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survey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33초

소화약제 잔류물질에 대한 공기 중 노출평가 사례 (Example of Air Exposure Assessment for Fire Extinguishing Agent Residues)

  • 임대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4-17
    • /
    • 2024
  • Objectives: This is a case of air exposure assessment conducted after researchers complained of headaches and odor due to residual substances from fire extinguishing agents spread throughout the laboratory due to a malfunc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Methods: A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sidual substances of a fire extinguishing agent spread in a laboratory using Py-GC-MS (pyrolysis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at the research institute's own central equipment research center. As a result of the component analysis, several types of substances were detected. Among these, five types of substances subject to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in the aromatic hydrocarbon series, which can affect headaches and odor, were selected as substances subject to exposure assessment in the air, and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methods of the target substance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KOSHA Guide for each substance. Conclusions: The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all 5 types of substances were not detected at locations A, B, and C. This i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the residual substances i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being measured when approximately two months had elapsed after being exposed to the test bench, and the substances already exposed had volatilized and disappeared. In this survey, it is believed that the measurement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the measurement results.

온천공에 대한 일일 적정양수량 및 영향평가 (The Evaluations of Daily Safe Yield and Influence of Hot Spring Wells)

  • 이철우;문상호;김형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4호
    • /
    • pp.41-47
    • /
    • 2006
  • 온천공에 대한 일일 적정양수량 및 영향평가는 온천법에서 지정된 온천전문기관이 수행하여야 하는 중요한 조사 항목이다. 온천전문조사는 1996년 이전까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수행하였으나, 2006년 현재에는 8개 온천전문기관이 온천법에 등록되어 있어 일관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온천법 및 온천업무처리지침에서 규정된 사항을 사례적용하는 방법을 통해서 온천전문기관 및 관련 업체에서 온천조사시 동일한 해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적정양수량 산출시 온천공은 양수후 수위회복이 느린 것이 많아 수위회복시간이 고려되었다. 따라서 단계양수시험후 수위회복이 상대적으로 느린 온천공은 적정양수량이 감소하게 된다. 온천공간 영향평가는 2개 이상 온천공사이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것으로서, 신규공에서 양수시험을 실시하고 주위 공들에서의 수위강하를 관측하여 온천공간 영향의 정도를 평가하고 있다.

Surface photometry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nearby dwarf galaxies

  • Seo, Mira;Ann, Hong Bae
    • 천문학회보
    • /
    • 제40권1호
    • /
    • pp.74.3-74.3
    • /
    • 2015
  • We present 2D- photometric decompositions of ~1,200 nearby dwarf galaxies. Our representative sample is derived from 'A catalog of Visually classified galaxies in the Local Universe'(Ann, Seo and Ha APJS,,,2015) of which galaxy morphological types are determined by visual inspection of color images using the Sloan Digital Sky Survey data release 7. In this catalog, dwarf galaxies were divided into 5 subtypes : dS0, dE, dSph, dEbc, dEblue with distinction of the presence of nucleation in dE, dSph, and dS0. The dSph types are less brighter than other types, and galaxies with nuclei are slightly brighter than those with no nuclei in the same types. Sersic index n have a range 1~1.5, and $dE_{un}$ and $dSph_{un}$ galaxies have n less than 1, and $dSph_n$ galaxies have largest values. We performed two-dimensional decomposition of galaxies using GALFIT, and analyzed their structural components, and residual features which are seen in the residual image.

  • PDF

포항지역 신생대 제3기 미고결 퇴적층의 암반분류 (Rock Mass Classification of Tertiary Unconsolidated Sedimentary Rocks In Pohang Area)

  • 김성욱;최은경;이융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999-1008
    • /
    • 2009
  • A series of sedimentary rocks which are formed in the Tertiary are distributed around Samcheok(Samcheok-Pukpyoung basin), Younghae(Younghae basin), Pohang(Pohang basin), Gyeongju(Yangnam basin), Ulsan(Ulsan basin), Jeju(Seogyuipo formation)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concerned with geological, geophysical, geotechnical properties of the unconsolidated rocks in the Pohang area. A consolidated rocks are classified as hard rock - soft rock - weathered rock - residual soil follows in degree of weathering. But unconsolidated rocks has soil properties as well as rock's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field excursion, boring, borehole-logging, rock testing, geophysical survey, laboratory test are soft rock range, but the durability of the rock until the residual soil from the weathered rock. We accomplished the rock mass classification of the unconsolidated rocks.

