준, 가맹점사업자의 금융비용, 가맹점본부와 가맹점사업자와의 파트너쉽, 마케팅 믹스 관리능력(제품, 가격조건, 물류 및 배송서비스, 프로모션, 슈퍼바이징과 슈퍼바이저, 업무절차·과정, 물리적 증거)에 투자와 활동을 집중해야 가맹점의 성공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가맹점 예비창업자들이 우수한 가맹본부를 선택하기 위해 가장 크게 고려하는 사항은 가맹본부의 특성이다. 특히 가맹점에 대한 가맹본부의 지원은 가맹점의 사업성과와 만족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 적극적인 추천이나 재 계약률을 높일 수 있다.

  • PDF

알코올가용성이 음주행태에 미치는 영향: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한 다수준 분석 (The Effect of Alcohol Availability on Drinking Behavior : A Multilevel Analysis on Urban Regions)

  • 권리아;신상수;신영전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2호
    • /
    • pp.125-163
    • /
    • 2018
  • 음주와 관련한 사회적, 보건학적 문제가 심각하다. 음주행태는 개인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에도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는 개인수준의 변인들을 보정 후에도 지역사회 내 주류 판매점들이 개인의 음주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알코올 관련 규제정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음주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현재 음주여부와 고위험 음주여부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수준의 데이터는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중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응답 자료를 활용했으며, 지역수준의 데이터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였다. 개인수준의 변인으로는 연령, 학력, 소득 수준 등을, 지역수준의 변인으로는 기초생활수급자수, 조 이혼율, $1km^2$당 주점 수, $1km^2$당 소매점 수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음주 여부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학력, 높은 월 가구소득,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고위험 음주 여부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학력, 우울감과 같은 개인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수준의 변인들을 보정 후 지역수준의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1km^2$당 주점 수, 소매점 수, 전체 알코올가용성 수가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에게서 현재 음주를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위험 음주 여부에 있어서는 지역변인으로 조 이혼율만이 음주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성, 연령, 경제활동 유무)에 따라 층화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현재 음주 여부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60세 이상 집단에서 소매점과 전체 알코올가용성 수가 많은 지역에 거주할수록 고위험 음주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정책 뿐만 아니라 지역 수준에서 알코올 가용성 환경을 고려한 알코올 규제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슈퍼마켓 점포속성이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SSM과 독립자영 SM의 비교연구 (The Effect of Store Characteristics of a Supermarket on Store Loyalty: A Comparative Study of the Local Supermarket and the Super Supermarket)

  • 안성우;권승구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1-70
    • /
    • 2012
  • Purpose - The entry of Super Supermarkets (SSM), operated by large corporations, into the retail distribution market weakens the competitive power of local supermarkets (SM) and their families leading to a rapid collapse of the local-SM market. Accordingly, this is a very sensitive and urgent issue in Korean society and politics. Therefore,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take steps to activate a local-SM market and regain the loyalty of their customers. However, in spite of the urgent need of a comparative study on the advantages and competitive power of local-SM in relation to the SSM,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is issue to date. On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tor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SM and SSM,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st various store characteristics, such as consumption emotion, relation quality, and store loyalty between store types to provide an efficient solution to activate a local-SM market.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store characteristics between store types, and to test the moderator and mediator effects, data were collected from 488 customers in Seoul, Incheon,and Gyeonggi Province. The theoretical model consists of four hypotheses, and data was processed to test these using factor analysis, t-test,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d the three step regression proposed by Baron and Kenny. Results - First, the analysis shows that local-SM customers evaluate location characteristic factor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SSM customers. However, SSM customers evaluate quality of merchandise, sales promotion activities, and store environment significantly higher. Ye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consumption emotion, relation quality,and store loyalty between the store types. Second, the analysis of moderator effects of the store type show that sales promotion and store atmosphere factors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moderating effecton positive consumption emotion, while positive consumption emotion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absorption of relation quality, while there are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consumption emotion and store loyalty. Third, while both trust and absorption of relation quality are partially mediated between consumption emotion and store loyalty, only absorption is partially mediated between positive consumption emotion and store loyalty. There are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absorption between negative consumption emotion and store loyalty. Conclusions - We strongly recommend that location restrictions on entrance of SSM into local-SM market should either be further strengthened or sustained for the activation of the local store market.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financial supp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merchandise, sales promotion, employee education, store environment of the local-SM by providing appropriate business consulting. Moreover, the result implies that the owners of alocal-SM should take measures to increase customers' absorption and store loyalty, such as store cleanliness, maintaining a delightful atmosphere at the store, and training employees on attitudes towards customers. As this study is restricted with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care needs to be taken in generalizing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to the national level.

