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stance varieties, Susceptible varieties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6초

CHEMICAL COMPONENTS INFLUENCING LODGING RESISTANCE OF RICE PLANT AND ITS STRAW DIGESTIBILITY IN VITRO

  • Hasan, S.;Shimojo, M.;Goto, 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6권1호
    • /
    • pp.41-44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nents of culm that influencing the resistance to lodging and the in vitro digestibility in indica type rice plants. Indica type rice plants with three levels of lodging resistance were used; resistant type (RT), intermediate type (IT) and susceptible type (ST). For each type there were four varieties. Culm length was shorter in RT and longer in ST (98.1 cm vs. 151.8 cm). Silica content in the culm was highest in RT and lowest in ST (11.0% vs. 7.6%).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acid detergent lignin (ADL) between the 3 levels of lodging. For the 12 straw samples, in vitro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IVOM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ilica content (r = -0.664, p<0.05) but ADL had no significant effect (r = -0.454, p>0.05). Digestibility was mo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sum of silica and ADL (r = -0.747, p<0.01) than silica alone. It was concluded that rice plants showed resistance to lodging when the culm was short and its structure was reinforced with larger quantities of silica. However these silicified straws were less digestible.

Evaluation and Verification of Barley Genotypes with Known Genes for Resistance to Barley yellow mosaic virus and Barley mild mosaic virus Under Field Conditions in South Korea

  • Kim, Hong-Sik;Baek, Seong-Bum;Kim, Dea-Wook;Hwang, Jong-Jin;Kim, Si-J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4호
    • /
    • pp.324-332
    • /
    • 2011
  • Soil-borne barley yellow mosaic disease caused by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or Barley mild mosaic virus (BaMMV) gives a serious threat to the winter barley cultivated in the southern regions in Korea. It is important to develop resistant varieties for stable and high-yield produc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22 genotypes of exotic barley germplasms carrying the resistance genes rym1 through rym12, with the exception of rym10, and to determine the genes that confer resistance to BaYMV or BaMMV in Korea. Using the traditional visual scoring of symptoms at 4 locations over 3 years, average disease rate values differed (P < 0.001) among the genotypes. ELISA test revealed the presence of both BaYMV and BaMMV in all of the field sites but Jinju and significantly different rates of infection among genotypes and years. Barley genotypes differed in how virus quantities and pathogen-induced symptoms were correlated, especially in response to BaYMV. Disease incidence was affected by the climatic conditions present during the early growing stage before overwintering. A Chinese landrace, 'Mokusekko 3', carrying rym1 and rym5 was comparatively resistant at all locations studied. The barley genotypes carrying either rym6 or rym9 were susceptible to the viral strains. The genotypes carrying rym5 were resistant in Jinju and Milyang but susceptible in Iksan and Naju. The resistance genes rym2 and rym3 were effective in local strains and would be potent contributors to disease resistance.

벼 품종의 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연구 IV. 발병정도와 수량감소률의 품종간 차이 (Studies on Varietal Resistance to Sheath Blight Disease in Rice IV. Varietal Difference in Disease Severity and Grain Yield Loss)

  • 김광호;이상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4-22
    • /
    • 1989
  •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하여 저항성반응이 다른 품종을 시험하여 병균접종구, 자연구 및 약제방제구를 두어 병 발생에 의한 수량감소률의 품종간 차이를 2년간에 걸쳐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한 품종 중에서 가야벼는 병균접종구나 자연구에서의 발병정도가 가장 낮았으며 태백벼, 관악벼 및 Labelle은 균발생이 심하였고, 약제방제구에서는 병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2. 중반저항성품종인 가야벼는 2년간에 걸쳐 병균접종구 및 자연구에서의 수량감소률이 0.3∼5%로 공시품종 중에서 가장 낮았으며 이병성품종인 태백벼는 6.8∼25.8%로 가장 높았고 관아벼와 Labelle도 각각 10%내외의 수량감소률을 보였다. 3. 시험품종의 저항성정도에 관계없이 동일한 품종내에서 잎집무늬마름병의 병반이 지엽까지 진전된 분얼경에서는 등숙비육과 정조천립중이 감소하여 건전경에 비하여 이삭무게가 25%이상 감소하였다. 4.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하여 상위엽으로의 병반진전이 더디게 되었기 때문에 수량감소율이 낮았다.

