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piratory tract infection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3초

소아에서 human metapneumovirus 감염의 임상 특징 (Clinical Manifestation of Human Metapneumovirus Infection in Korean Children)

  • 안정민;최성열;김동수;김기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0권1호
    • /
    • pp.28-35
    • /
    • 2013
  • 목 적 : 2000년이후human metapneumovirus (hMPV)는 하기도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바이러스로 인식되고 있다. 급성 호흡기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 환자들에서의 hMPV의 역학 및 임상적 특징, 그리고 혈액학적 특징 및 hMPV에 감염되지 않은 환자와의 비교, 중복 감염등을 통해 hMPV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10년 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급성 호흡기 증상으로 입원한 환아 1,554명의 비인두 흡인을 통해 객담 검체를 채취하여 RT-PCR을 시행 후 hMPV가 검출된 99명의 환아들의 임상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이들의 임상 증상 및 검사 소견을 분석 비교 하였다. 결 과 : 1,554명 중 1,004명(64.6%)에서 호흡기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그 중 hMPV가 양성인 환자는 99명으로 양성 검체의 9.8%였다. hMPV에 감염된 환자의 평균 연령은 25.0개월이었으며 해마다 유행 정도는 다르나 4월부터 6월에 주로 발현하였으며 발열기간이 다른 바이러스 보다 길고 호흡기 증중을 보였으며, 천명(wheezing)이 특징적 임상 증상이었다. 진단으로 폐렴이 가장 많았지만, 12개월 이하의 연령군에서는 모세기관지염이 가장 흔하였다. 혈액학적 검사소견은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RP (C-reactive protein) 모두 hMPV에 감염된 환자군에서 정상 범위 보다 상승된 소견을 보였다. hMPV의 단독 감염과 중복 감염을 비교해 보았을 때 임상증상 및 혈액 검사 소견에서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hMPV는 폐렴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바이러스이며 13개월 이상부터 48개월 이하의 연령에서 호발하며 평균 연령은 25개월이며 4월에서 6월까지 유행하는 양상을 보였다. 천명이 임상적 특징이며, hMPV에 대하여 우리나라에서의 보고는 점차 증가되고 있으나 아직은 생물학적, 유전학적 특징과 관련된 임상 분석이 더 필요하다.

  • PDF

Recurrent Neuro-Sweet Disease Associated with Preceding Upper Respiratory Infection: a Case Study

  • Suh, Hie Bum;Kim, Hak Ji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2권3호
    • /
    • pp.187-193
    • /
    • 2018
  • Sweet's syndrome also known as acute neutrophilic dermatosis is a multisystem inflammatory disorder characterized by fever, malaise, leukocytosis, and skin lesions. Sweet's syndrome affects multiple organs though only rarely does it affect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when it does it is called Neuro-Sweet disease (NSD). We report on a case study of a biopsy-proven NSD in a 50 year old man. Seri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howed repeated CNS involvement of Sweet's syndrome after a respiratory tract infection preceded it. On the MRI, T2 hyperintense lesions occurred at multiple sites and disappeared after steroid therapy.