  • PDF

Research on Damage Identification of Buried Pipeline Based on Fiber Optic Vibration Signal

  • Weihong Lin;Wei Peng;Yong Kong;Zimin Shen;Yuzhou Du;Leihong Zhang;Dawei Zhang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7권5호
    • /
    • pp.511-517
    • /
    • 2023
  • Pipelines play an important role in urban water supply and drainage, oil and gas transmission, etc. This paper presents a technique for pattern recognition of fiber optic vibration signals collected by a distributed vibration sensing (DVS) system using a deep learning residual network (ResNet). The optical fiber is laid on the pipeline, and the signal is collected by the DVS system and converted into a 64 × 64 single-channel grayscale image. The grayscale image is input into the ResNet to extract features, and finally the K-nearest-neighbors (KNN) algorithm is used to achieve the classification and recognition of pipeline damage.

GRACE자료를 이용한 동아시아의 중력특성 (Gravity Characteristics on the Eastern Asia by using GRACE Data)

  • 유상훈;민경덕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3호
    • /
    • pp.299-304
    • /
    • 2005
  • GRACE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지오이드와 중력이상을 계산하였다. 지오이드의 기복은 중국 내륙에서 한반도를 거쳐 태평양쪽으로 갈수록 음에서 양으로 -60 m에서 60m로의 변화가 나타난다 중력이 상은 섭입대에서의 특징적인 -100 mgal 이하의 저이상대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60\~60\;mgal$의 분포를 보이며, 북한 지역의 백두산과 개마고원, 남한지역의 태백산맥에서 고이상이, 동해의 울릉분지, 일본분지, 야마토 분지에서 저이상이 관찰된다. 지각 성분만을 고려하기 위한 방법으로 구면조화분석시 degree 10이하의 광역성분을 제거하여 잔여이상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잔여이상에서 한반도 육상 북부 산간 지역과 경상분지 일대에서 고이상이 보이고, 한반도 주변 해상지역의 서한만 분지와 남한 군산분지, 제주분지, 울릉분지 등지에서 저이상대가 관찰된다. 육상지역과 해상지역에서 계산된 잔여이상과 degree별 분리된 이상대의 분포는 지하 지질 규모 및 심도별 분포와 관련하여 대규모 지구조를 규명하거나, 나아가 지하자원 탐사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GRAVITY STUDY OF THE TRIASSIC VALLEY IN SOUTHERN CONNECTICUT