  • PDF

연초의 세균성마름병 저항성 유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Bacterial Wilt(Ralstonia solanacearum) in Tobacco(Nicotiana tabacum L.))

  • 정석훈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30
    • /
    • 2000
  • Bacterial wilt(Ralstonia solanacearum) is one of the major diseases of flue-cured tobacco (Nicotiana tabacum L.) in the worl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egree of dominance, selection, and correlation between leaf shape and degree of bacterial wilt resistance in flue-cured tobacco. The degree of disease caused by bacterial wilt was evaluated in parents, F$_1$, F$_2$ and F$_3$ populations of two crosses, BY 4 x NC 95 and BY 4 x Coker 86, in the infected field. The leaf shape index was also measured in parents and F$_2$ population of BY 4 x NC 95. The incidence of bacterial wilt was observed in the middle of June and peaked in late July, when the highest value of pathogen density reached 1.0 x 10$^{6}$ colony forming unit per gram. It was concluded that the inheritance mode of risestance to bacterial wilt in the above two crosses of susceptible and resistant varieties was recessive and polygenic. The resistance to bacterial wil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eaf shape in F2 generation of BY 4 x NC 95. But certain plants having narrower leaves were also resistant to bacterial wilt. It is considered that the bacterial wilt resistant lines having narrower leaves could be selected. The selection for bacterial wilt resistance in the F$_2$ population might be effective.

  • PDF

Characterization of Xanthomonas citri pv. glycines Population Genetics and Virulence in a National Survey of Bacterial Pustule Disease in Korea

  • Kang, In-Jeong;Kim, Kyung Seok;Beattie, Gwyn A.;Chung, Hyunjung;Heu, Sunggi;Hwang, Ing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6호
    • /
    • pp.652-661
    • /
    • 2021
  • Xanthomonas citri pv. glycines (Xcg) is a major pathogen of soybean (Glycine max) in South Korea, despite the availability of soybean varieties with some resistance. We conducted a nationwide survey of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bacterial pustule caused by Xcg. The percentage of infected fields was 7% to 17% between 2015 and 2017. We characterized the diversity of a nationwide collection of 106 Xcg isolates based on avrBs3 banding patterns. The isolates fell into 11 groups, each represented by a type strain; only two of these were similar to isolates collected from 1999 to 2002. The diversity of Xcg strains increased and the dominant strains changed between 1999 and 2017, with three new type strains comprising 44% of the isolates examined in 2012 to 2017. Pathogenicity tests did not show evidence for a shift in the races or aggressiveness of Xcg strains. Korean soybean cultivars, including the widely-grown Daewon cultivar, were susceptible to the 11 new type strains. The cultivar CNS, which carries the rxp resistance gene, was susceptible to most type strains, including two representing 83% of the Korean Xcg strains. In contrast, Williams 82, which also carries rxp, showed resistance to at least five type strain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Williams 82 has resistance loci in addition to rxp.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Xcg, the high virulence of the current endemic strains, and the low resistance of most Korean soybean cultivars collectively favor widespread disease in Korea in years that are favorable to pustule development.

맥류 내습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Wet-injury Resistance of Wheat and Barley Varieties III. Effect of Various Moisture Levels on the Top and Root Growth of Barley Crop)