바이러스성 하기도 감염 환자에서 간기능 이상과 중증도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relation between elev ated transaminase lev el and severity of viral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 이철희;신선희;이정원;성태정;김성구;이규만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1호
    • /
    • pp.47-54
    • /
    • 2007
  • 목 적 : 소아의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하기도 감염시간기능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바이러스성 하기도 감염시 간기능 이상이 질병의 중증도에 미치는 영향과 원인 바이러스, 연령별 분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3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급성 하기도 감염으로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들의 비인두 분비물을 Hep-2세포를 이용하여 배양하였으며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비말 흡인 검사를 통한 바이러스 배양검사에서 양성결과가 나온 환아를 환자군(AST 혹은 ALT >45)과 대조군(AST 혹은 ALT ${\leq}45$)으로 나누어 연령, 성별, 진단명, 발열 기간, RR(Respiratory Rate)점수, RDAI(Respiratory Distress Assessment Instrument)점수, 산소흡입 여부, 입원 기간 등과 원인바이러스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바이러스가 검출된 181례 중에서 기저 질환이 동반되거나 간독성 약제를 복용한 16례는 제외되었고, 환자군이 28례(17.0%), 대조군이 137례(83.0%)였다.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연령, 성별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발열 기간, RR score, RDAI score, 산소흡입 여부, 입원 기간 등의 임상양상에서 유의한 차이점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바이러스 배양 결과 환자군에서는 RSV 17례(60.7%), parainfluenza virus 4례(14.3%), influenza B virus 4례(14.3%), adenovirus 3례(10.7%), influenza A virus 1례(3.6%)였고 대조군에서는 RSV 78례(56.9%) parainfluenza virus 28례(20.4%), influenza A virus 13례(9.5%), influenza B virus 9례(6.6%), adenovirus 6례(4.4%), coxsackie virus 3례(2.2%)로 양 군 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며 연령별 분포에서도 양 군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으로 진단된 환아 165례 중 환자군이 28례(17.0%)였고 대조군과의 비교 분석 결과 간기능 이상이 병의 중증도와 임상양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원인 바이러스와 연령별분포 경향에서도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급성 호흡기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에서 분리된 보카바이러스의 계통분석 (Phylogenetic Analysis of Human Bocavirus in Hospitalized Children with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Korea)

  • 안종균;최성열;김동수;김기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2호
    • /
    • pp.71-78
    • /
    • 2012
  • 목적: 보카바이러스는 2005년 소아의 비인두 흡입물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호흡기 바이러스로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발견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보카바이러스 호흡기 감염증이 보고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을 이용한 보카바이러스의 분리 및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2010년 국내에서 유행하였던 보카바이러스의 계통 및 유전적 변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세브란스 어린이병원에 하기도 감염증으로 입원한 소아에서 비인두 흡입 검체를 채취하였다. 다중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하여 12종의 바이러스에 대한 분자진단이 이루어졌고 이 중 보카바이러스 양성인 검체에 대하여 보카바이러스 1-4형에 특이적인 VP1/2 유전자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하는 시발체를 이용한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시행하여 얻은 증폭산물의 염기서열분석을 확인하여 계통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953명의 소아 중 141명(14.8%)에서 보카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61.7%에서 다른 바이러스와의 중복감염을 보였다. 염기서열분석 결과 모두 보카바이러스 1형으로 확인되었고 보카바이러스 2, 3, 4형은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모든 보카바이러스의 염기서열들은 98% 이상의 염기유사도를 보였다. 결론: 2010년 국내에서 유행한 보카바이러스 호흡기 감염은 유전학적으로 모두 보카바이러스 1형에 의한 것이었고, 동정된 균주들은 높은 염기유사도를 보였다. 아직까지 국내에서 보카바이러스의 변이는 미미한 상태이지만 향후 보카바이러스 호흡기 감염의 유행시 지속적인 유전자형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 PDF

마황윤폐양(麻黃潤肺揚)과 Ciprofloxacin의 병용투여(倂用投與)가 Klebsiella pneumoniae 호흡기(呼吸器) 감양(感梁)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n Vivo Synergism of Mawhangyounpye-tang and Ciprofloxacin against Klebsiella pneumoniae Respiratory Infections)

  • 김종대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1-179
    • /
    • 2005
  • Objectives & Methods : In order to evaluate the in vivo synergic effect of Mawhangyounpye-tang which was a traditional poly-herbal formula has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in Korea, with quinolone antibiotic, ciprofloxacin (CPFX), the viable bacterial number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monitored after experimental respiratory infection with Klebsiella peumoniae NCTC 9632. Results :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CPFX group, the viable bacterial number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se were more dramatical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single treatment with CPFX, respectively in concomitant treated groups with Mawhangyounpye-tang. 2. In control group, sever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hemorrhage and hypertrophy of alveolar linings were demonstrated at microscopical levels. However, these abnormal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in CPFX group, and these were more dramatical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single treatment with CPFX, respectively in concomitant treated groups with Mawhangyounpye-tang. 3. In CPFX group, the LSA (luminal surface of alveoli %)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se were more dramatical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single treatment with CPFX, respectively in concomitant treated groups with Mawhangyounpye-tang. Conclusions : It is considered that in vivo antibacterial activity of CPFX was dramatically increased by concomitant use of Mawhangyounpye-tang against Kebsiella pneumoniae NCTC 9632 infection of respiratory tract.