  • PDF

선행적 대응을 통한 프랜차이즈 뉴비즈니스 런칭 사례 : (주)인토외식산업의 맥주바켓 성공사례 (A Case Study of New Franchise Brand Launching Through Proactive Market Response: BEERBARKET'S Successful Story of INTO FRANCHISE SYSTEMS)

  • 서민교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3권1호
    • /
    • pp.111-129
    • /
    • 2012
  •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은 매년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유망사업이자 유통업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또한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를 비롯한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인해 당분간 프랜차이즈 산업의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프랜차이즈는 몇몇 소수의 업종을 중심으로 가맹본부 및 가맹점 진출이 집중되어 있어 신규가맹점을 확보하는데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포화 상태에 접어든 업종 내에서의 가맹본부는 성장을 위해 새로운 업종으로의 제2, 제3 브랜드로 사업 확장을 전개하고 있으나 성공보다는 실패가 더 많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인토외식산업의 맥주바켓 사례를 중심으로 신규 브랜드 개발 방식 및 전개 후 결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사례 분석 결과, 프랜차이즈 가맹본사는 지속적으로 환경 조사 및 분석을 해야 하며, 조사 방법과 조사된 내용을 통해 도출 되는 내용은 객관성을 전재로 해야 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이렇게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신규 브랜드의 Biz-Model을 수립해야 산업 및 고객으로부터 인정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포화상태의 치열한 환경에 속한 프랜차이즈 본사일수록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을 하고 이를 기업 활동과 연계시킬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선행적 대응을 통한 프랜차이즈 뉴비즈니스 런칭 사례인 (주)인토외식산업의 맥주바켓 성공사례를 통해 환경변화에 따른 대응 방법에 대해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체험매장의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이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f experience store on satisfaction and loyalty)

  • 이지현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3호
    • /
    • pp.5-1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유통과 차별되는 체험매장의 혁신적 속성에 대한 지각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이 소비자의 만족과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소비자 특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은 소비자의 만족과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 중 만족에 더 강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용이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체험매장의 마케팅과 프로모션에는 이 매장을 이용함으로써 더욱 빠르고 쉽게 원하는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는 편리함을 강조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 판단된다. 그리고 혁신적 속성에 대한 소비자 특성(월평균 스포츠 용품/의류 구입 금액, 스포츠 용품/의류를 구입하는 유통을 선택할 때 직접 제품을 체험해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의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이는 아직까지 우리나라에 체험매장 자체가 생소한 개념이므로 그에 대한 만족, 충성도 형성과정이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조절될 만큼 충분하게 경험되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 풀이된다.

  • PDF

지각된 쇼핑가치차원이 점포태도, 쇼핑과정에서의 정서적 경험,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Perceived Shopping Value Dimensions on Attitude toward Store, Emotional Response to Store Shopping, and Store Loyalty)

  • 안광호;이하늘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4호
    • /
    • pp.137-164
    • /
    • 2011
  • 본 연구는 경험가치척도(EVS; Experiential Value Scale)를 바탕으로 측정된 쇼핑가치차원이 쇼핑점포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각 쇼핑가치차원이 쇼핑점포에 대한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가 백화점과 할인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분석했다. 실증분석결과 점포에서 제공하는 실용적 쇼핑가치와 쾌락적 쇼핑가치는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와 점포에 대한 감정적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용적 쇼핑가치의 하위차원인 서비스우수성, 효율성, 경제적 가치가 증가할수록, 소비자들의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쾌락적 쇼핑가치의 하위차원인 시각적 매력, 오락적 가치, 일상탈출, 내재적 즐거움이 높은 것으로 지각할수록, 쇼핑과정에서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감정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쾌락적 쇼핑가치는 소비자들이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직접적 영향이 아닌 점포에 대한 소비자들의 감정적 반응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와 점포에 대한 긍정적 감정형성은 점포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쾌락적 쇼핑가치가 점포에 대한 긍정적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백화점보다 할인점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