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ults of Floor noise Sourc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1초

주파수 및 시간 특성을 활용한 머신러닝 기반 공동주택 주거소음의 군집화 및 분류 (Clustering and classification of residential noise sources in apartment buildings based on machine learning using spectr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 김정훈;이송미;김수홍;송은성;류종관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03-616
    • /
    • 2023
  • 본 연구는 주파수 및 시간 특성을 활용하여 머신러닝 기반 공동주택 주거소음의 군집화 및 분류를 진행하였다. 먼저, 공동주택 주거소음의 군집화 및 분류를 진행하기 위하여 주거소음원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주거소음원 데이터셋은 바닥충격음, 공기전달음, 급배수 및 설비소음, 환경소음, 공사장 소음으로 구성되었다. 각 음원의 주파수 특성은 1/1과 1/3 옥타브 밴드별 Leq와 Lmax값을 도출하였으며, 시간적 특성은 5 s 동안의 6 ms 간격의 음압레벨 분석을 통해 Leq값을 도출하였다. 공동주택 주거소음원의 군집화는 K-Means clustering을 통해 진행하였다. K-Means의 k의 개수는 실루엣 계수와 엘보우 방법을 통해 결정하였다. 주파수 특성을 통한 주거소음원 군집화는 모든 평가지수에서 3개로 군집되었다. 주파수 특성 기준으로 분류된 각 군집별 시간적 특성을 통한 주거소음원 군집화는 Leq평가지수의 경우 9개, Lmax 경우는 11개로 군집되었다. 주파수 특성을 통해 군집된 각 군집은 타 주파수 대역 대비 저주파 대역의 음에너지의 비율 또한 조사되었다. 이후, 군집화 결과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세 종류의 머신러닝 방법을 이용해 주거소음을 분류하였다. 주거소음 분류 결과, 1/3 옥타브 밴드의 Leq값으로 라벨링된 데이터에서 가장 높은 정확도와 f1-score가 나타났다. 또한, 주파수 및 시간적 특성을 모두 사용하여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모델로 주거소음원을 분류했을 때 93 %의 정확도와 92 %의 f1-score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보이드 슬라브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Improvement of the Void Slab Applying the Impedance Method)

  • 오재응;김영식
    • 소음진동
    • /
    • 제11권2호
    • /
    • pp.276-284
    • /
    • 2001
  • In apartment buildings, floor-impact sound has been regarded as the major source that causes complaints from residents. It is mainly due to the use of light-weight structures and the lack of researches in terms of floor-impact soun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vibration response and sound radiation of 12type void slabs in the improvements void slab by impedance method and finding the fittest improvements void slab on the 12type void slab.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below: (1) In the $\frac{1}{3}$ octave band level of sound radiation, $\frac{1}{3}$ octave band levels, measured from four-divided improvement void slab(No.8) and eight-divided improvement void slab(No.12), are 10~25 dB lower than that of standard void slab(No.1) in the 1250 Hz. Especially, eight-divided improvement void slab(No.12) is the best void slab in terms of radiation efficiency of sound level. (2) In the correlation relation of acceleration and sound radiation, standard void slab(No.1), four-divided improvement void slab(No.8), SK standard four-hole void slab(No.10), and eight-divided improvement void slab(No.12) are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

  • PDF

실험조건에 따른 임팩트 볼의 바닥충격음 변화 고찰 (Floor Impact Nois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Using Impact Ball)

  • 이원학;한찬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2-9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표준 중량충격원인 임팩트 볼을 국내의 표준중량충격원으로 도입시 바닥충격음 실험에 있어서 정확성에 대해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임팩트 볼을 이용하여 낙하 높이별, 가진위치를 바꾸어서, 수음점 높이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고, 임팩트 볼을 이용한 바닥충격음을 측정하고 이를 실제 충격원인 뛰는 충격음과 비교하여 실제 충격음과 가장 유사한 낙하 높이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또한 일본 주택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목구조와 국내 공동주택의 기본 구조인 콘크리트 구조에서의 바닥충격음 특성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동에서 같은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하여 시공재료 및 구법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목구조에서는 낙하 높이가 10 cm에서 30 cm사이의 충격음이 실제 충격음과 비슷한 음압레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콘크리트 구조에서는 유사한 음압의 높이는 없었다. 또한 사람이 임팩트 볼을 운용하면서 표준낙하높이를 기준으로 상 하 10 cm 높이차로 생기는 오차는 역 A특성 값에서 약 1 dB이하 정도로 작은 오차를 나타내긴 하지만 우리나라에 표준 중량충격원으로 도입할 때에는 다양한 콘크리트 바닥구법에 따른 바닥충격음의 특성에 따른 적합한 임팩트 볼의 낙하 높이 및 측정 마이크로폰의 높이에 대한 고려는 신중히 하여야 한다.