  • PDF

포스트 코로나 시기 농촌 거주 노인의 호흡기감염 예방 프로그램 개발: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대상 델파이 기법 (Development of a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Program for the Rural Elderly in the Post COVID-19 Era: A Study Using Delphi Method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 권명순;유정순;장지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17-430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program for the rural elderly in the post-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era. Methods: The Delphi method was used to validat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and one individual interview were conducted on four subjects and 16 categories with nine experts. Content validity was calculated using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CV). Results: This study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xisting program components, such as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characteristics, cough etiquette, correct hand washing, oral hygiene, correct tooth brushing, and exercise by walking. The study comprised 28 categories covering seven subjects, including the provis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COVID-19,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and exercise training for immunity enhancement. Conclusion: This Delphi study examined the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program that was redesigned for the post-COVID-19 era and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rogram can be used practically for the prevention of respiratory infection among the rural elderly.

급성 호흡기 감염증 소아에서 Human metapneumovirus 감염의 임상 양상 (Clinical features of human metapneumovirus infection in children with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 이재숙;서현주;우정주;장성희;이진아;송미옥;박화영;안영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1호
    • /
    • pp.75-82
    • /
    • 2007
  • 목 적 : hMPV는 paramyxovirus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 2001년 van den Hoogen 등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늦은 겨울이나 이른 봄에 영아와 노인에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에서의 보고는 많지 않다. 최근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환아들에서 hMPV를 확인한 바 있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방 법 : 2004년 10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을지병원, 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 소아과에 호흡기 증상을 주소로 방문한 443명의 비인두 흡인물에서 hMPV RT-PCR을 시행하였고, 양성인 15명의 임상 양상과 검사 소견을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443명 중 15명에서 hMPV PCR 양성을 보여 양성율은 3.4%이었다. 남아가 7명, 여아가 8명이었고 연령은 1개월에서 62개월(정중값 31.5개월)이었다. 이중 24개월 미만의 환아가 53.3%(8/15)이었다. 진단명은 폐렴 9명, 모세기관지염 3명, 상기도염 2명, 후두염 1명이었다. 그 중 1명에서 천식이 있었고 나머지 환아에서는 기왕력이 없었다. 임상 증상으로는 기침이 15명(100%)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열감 12명(80%), 콧물 10명(67%), 구토 4명(27%), 호흡 곤란 4명(27%), 설사 3명(20%), 발진 1명(7%)이 있었다. 신체 검진 상 인두 발적이 가장 흔하게 보이는 소견이었으며 나음 6례, 흉부 함몰 4례, 빈호흡 2례, 천명 2례, 천음 1례가 관찰되었다. 말초 혈액 검사만으로 hMPV 감염을 시사하는 특징적인 소견은 없었다. 15명 중 2명에서 아데노바이러스와 중복감염이 있었다. 평균 발열 기간은 $4.9{\pm}2.8$일이었으며 입원 치료를 하였던 13명의 평균 재원 기간은 $5.6{\pm}0.9$일이었고 모두 대증적 치료 후 합병증 없이 증상 호전을 보여 퇴원하였다. 결 론 : hMPV는 상기도 및 하기도 호흡기 감염의 중요 원인 바이러스 중 하나로 생각되며 우리나라에서의 임상적, 역학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Case of Segniliparus rugosus Pulmonary Infection in an Immunocompetent Patient with Non-cystic Fibrosis

  • Lee, Jung Yeon;Chon, Gyu Rak;Jung, Tae-Young;Sung, Heungsup;Shim, Tae Sun;Jo, Kyung-Woo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7권5호
    • /
    • pp.227-229
    • /
    • 2014
  • Segniliparus species is a novel genus that is reported to be the new emerging respiratory pathogens. Here, we report a very rare case of S. rugosus pulmonary infection in an immunocompetent patient with non-cystic fibrosis. The organism was identified by 16S rRNA gene sequencing.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antibiotics.

