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sidents Parking Lot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7초

지역주민의 학교시설 이용현황에 관한 기초적 연구 -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ffer present condition of School Facilities for Local Residents - Focused on Suseong Gu in Daegu City -)

  • 서희숙;이상홍
    • 교육시설
    • /
    • 제13권3호
    • /
    • pp.6-16
    • /
    • 2006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on offer present condition of School Facilities for Local Residents in Daegu City. This study made progress within the scope of twenty-four public schools excepting one private school and five schools refused request. but opening present condition of the equipment was stopping in negative opening more than thing that is seen in present condition(to be a hall, a computer, swimming pool, physical education market, clearinghouse, art thread, library, language study thread) of two locals that show in old research. As result that diagnose this research, The school facilities open every schools excepting three schools could not open on account of establishment of sprinkler, residents protest about noise, small playground. The opening equipment was limited the playground, hall, basketball court, Badminton court, parking lot, classroom, library. And The use present condition was used by parking, walk, jogging and light exercise, basketball, badminton, state examination, sports meeting, books inspection, early stage soccer. When local residents require equipment use, it is not negative attitude in school but have active carriage. and Must consider plan that raise practical use degree so that can use school equipment.

아파트 자전거 주차장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 광주광역시 자전거 주차장 설치 아파트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Bike Parking Lots in Apartments - For the Apartments with Bike Parking Lo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 김윤학;박성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43-5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bike parking lots in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hile common respondents answered the use of a bike for leisure or health, relatively few respondents answered a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going to school or work. It suggests that systematic plans to expand the range of using a bike should be made such as the connection of an apartment complex with a bike road. The common places to keep bikes were the entrance, the inside of the house, or stairs rather than bike parking lots because of safety problems such as theft or damage.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clear regulation guidances to complement the safety problems of bike parking lots such as CCTV installation in the parking lots or compulsory installation of night lighting. Based on the findings, the methods to improve a bike parking lot should consider safety solutions and the complement of locations or keeping types. To activate the use of a bike, it is necessary to improve facilities to help residents' use of bike parking lots and expand their size in the future and examine the design of bike racks.

임대주택단지 주차공간확충 방안 연구 (A Study on Expansion for the Parking Space of Rental Housing Complexes)

  • 송승현;이민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35-4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just for parking shall identify the status of the lack of rental apartments to relieve parking shortages. Next performed, and subsequent utilization of space just outside the parking space expansion plan is to present an alternative. Analysis of the study only 30 of the direction of the plan and set standards according to the nature of each complex. Planned urban planning aspects and architectural aspects of a parking space that can expand and classify the types of features will be discussed. Suggestions on how to take advantage of the parking space that can expand only in state owned lands in the urban planning aspects.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side lot line change in the space and change the use of the Common Service Facilities or just to change the internal road system, by changing the way of parking, secure parking space. This way of working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complex, at least. Actually just the space of improvement to be made with the opinion of the residents and the surrounding areas of the business association, must be preceded by a feasibility study.

주차원단위 산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공동 주택 아파트를 대상으로- (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s for Parking Units -Focused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Condominium Apartments-)

  • 권성대;고동봉;박제진;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549-559
    • /
    • 2014
  • 도시의 급격한 팽창과 함께 주택부족 현상이 나타나게 되자, 정부는 주택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대규모 택지개발을 통하여 주택보급을 확대시켰다. 이러한 현상으로, 공동주택은 우리나라 전체 주택의 83%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그 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50%로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아파트의 경우 입주민들의 승용차 보유 증가에 따른 아파트 단지 내 주차공간 부족문제 등 제반 주차 관련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주차계획대수 수립 시 교통영향평가의 주차수요예측 중 전용면적을 고려한 주차원단위 산정 방법은 기존 계획보다 세대수는 증가하여도 전용면적이 작아지면 계획주차대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다 현실적인 주차원단위 산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주택 아파트를 대상으로 현실에 적합한 주차원단위를 산정하고자 한다.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득자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기존 교통영향평가의 주차원단위 산정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주차수요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선정을 통해 주차원단위 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조사된 아파트 주차원단위 자료를 통해 기존 교통영향평가의 주차원단위 산정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차원단위 산정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주차원단위 산정모형은 주차장법 기준 정립은 물론 보다 현실적인 주차수요예측 수행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차실태를 중심으로 한 제주도 공간구조 분석 연구 (Study on the Analysis of Spatial Structure in Jeju Island Focusing on Parking Status)