주거 공간에서 고령자 청력손실을 고려한 소음 및 잔향에 따른 음성 전송 성능의 주관적 평가 (Effect of noise and reverberation on subjective measure of speech transmission performance for elderly person with hearing loss in residential space)

  • 오양기;류종관;송한솔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69-377
    • /
    • 2018
  • 본 논문은 주거공간에서 고령자 청력손실을 고려한 소음 및 잔향에 따른 음성 전송 성능을 청취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주거환경 소음으로 바닥충격음, 교통소음, 공기전달음과 배수소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공동주택의 잔향환경을 모사하기 위해 실내음향 컴퓨터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충격응답를 추출하였다. 청취실험 음원은 고령자 청력손실(65세 남성)을 반영하기 위해 소음 및 단어 음원의 고주파대역의 음압레벨을 저감시킨 음원(고령자 음원)과 정상청력을 반영한 원음(청년 음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청취실험은 각각 3개의 소음레벨($L_{Aeq}$ 30, 40, 50 dB)과 잔향시간(0.5, 1.0, 1.5 s)을 갖는 음환경 조건에서 제시된 단어($L_{Aeq}$ 55 dB)의 음성요해도(speech intelligibility)와 듣기 어려운 정도(listening difficulty)를 평가하는 것으로 하였다. 청취실험 결과, 음성레벨이 55 dB($L_{Aeq}$)일 때 잔향시간 1.0 s 이하 조건에서 충격소음(점핑음) 50 dB($L_{i,Fmax,AW}$)와 정상소음(도로, 음악, 배수 소음) 40 dB($L_{Aeq}$) 이하의 소음레벨에서는 고령자 및 청년 음원 모두 90 % 이상의 음성요해도와 30 % 이하의 듣기 어려운 정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령자 청력손실을 반영한 고령자 음원의 경우 청년 음원 보다 음성요해도는 0 % ~ 5 % 낮았고 듣기 어려운 정도는 2 % ~ 10 %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 실내디자인 현황과 사용자 선호성향 - 실내분위기, 마감재, 색채를 중심으로 - (Current Interior Design and User Preference for Child Care Facilities - Focused on Interior Atmosphere, Finishing Materials and Colors -)

  • 하숙녕;천진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11-122
    • /
    • 2008
  • As Korea has undergone rapid modernization,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omen's social participation has increased. Accordingly, child care facilities have shown continuous growth in numbers. However, according to research, child care facilities in Korea lag behind those in other nations in terms of quality. Given that, it seem urgent to enhance the quality of child care facilities and improve their indoor environment. Above all, overall atmosphere, colors and finishing materials are connected directly with educational effects as well as feelings and health of facility users. This study assesses the current state of child care facilities and preferences by focusing primarily on interior atmosphere, materials and colors. For This Study, 7 facilities were surveyed, and 46 subject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findings suggest that "pretty" style is preferred to "natural" style. As regards flooring material, wood floor is preferred. It is recommended to lay pastel colored carpet or PVC flooring material to the wood floor. As for wall, it is desirable to divide the wall spaces by adding wood and painting to simple wallpapers. In case of the ceiling noise absorptive material is recommended to use instead of wallpapers. For the doors, it is desirable to use contrasting materials and colors given accessibility for children. In the meantime, rather than strong primary colors, soft color or pastel colors are desirable for furniture. This study has limitations because of insufficiency of case study samples. However,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child care facilities.

A HYDROGEN FUELLED V-8 ENGINE FOR CITY-BUS APPLICATION

  • Sierens, R.;Verhelst, S.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39-45
    • /
    • 2001
  • Hydrogen is seen as one of the important energy vectors of the next century. Hydrogen as a renewable energy source, provides the potential for a sustainable development particularly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Hydrogen driven vehicles reduce both local as well as global emissions. The laboratory of transporttechnology (University of Gent) converted a GM/Crusader V-8 engine for hydrogen use. Once the engine is optimised, it will be built in a low-floor midsize hydrogen city bus for public demonstration. For a complete control of the combustion process and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backfire (explosion of the air-fuel mixture in the inlet manifold), a sequential timed multipoint injection of hydrogen and an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is chosen. The results as a function of the engine parameters (ignition timing. injection timing and duration, injection pressure) we given. Special focus is given to topics related to the use of hydrogen as a fuel: ignition characteristics (importance of electrode distance), quality of the lubricating oil (crankcase gases with high contents of hydrogen), oxygen sensors (very lean operating conditions), noise reduction (configuration and length of inlet pip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a power regulation only by the air to fuel ratio (as for diesel engines) against a throttle regulation (normal gasoline or gas regulation) are examined. Finally the goals of the development of the engine are reached: power output of 90 kW, torque of 300 Nm, extremely low emission levels and backfire-safe ope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