2세 이하의 소아에서 respiratory syncytial virus의 항원검사에 양성인 하기도 감염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of positive antigen test for respiratory syncytial virus on children under 2 years of age)

  • 정재헌;문경희;이창우;최두영;오연균;윤향석;조지현;김종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4호
    • /
    • pp.394-400
    • /
    • 2006
  • 목 적 : 세기관지염은 영유아에서 흔한 하기도 감염이며 RSV 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 바이러스다. 그러나 RSV 감염에 대한 능동면역을 이용한 예방은 아직 이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임상고찰은 최근 5년 동안 2세 이하의 어린이에서 RSV 감염에 의한 세기관지염의 임상양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원광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가운데 생후 24개월 미만이며 하부호흡기 감염의 증거가 있는 환아 513명 중 비강 분비물에서 RSV 항원 양성인 소아 127명을 대상으로 하여 흉부 X-선, 임상양상과 기본 혈액검사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년간 각 연도별 발생은 2001년에 43례(34%)로 가장 많은 발생을 보였다. 5년 통산 월별 발병은 11월에 37례(29%)로 가장 많았고 매년 늦가을부터 겨울철에 발병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주요 임상소견은 기침이 120례(94%)에서 나타났고 수포음은 78례(61%)에서 청진되었고 호흡곤란과 천명은 각각 27례(21%), 21례(17%)에서 관찰되어 수포음의 청진이 하기도 감염의 주요 소견이었다. 가장 흔한 흉부 X-선 소견은 폐의 과도한 공기음영이었고 110례(87%)에서 관찰되었다. 122례에서 합병증없이 회복되었으나 5례에서 2일간 기계적인 인공호흡 치료가 필요하여 고위험군에 속하는 환아의 집중관리가 요구된다. 결 론 : 5년간 입원환자로 본 RSV에 의한 하부호흡기 감염은 늦가을과 겨울철에 발병이 많았지만 일년내내 하기도 감염 환아가 발생하였으며, RSV 감염으로 주로 고위험군 소아에서 중한 경과를 취하는 경우가 있어서 RSV 호흡기 감염에 대한 인구를 기초로 한 감시체계와 범국가적인 체계적 조사로 유병률 및 유행에 대한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황윤폐탕과 ciprofloxacin의 병용투여가 Streptococcus pneumoniae 호흡기감염에 대한 항균력에 미치는 영향 (Investigation of in vivo Synergism of Mawhangyounpye-tang, a Poly-herbal Formula and Ciprof1oxacin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Respiratory Infection)

  • 안태호;송광규;전귀옥;서영호;조동희;박미연;최해윤;김종대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24
    • /
    • 2005
  • Objectives & methods; In order to evaluate the in vivo synergic effect of Mawhangyounpye-tang, a traditional poly-herbal formula used in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in Korea, with the quinolone antibiotic ciprofloxacin (CPFX), the viable bacterial number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monitored after experimental respiratory infection with Streptococcus Pneumoniae ATCC 6303. Results: 1. In CPFX groups, the viable bacterial number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were even more dramatically decreased in concomitant group treated with Mawhangyounpye-tang. 2. In the control group, sever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hemorrhage and hypertrophy of alveolar linings were demonstrated at microscopic levels. However, these abnormal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CPFX groups, and were even more dramatically decreased in concomitant groups treated with Mawhangyounpye-tang. 3. In CPFX groups, the LSA (Iuminal surface of alveoli $\%$)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more dramatically in concomitant groups treated with Mawhangyounpye-tang. Conclusions: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in vivo antibacterial activity of CPFX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ATCC 6303 infection of respiratory tract was dramatically increased by concomitant use of Mawhangyounpye-ta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