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l Phenol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발포제 종류에 따른 페놀 폼의 물성 연구 (Effect of Blowing Agents on Properties of Phenolic Foam)

  • 장서윤;김상범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0-3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LNG나 LPG등과 같은 초저온용 단열재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레졸형 페놀수지를 사용하여 페놀 폼을 합성하였다. 페놀 수지 발포 폼을 합성하기 위해 HCFC-141b, HFC-365mfc와 HFC-227fa의 혼합물, n-pentane, cyclopentane, n-hexane 및 cyclohexane을 발포제로 사용하여 발포제에 따른 페놀수지 폼의 물성변화를 고찰하였다. 발포제로 cyclohexane을 사용하였을때 가장 우수한 단열성능과 압축강도를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발포제를 사용하여 합성한 폴리우레탄 폼과의 내열성을 비교한 결과 폴리우레탄 폼에 비해 매우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내었다.

철도차량용 레졸계 페놀수지의 내열특성 비교 (Fire Characteristics Comparison of Resol-type Phenolic Resin for Interial Materials of Passenger Train)

  • 이철규;이덕희;정우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7-283
    • /
    • 2004
  • The time to ignition, heat release rate characteristics and carbon monoxide yield of fiber reinforced and sandwich phenol resin were investigated with cone calorimeter. The fire characteristics of unsaturated polyester, mostly being applied to the existing passenger train, and phenolic resin were compared. Thermal gravimetric analysis(TGA) was used to monitor the degree of thermal decomposition for the phenolic resin. According to the cone calorimeter data, the time to ignition, heat release rate and CO yield was faster and higher as the external heat flux increase. Under the same heat flux, the time to ignition of sandwich type phenolic resin was shorter than that of fiber reinforced.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unsaturated polyester and phenolic resin was that phenolic resin was shown to have better fire resistance than that of unsaturated polyester.

  • PDF

수용성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열안정성 및 경화거동 (Thermal Stability and Cure Behavior of Waterborne Phenol-Formaldehyde Resin)

  • 윤성봉;김진우;조동환
    • 접착 및 계면
    • /
    • 제7권1호
    • /
    • pp.16-2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페놀수지 SMC 제조에 사용되는 수용성 레졸형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열안정성과 경화 발열반응 피크의 변화에 미치는 경화온도 및 경화시간의 영향을 열중량분석기와 시차주사열량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용성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중량감소는 주로 $200^{\circ}C,\;400^{\circ}C$ 그리고 $500^{\circ}C$ 부근에서 세 단계로 발생하였다. 경화된 수지의 $750^{\circ}C$에서 탄화수율은 약 62%~65%이었다. 수용성 페놀수지의 열안정성은 경화온도와 경화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경화시 발열반응은 약 $120^{\circ}C{\sim}190^{\circ}C$ 사이에서 진행되며, 발열피크의 최대점은 약 $165^{\circ}C{\sim}170^{\circ}C$ 사이에서 관찰되었다. 발열반응 곡선의 형태와 발열피크의 최대점은 주어진 경화온도와 경화시간에 의존하였다. 경화되지 않은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H_2O$ 및 휘발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경화 또는 성형 전에 적어도 $100^{\circ}C$ 이상에서 약 60분 이상의 열처리가 요구되었다. $130^{\circ}C$에서 120분 동안의 경화는 수용성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발열피크를 사라지게 하며, $180^{\circ}C$에서 60분 동안이 후경화는 수지의 열안정성을 더욱 향상시켜 주었다.

  • PDF

Influence of Pyrolysis Conditions and Type of Resin on the Porosity of Activated Carbon Obtained From Phenolic Resins

  • Agarwal, Damyanti;Lal, Darshan;TripathiN, V.S.;Mathur, G.N.
    • Carbon letters
    • /
    • 제4권2호
    • /
    • pp.57-63
    • /
    • 2003
  • In polymer precursor based activated carbon, the structure of starting material is likely to have profound effect on the surface properties of end product. To investigate this aspect phenolic resins of different types were prepared using phenol, mcresol and formaldehyde as reactants and $Et_3N$ and $NH_4OH$ as catalyst. Out of these resins two resol resins PFR1 and CFR1 (prepared in excess of formaldehyde using $Et_3N$ as catalyst in the basic pH range) were used as raw materials for the preparation of activated carbons by both chemical and physical activation methods. In chemical activation process both the resins gave activated carbons with high surface areas i.e. 2384 and 2895 $m^2/g$, but pore size distribution in PFR1 resin calculated from Horvath-Kawazoe method, contributes mainly in micropore range i.e. 84.1~88.7 volume percent of pores was covered by micropores. Whereas CFR1 resin when activated with KOH for 2h time, a considerable amount (32.8%) of mesopores was introduced in activated carbon prepared. Physical activation with $CO_2$ leads to the formation of activated carbon with a wide range of surface area (503~1119 $m^2/g$) with both of these resins. The maximum pore volume percentage was obtained in 3-20 ${\AA}$ region by physical activation method.

  • PDF

레졸형 구형 페놀입자의 합성에서 반응물의 조성이 입자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actant Composition on the Synthesis of Resole-Type Phenolic Bead)

  • 한동석;김홍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1호
    • /
    • pp.63-67
    • /
    • 2014
  • 페놀-포름알데히드를 이용하여 레졸형 구형 페놀수지 입자를 합성함에 있어 반응물의 조성이 입도분포, 수율 및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산매의 양을 감소시킴에 따라 현탁액의 점도가 증가하며 이로 인해 입도분포의 변화 및 응집 현상의 원인이 됨을 확인하였고, 안정제의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현탁입자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평균입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적정량 이상의 경화제의 사용은 입도분포 및 수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형성된 입자 내부의 격렬한 경화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물분자의 탈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SEM 사진을 통해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