  • 황경수;양정철;조항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67-67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주차 수급율 분석을 통한 제주지역의 공간구조를 분석하고, 둘째, 주차서비스의 지역간 불균형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셋째, 이러한 공간구조상의 주차수요서비스의 불균형 원인을 해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제주지역은 급격한 인구 증가 및 관광객 증가로 인하여 교통체증 및 심각한 주차문제를 겪고 있다. 이러한 주차환경 악화는 차량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불편과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회적 문제도 이해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주차실태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공간구조 분석을 통해 만성적인 주차문제 해결을 위해 기존의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단기 정책으로 읍·면단위 소규모 블록단위 전환, 주차공유제, 이면도로 주택가 정비 등이다. 중단기 정책으로 타 교통수단과 연계한 정책이다. 이는 대중교통 노선개편, 대중교통시설확충을 통한 대중교통 분담율 향상을 통한 주차수요관리 정책, 외곽환승주차장 확보, 시간대별 주차요금 차등화 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공공분야, 민간분야, 민·관 공동분야의 각각의 분야별 주체별 공감대 형성이 필요할 것이다.

주차장 램프 형식 결정 및 제원 산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Types and Element on Parking Ramp)

  • 권성대;김윤미;남창규;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2021-2031
    • /
    • 2013
  • 최근 급격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국민 개개인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자동차 보급률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생활권역이 급속도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2012년 12월 말 기준으로 국내 자동차등록대수는 18,871만 대로 비약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수가 5,094만 명과 비교할 때 자동차 1대당 주민등록인구수는 약 4명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자동차 수요가 많아 주택단지, 산업 및 상업단지 등 주차장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지만, 지상의 한정된 공간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주차장을 지하로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주차장법'에 의하면 주차장의 경사는 직선부 17%, 곡선부 14%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시행하고 있지만, 운전자가 주차장 램프 주행 중 멈춰선 경우에는 운전자 안전측면에서 커다란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차장 램프에 대해 운전자 안전성 측면의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고자 한다. 우선, 주차장 램프 형식을 곡선부와 직선부로 분류하고, 경사별, 경사거리별, 방향별, 경사거리에 따른 지점별 등을 고려하여 주행실험 후 설문조사를 통해 주차장 램프 형식 및 제원을 산정하고자 한다. 그 결과, 곡선부는 반시계방향, 최대 경사 12%를 권유하며, 직선부의 경우 최대 경사는 13~14%로 분석되어 15% 이상은 지양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차장 램프 형식 및 제원의 제시를 통해 향후 주차장 관련 기준 정립은 물론, 주차장관련 사업 추진 시 비용 효율적인 교통안전 개선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방 중소도시 도심지역의 거주환경과 거주의식에 관한 연구 - 나주 도심재생을 위한 사례연구 I - (A Stud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nsciousness of Downtown Areas at Regional Small & Medium Cities - Case Study for Urban Regeneration of Naju Region I -)

  • 정영덕;조용준;김윤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25-132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nsciousness of downtown residents in Naju city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Naju's population or urban population were decreased by half for 25 years, but area of residential regions was increased twice. It indicates that major parts of increased residence area are occupied by housing site development area. Uses of downtown buildings are for residential building mostly, but commercial building is less than 1/3 and story of buildings is mostly the first floor. So downtown area in Naju has residential function mostly and family composition is over sixties in more than half of population and regional aging is remarkable because household over majority of the population has no family under twenties. Downtown areas showed detached house and their own house in 2/3 of population and residents over majority of population have lived in current house over 20 years and had strong settlement. But housing site area is less than 40 pyeong at 3/2 of population and 2/3 of population have not parking lot. Most of population have dissatisfaction with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for solving their dissatisfaction, improvement of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road extension and construction of parking lot are needed most. Most of residents consider that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or economic level is normal or developed a little compared to five years ago, but when such a dissatisfaction is solved, they continue to live in their area.

