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Stress Por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흙-토목섬유 Interface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il-Geotextile Interface)

  • 고홍석;고남영;홍순영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2-93
    • /
    • 1991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soil-geotextile interaction needs to he addressed in addition to the usual tensile and modulus properties when the geotextile is being designed for a specific application. The soil-geotextile interaction can be directly assessed by standard direct shear test. The data presented here show that the shear strength paramaters describing the soil-geotextile interface can he greatly influenced by the type of the geotextile. In this investigation, we examined nine different geotextiles of varying construction and surface textures with two standard soil, under five loading conditions, and compared the shear strength and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corresponding values of soil itself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ed from this study. 1. The shear stress-strain curve shows that there are the residual shear stresses at the soil-geotextile interface. Because of the hydraulic gradient between the soil and the geotextile, the excessive pore water can migrate into the geotextile and among the filaments and dissipate through the soil-geotextile interface. 2. The shear strength of the soil-geotextile interface is affected by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At moisture content lower than the optimum water content of the Proctor compaction test, the shear strength of the soil-geotextile interface is greater. 3. The type and surface roughness of the geotextile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terface friction angle between the soil and the geotextile.

  • PDF

성토체 및 모래매트의 강성이 하부지반의 변형과 성토체의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for the Effects on the Stiffness of the Embankment and Sandmat on the Deformation Property and the Safety of Road Embankment)

  • 배우석;김종우;권영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7-65
    • /
    • 2007
  • Effects on the stiffness of the embankment and sandmat on the construction safety of road embankment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by the numerical experiments using FEM. Two points was mainly focused in this study especially. First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by the change of the stiffness of sand mat and embankment was investigated by the analyzing the consolidation settlement at the center of the embankment and the lateral displacement at the toe of the embankment. And, the effect of the stiffness on the stres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as also investigated in this study. Furthermore, slope stabilit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gain the safe factor by change the stiffness of the sandmat and the embankment.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supplying the result of the numerical experiments for the geotechnical engineers who use the FEM for the safety design of the soil structures. As a result, the stiffness of the superstructures greatly affects on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both in consolidation settlement and lateral displacement. However, it can be aware that it is not dominants to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aspect that the no changes in the residual excess pore water pressure. Therefore, the decision of the stiffness has to be carried out deliberately considering not only the consolidation the magnitude of the settlement and the lateral displacement, but the slope stability.

저소성 실트지반의 비배수 전단강도 특성을 고려한 CPTU 콘계수 평가 (Evaluation of CPTU Cone Factor of Silty Soil with Low Plasticity Focusing on Undrained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 김주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73-83
    • /
    • 2017
  • 모래 및 실트 함유량이 우세한 서해안 저소성 지반(인천, 화성, 군산)에서 실시된 실내 및 현장시험으로부터 얻어진 비배수전단 강도를 이용하여 피에조콘계수(Nkt)를 분석한 후, 이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인천, 화성 및 군산지역에서 얻어진 일축압축 강도에 의한 콘계수(Nkt)는 19~23, 간이 CU 강도에 의한 값은 13~13.8, 현장베인강도에 의한 값은 11.6~13.1로 평가되었다. 이는 저소성 실트 지반조건에서 일축압축강도가 과소평가되는 원인에 의한 것으로 간이 CU 강도 적용조건과 비교했을 때 콘계수(Nkt)가 약 1.8배 전후로 커지며 분산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저소성 실트 지반에서 수행된 CPTU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계수(Nkt)를 평가할 때에는 지반의 입도분포, 액소성한계 등의 물리적 특성, 지층 내의 sandseam 분포 등으로 인한 콘선단저항(qt) 및 주면마찰력(fs)의 불규칙한 분포, 간극수압계수(Bq)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준설점토 활용 경량혼합토의 연약지반개량공법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Light-weight Air Foamed Soils using Dredged Marine Clay for Soft Ground Improvement Method)

  • 윤길림;김선빈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5-1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준설토를 활용한 경량혼합토(LWFS)의 연약지반개량 적용성에 대해 검토한 내용을 다루었다. 현재까지 제시된 경량혼합토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종합 분석하여 경량혼합토의 물성을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임의의 현장조건을 가정하여 경량혼합토공법과 SCP 공법 및 DCM 공법 적용 시에 대한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연약지반개량공법 비교해석 결과, 경량혼합토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SCP 공법을 적용하는 수준 이상의 침하관리가 가능하며, 경량혼합토의 목표성능에 따라 침하발생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또한 DCM 공법과 비교 시 경량혼합토 재료의 경량성으로 과잉간극수압 발생량이 현저히 작아져 잔류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초음파나노표면개질 기술을 적용한 초경의 기계적특성 및 마모 연구 (Improvement in Mechanical and Wear Properties of WC-Co by Ultrasonic Nanocrystal Surface Modification Technique)

  • 이승철;김준형;최갑수;장영도;아마노프아웨즈한;편영식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1권2호
    • /
    • pp.56-61
    • /
    • 201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an ultrasonic nanocrystal surface modification (UNSM) technique on the mechanical and wear properties of tungsten carbide (WC). The UNSM technique is a newly developed surface modification technique that increase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 by severe plastic deform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wear resistance of press die made of WC by applying the UNSM technique. We observed the microstructures of the untreated and UNSM-treated specimens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X)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sition. The SEM observations showed the pore size and the number of pores decreased after the UNSM treatment. We assessed the wear behavior of both the untreated and UNSM-treated specimens using a scratch test.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wear resistance of the UNSM-treated specimens increased by about 46% compared with the untreated specimens. This may be attributed to increased hardness, reduced surface roughness, induced compressive residual stress, and refined grain size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the UNSM technique.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UNSM treatment increased the carbon concentration to 63% from 33%. We expect that implement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lead to an increase in the life of press dies.