  • 서형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0-92
    • /
    • 1977
  • 맥류의 생육시기별로 토양수분을 과습과 과건상태로 처리하였을 시 맥류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처리기간중 토양온도는 표준구보다 습구는 0.8~2.1$^{\circ}C$, 건구는 0.5~0.9$^{\circ}C$ 고온으로 각각 경과하였으며 토양산화 천원전위(Eh)는 표준구에 비하여 건구는 차가 없었으나 습구는 현저히 저하하였다. 2. 초장은 습구에서는 근의 생육장해로 전기간을 통하여 생장이 저해되었으며 건구에서도 초기의 생육은 양호하였으나 한발기간이 길수록 양수분 흡수가 불량하여 절간신장기 이후에는 표준구보다 생육이 현저히 떨어졌다. 3. 본 시험에서 습해에 강하였던 품종은 생육초기의 초장이 짧고 경수는 많았으며 초형은 포복형이었으나 습해에 약한 품종은 이와 반대적인 경향이었다. 또 수확기의 수수는 품종간에 대차없었으나 습구와 건구는 표준구보다 적었는데 습구가 가장 적었다. 4. 성숙기의 토양 심도별 발근량은 습해에 강한 품종은 심근성으로 근수는 많았고 총 근장도 길었으나 습해에 약한 품종은 천근성으로 근수도 적고 총근장도 짧았으며 대부분의 뿌리가 표토 부근에서 사면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또 표준구보다 습구와 건구에서는 근수도 적고 근장도 짧았는데 특히 건구 뿌리의 대부분은 표토 부근에서 사면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또 표준구보다 습구와 건구에서는 근수도 적고 근장도 짧았는데 특히 건구 뿌리의 대부분은 표토 부근에 분포되어 있었다. 그리고 근태는 습해에 강한 품종이 약한 품종보다 굵고 표준구보다 건구의 뿌리가 가는 경향이었다. 본 시험에서 초형이 포복형인 뿌리는 심근으로 습해에는 강하였고 직립형인 뿌리는 천근성으로 습해에는 약한 경향이었다. 5. 근의 생리적 활력은 어느 시기에서나 습해에 강한 품종이 약한 품종보다 높았고 처리별로는 표준구가 높고 과습 과건순으로 낮았으며 유수형성기에 생리적 활력이 높은 품종은 초장이 짧은 반면 경수는 많았고 절간신장기 및 수잉기에 습구와 건구는 표준구보다 근의 생리적 활력이 낮아 간장은 짧고 경수는 적었다. 6. 유수형성기와 수잉기에 있어서 습해에 강한 품종은 약한 품종보다 생리적 활력이 높아 총근수는 많고 근장은 길었다. 또 어느 시기에서나 표준구보다 습구와 건구가 생리적 활력의 저하로 근수는 적고 근장은 짧았다. 7. 수량은 수수 수당입수 천립중등 수량구성요소의 감소로 표준구보다 습구와 건구가 감수되었으며 습구에서는 담수회수가 많을수록 감수율은 현저하였는데 그 피해정도는 습해에 약한 품종일수록 강한 품종보다 더욱 심하였다. 또 습구와 건구간의 수량 감수율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습구에서 수량감수율이 적은 품종은 건구에서도 적은 경향이였다. 한편 표준구에 비하여 습구의 수량감수가 심한 시기는 절간신장기였고 건구의 수량감수가 심한 시기는 수잉기였다.

  • PDF

Development of a SNP marker set related to crown gall disease in grapevines by a genome wide association study

  • Kim, Dae-Gyu;Jang, Hyun A;Lim, Dong Jun;Hur, Youn Young;Lee, Kyo-Sang;Min, Jiyoung;Oh, Sang-Ke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3호
    • /
    • pp.693-705
    • /
    • 2020
  • Grapes (Vitis spp. L.) are the third most produced fruit in the world. Crown gall disease caused by Agrobacterium vitis forms galls in the stems of the grapevines and reduces the vitality of the fruit trees, resulting in reduced yields. This pathogen has occurred in vineyards worldwide and caused serious economic losses. It is a soil-borne disease, so Agrobacterium vitis can survive for several years in vineyards and is difficult to control. Additionally, since there is no effective chemical control method, the most effective control method is the breeding of resistant varieties. To make the resistant variety, marker-assisted selection (MAS) enables fast breeding with low cost. In this study, we applied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by combining phenotyping and genotyping-by-sequencing (GBS), for the development of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 set related to crown gall disease using 350 grapevine varieties. As a result of the GBS based genotyping analysis, about 58,635 SNPs were obtained. In addition, the phenotypic analysis showed 35.2% resistance, 73% moderate susceptibility and 16.4% highly susceptibility. Moreover, after confirmation, two genes (VvARF4 and VvATL6-like) were shown to be related to crown gall disease based on the results of GWAS analysis, using the phenotypic data, and GBS. High-resolution melting analysis (HRMA) was performed using the Luna® Universal Probe with real-time PCR to distinguish the melting peaks of the resistant and susceptible varieties. Our data show that these SNP markers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evaluating resistance against grapevine crown gall disease and in breeding.