  • Chang, Chung Chin
    • 자원환경지질
    • /
    • 제2권2호
    • /
    • pp.1-35
    • /
    • 1969
  • 미합중국(美合衆國) Connecticut의 Triassic 기분지(紀盆地)에 대하여 중력탐사방법(重力探査方法)에 의(依)한 지하지질구조(地下地質構造) 및 퇴적과정(堆積過程)을 규명하였다. 총측점수(總測點數) 약(約) 800 점(點)에 대한 중력측정치(重力測定値)를 Bouguer 방법(方法)에 의(依)한 Bouguer 중력이상도(重力異常圖)를 작성(作成)하였으며 7개(七個) 중력단면도(重力斷面圖)를 선정(選定)하여 지하지질구조(地下地質構造)에 대한 정량적(定量的) 해석(解析)을 가(加)하였다. 잔류중력이상치(殘留重力異常値)(Residual gravity anomaly)를 계산(計算)하기 위하여 (1) "Grid-residual" 방법과 (2) "Profile smoothing" 방법을 적용하였던바 본지역(本地域)의 지질구조(地質構造)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Profile smoothing" 방법이 적합함이 증명되었다. 지질적(地質的) 증거(證據)와 잔류중력(殘留重力) 이상치(異常値)의 정량적(定量的) 해석(解析)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을 수 있다. (1) Triassic 분지(盆地)의 최탐부(最探部)는 지질학적(地質學的)으로 추정(推定)된 것과는 달리 분지(盆地)의 중앙부(中央部)에 위치(位置)한다. (2) Triassic 분지(盆地)는 연속적(連續的) 계단식(階斷式) 단층(斷層)에 의(依)하여 형성(形成)되었다. (3) 퇴적암층(堆積岩層)에 협재(挾在)되어있는 현무암층(玄武岩層)과 현무암질암맥(玄武岩質岩脈)의 근원(根源)이라고 추정되는 고밀도(高密度)의 암체(岩體)가 Chesire 지역(地域)과 Gaillard 지역(地域) 지하(地下)에 부존(賦存)한다. (5) Triassic 분지(盆地)의 반저(盤底)는 지질적(地質的) 추산(推算)과는 달리 분지(盆地)의 중앙부(中央部)가 동부경계단층부(東部境界斷層部)(Eastern Border Fault)하부(下部)보다 약 7,000 feet 깊은것으로 판단(判斷)된다. (5) 퇴적암층(堆積岩層)의 동경(東頃)은 본분지(本盆地)에 퇴적(堆積)이 완료(完了)된 후 분지(盆地)의 서경부(西境部)(Western Border)에 융기의 축(軸)이 있었기 때문이다. (6) Triassic 분지(盆地)의 지각후(地殼厚)("Moho"까지이 깊이)는 약 14 mi1e이며 동부(東部)및서부고지대(西部高地帶)(Eastern and Western Highlands)는 각각 20 mile 및 19 mile이다.

  • PDF

표본조사에서 일반회귀 추정량의 활용 (General Regression Estimators in Survey Sampling)

  • 김규성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5권2호
    • /
    • pp.49-70
    • /
    • 2004
  • 표본조사에서 사용 가능한 보조변수가 있는 경우에 추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보조변수를 활용하는 방법이 다각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이 논문은 보조변수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방법 중의 하나인 일반회귀추정량에 대한 개괄적인 고찰이다. 일반회귀추정량의 출현부터 분산추정법의 제안까지 이론전개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보정추정량 및 QR추정량과의 관련성을 통하여 일반회귀추정량의 성질을 알아보았다. 특히 분산추정에서 통상적인 설계기반 분산추정량이 가지는 조건부 성질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가중잔차기법을 사용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층화표집이나 집략표집과 같은 복합설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일반회귀추정량의 형태를 소개하였고, 마지막으로 일반회귀추정량의 장단점, 그리고 향후 이론적인 발전방향 및 실용적인 발전방향을 언급하였다.

  • PDF

RECOVERY TYPE A POSTERIORI ERROR ESTIMATES IN FINITE ELEMENT METHODS

  • Zhang, Zhimin;Yan, Ningning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8권2호
    • /
    • pp.327-343
    • /
    • 2001
  • This is a survey article on finite element a posteriori error estimates with an emphasize on gradient recovery type error estimators. As an example, the error estimator based on the ZZ patch recovery technique will be discussed in some detail.

Septal deviation correction methods and surgical considerations in turbinoplasty

  • Kang, Eun Taek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7권6호
    • /
    • pp.522-527
    • /
    • 2020
  • Nasal septoplasty is often required to correct a cosmetic deformity, which is a common reason for patients to present to a plastic surgeon. If nasal septoplasty is insufficient, a residual deformity or nasal obstruction may remain after surgery. Even if the nasal septum is correct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nasal congestion could be exacerbated if the turbinate on the other side is not also corrected. Therefore, appropriate treatment is required based on the condition of the turbinates. Herein, we survey recent trends in treatment and review previous research papers on turbinoplasty procedures that can be performed alongside nasal septopl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