SLM 방식으로 출력된 STS 316L의 기계적 및 마찰·마모 특성에 미치는 UNSM처리 후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UNSM Treatment on the Mechanical and Tribological Properties of STS 316L Printed by Selective Laser Melting)

  • 노준석;산성충호;우마로프 라크마트전;편영식;아마노프 아웨즈한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4권6호
    • /
    • pp.270-278
    • /
    • 2018
  • STS 316L prepared by additive manufacturing (AM) exhibits deterior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wear resistance due to the presence of defects such as black-of-fusion defects, internal porosity, residual stress, and anisotropy. In addition, high surface roughness (integrity) of AM products remains an issue. This study aimed to apply ultrasonic nanocrystal surface modification (UNSM) technology to STS 316L prepared by AM to increase the surface hardness, to reduce the surface roughness, and to improve the friction and wear behavior to the level achieved by bulk material manufactured using traditional processes. Herein, the as-received and polished specimens were treated by UNSM technology and their resulting properties were compared and discussed. The results showed that UNSM technology increased the surface hardness and reduced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as-received and polished specimens. These results can be attributed to grain size refinement and pore elimination from the surface. Moreover, the friction of the as-received and polished specimens after UNSM technology was lower compared to those of the as-received and polished specimen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ar resistance were found.

파압에 의한 해안구조물-해저지반의 침하거동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n Settlement Behavior of Seabed Sand-Coastal Structure Subjected to Wave Loads)

  • 강기천;윤성규;김태형;김도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20-27
    • /
    • 2013
  • 태풍에 의해 발생된 파랑하중에 의해 방파제, 안벽 등과 같은 해안구조물 하부의 해저지반 침하가 발생될 수 있다. 만약 해저지반이 모래인 경우, 잔류과잉간극수압발생과 반복적인 파랑하중에 의해 해저지반의 침하현상이 더 발생될 확률이 높아질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해안구조물은 설계에서 파랑하중을 정적상태의 등분포하중으로 구조물에만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동적인 파랑하중이 구조물과 해저지반에 동시에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에 따른 실제파압을 고려하고, 구조물뿐만 아니라 해저지반에도 작용하는 것으로 고려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파랑하중이 구조물과 해저지반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에 따른 해저지반의 변형거동이 해석되었으며 해저지반에서 유효응력의 변화와 유효응력경로의 변화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반복단순전단시험에 기반한 조립토의 설계 액상화 저항 곡선 개발 (Cyclic Simple Shear Test Based Design Liquefaction Resistance Curve of Granular Soil)

  • 만도카일 사이둘라;박두희;김한섭;박기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49-5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지진 시 작용하는 반복적 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잔류 과잉간극수압 예측에 필요한 반복저항응력비(CRR)와 재하횟수 N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액상화 저항 곡선을 반복단순전단시험과 문헌조사를 통하여 도출하였다. CRR과 N 자료는 두 가지 모델을 이용하여 최적 곡선을 계산하였으며 계측된 자료와 비교한 결과, 이중 한 가지 모델은 CRR이 다소 작게 산정되어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액상화 저항 곡선을 살펴본 결과, 반복저항응력비(CRR)는 재하횟수 N = 15에서의 CRR($CRR_{N=15}$)로 정규화할 경우, 분산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정규화가 특별히 유용한 이유는 $CRR_{N=15}$은 실내시험이 아니라 현장시험으로부터 쉽게 산정 가능하기 때문이다. 정규화를 통하여 평균과 상한 및 하한 곡선을 도출하였으며, 각각에 상응하는 설계식과 변수 또한 제시하였다. 제안된 곡선은 추후 부지 고유의 지반응답해석과 항만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석유증진회수에 적합한 나노 에멀젼의 제조 및 필터링 시험 분석 (Fabrication and Filtering Test of Nanoparticle-Stabilized Emulsion to be Suitable for Enhanced Oil Recovery)

  • 손한암;이근주;조장우;임경철;김진웅;김현태
    • 자원환경지질
    • /
    • 제46권1호
    • /
    • pp.51-61
    • /
    • 2013
  • 최근 나노기술을 이용한 석유증진회수기술은 미국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주로 다공성 매체 내 나노입자의 유동특성이나 나노 에멀젼 자체의 안정성 평가에만 중점을 두었으며, 다공성 매체 내 나노 에멀젼의 유동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나노 에멀젼과 공극의 크기 효과는 분석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석유증진회수기술에 적용 가능한 나노기반의 에멀젼을 제조하였으며,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공성 매체 내 나노 에멀젼의 유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필터링 시험을 통해 나노 에멀젼의 크기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나노 에멀젼의 제조시 SCA(Silane Coupling Agent)나 PVA(poly Vinyl Aclohol)를 첨가하여 에멀젼을 제조할 때 안정성이 개선되며, 물에 비해 데칸의 비율이 높을수록 점성도가 높아지고, 액적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기압조건하에서 수행한 필터링 시험에서는 분리된 물이 주로 통과하고 액적은 통과하지 못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액적의 유동력이 필터에 작용하는 모세관압을 극복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흡입압력을 작용한 필터링시험에서는 $60{\mu}m$ 크기 이상의 필터에서는 대부분 액적이 통과 하였으나, $45{\mu}m$ 이하의 필터에서는 통과비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필터 공극 통과시 강한 전단응력에 의해 액적이 변형되거나 파괴되어 공극을 막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기본적인 나노 에멀젼의 특성 및 필터링 시험 결과는 향후 안정적인 나노 에멀젼 제조나, 다공성 매체 내 잔류오일 회수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