P-32를 이용한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 저항성 검정법에 관한 연구 (Feasibility in Differentiation of Resistance of Rice Varieties to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using Radisoisotope (P-32) Tracer-Technique)

  • 정규회;권신한;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7-211
    • /
    • 1981
  • 수도 주요해충 벼멸구의 내충성품종선별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방사성동위원소 P-32를 이용한 섭식량과 식이선호성과의 관계를 조사중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식이선호에 의한 벼멸구의 선호도와 P-32 섭식량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2. $ 2\~3$엽기 수도유묘를 표식할 때는 P-32의 비방사능이 $0.1{\mu}Ci/cc$가 되게 하고 처리방법은 근부를 24시간 이상 침적시킨 후 공시충은 48시간 흡즙시키는 것이 품종간차이를 비교하기 용역하였다. 3. 내충성 검정시 공시충은 성충을 이용하고 웅충보다 자충을 이용하는 것이 흡즙량의 차이가 커서 비교하기가 편리하였다.

  • PDF

풋고추 접목시스템에서 Tobamovirus 감염에 의한 접수 고사 (Cause of the Scion Death in Green Pepper Grafting System by a Tobamovirus)

  • 최국선;조점덕;정봉남;조인숙;최승국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191-195
    • /
    • 2011
  • 풋고추 접목시스템에서 접수 부위의 고사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고추 접목묘의 대목부위에서는 Tobamovirus 입자가 검출되었지만 괴사 증상이 나타난 접수 부위에서는 이 바이러스 입자를 검경할 수 없었다. 대목 부위에서 분리한 바이러스는 염기서열분석 및 기주식물의 반응으로 고추약한모틀바이러스(Pepper mild mottle virus, PMMoV)로 동정되었고, 고추 Tobamovirus pathotype P1.2(PMMoV-2)이었다. PMMoV-2는 고추 접목묘에서 대목으로 이용되고 있는 6 시판 대목 품종에 전신감염되었고, 고추 품종 롱그린맛과 대찬고추에서는 단지 접종엽에만 국부병반인 저항성 반응, 마니따에서는 전신감염을 나타냈다. 고추 대목에 롱그린맛 또는 대찬고추를 접목한 다음, PMMoV-2를 대목의 자엽에 접종하면 7일 후부터 접수의 잎에 엽맥괴사 및 시듦 증상이 나타나면서 결국 접수만 고사되었다. 이 접목시스템에서 바이러스 입자는 접수에서는 검경되지 않았으나 대목에서는 검경되었다. 그러나 PMMoV-2에 감수성 품종인 마니따를 접수로 사용한 접목시스템에서는 접수의 잎에 약한 모틀 증상이 발현되었으나 고사는 되지 않았다. Tobamovirus pathotype P1.2.3인 분리주 PMMoV-3는 이들 고추 접목 시스템에서 사용된 모든 대목과 접수에 전신감염이 되었고, 접수에 고사를 일으키지 않았다. 따라서 풋고추 접목묘에서 접수의 고사 원인은 tobamovirus pathotype P1.2에 감수성 고추 대목과 저항성 고추 접수로 조합된 접목 시스템에서 이 바이러스가 대목에 감염되었을 경우이었다.

점접종원으로부터 벼 도열병 확산의 경사 (Disease Dispersal Gradients of Rice Blast from a Point Source)

  • 김충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1-136
    • /
    • 1987
  • 벼 품종 Brazos와 M-201의 도열병에 대한 단위시간당 감염속도와 점접종원으로 부터의 단위 거리당 확산경사는 밭논과 물논의 두 재배조건에 따라 크게 달랐다. 물논재배는 도열병의 감염속도를 늦추고 확산경사를 완만하게 하였다. 점접종원으로부터 거리별로 4지점에서 측정된 도열병의 감염속도는 거리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지만 점접종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빨라지는 경향이었다. 품종별 감염속도는 Brazos보다 더 이병성인 M-201 품종에서 높았고 확산경사도 M-201 품종에서 가파른 경향이었다. 그러나 도열병이 진전함에 따라 생성된 이차전염원 때문에 도열병 확산경사는 두 품종에서 모두 완만해졌다. 조사된 확산형사의 두 경험적 모델 중에서 Kiyosawa와 Shiyomi 모델이 Gregory 모델에 비하여 통계적 적합성이 높았다. 밭상태에서 단위시간당 도열병 isopaths 이동거리는 Brazos와 M-201 품종에서 각각 0.2m/일와 0.4m/일로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 도열병에 대한 품종저항성의 차이는 감염속도뿐만 아니라 확산경사의 측정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