주차 지정된 공용 환경에서 도심 생활자의 주차 관리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Urban Residents in Designated Parking Space Environment)

  • 남강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877-884
    • /
    • 2023
  • 본 연구에서, 개인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지정 공간 및 정의된 개인사용 시간에 다른 차량이 주차하여 있는 경우 초음파 물체 인식 센서를 활용하여 차량 진입을 파악하고, 그리고 카메라 센서가 번호판을 인식한다. 만일 개인 차량 소유자가 인정한 차량이 아닌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개인 주차장 운영 블록"은 경찰청의 차량 번호정보 조회 Open API를 근거로 개인의 전화번호를 받는다. 이후 주차 처리시 비권리권자는 주차 권리권자의 승인을 받아서 인정되는 시간만큼 주차를 하고 주차요금을 시청 공공 계좌에 입금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시청이 인정해준 개인 주차 공간에서 도심의 주차관리를 가장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운영 처리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

국민주택규모 아파트 주거환경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 연구 - 김해시 장유신도시 지역의 아파트 단지 사례를 중심으로 - (Evaluating Korean Standard-Sized Apartment Houses Fron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 Cases of the Apartment Complex in Jang-you New Town Area -)

  • 오찬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2-32
    • /
    • 2013
  • The quality of apartment houses has been gradually upgraded. However the changes in demographic composition of residents such as seniors, disabled persons, and etc. have not been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planning. If apartment houses are designed on the base of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their residents could live as long as they want to live in. This study evaluates the Korean standard-sized apartment housing units and the common spaces of those apartment buildings, and it's outdoor enviro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The observation and measuring was conducted with the questionnaire survey with 100 residents living in those housing units. 60 items were designed for evaluating them in relation to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general,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were relatively applied to the apartment houses. However their application needs to be broadened. 2) The number of parking lots needs to be increased and the width of individual parking lot to be increased. Also, the location of gazebo and senior center needs to be placed in easily accessible areas. 3) The shape, color, finishes of the ramp and the entrance area of the apartment building and housing unit should be made more homelike. Also, the entrance area of apartment building and housing unit needs to be made large enough for residents themselves and meeting with neighbors. 4) Among all of the rooms in a housing unit, bathroom should be improved immediately. Also, the width of doors should be at least 80cm wide and the floor should be made even.

제주시 차고지증명제 사례소개와 성공을 위한 방안 연구 (Levying Garage Option on Car Buyers (Jejusi Case Studies and the Way to Success))

  • 황경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91-10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주차의 긍정적 역할과 부정적인 측면에 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우리나에서는 처음으로 제주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차고지증명제를 소개하며, 차고지증명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주민의 의견을 들어 제안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차고지증명제(Levying Garage Option on Car Buyers)란 자동차소유자가 자기차고를 원천적으로 확보하도록 하여 특히 야간 이면도로의 주차무질서를 바로잡고, 각종 불법 주정차의 문제를 해결하며, 도로의 미관을 개선하고 도로의 원래 기능을 주민에게 돌려주기 위하여 차고시설 설치에 관련된 법률을 일반 모든 차량에 적용하도록 하려는 제도라 할 수 있다. 제주시에서는 전국 최초로 자가용자동차에 대하여 차고지증명제를 도입하게 되었다. 설문조사 결과 차고지증명제가 성공하려면 구 도심지 주택밀집지역에서는 별도의 해결책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차고지 증명제 찬반에 따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차고지증명제에 찬성을 많이 유도하고 성공을 구하려면 차고와 거리완화, 단속강화, 공동주택에서의 대책마련에 특히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정책제언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차고지와의 거리를 차츰 완화하는 정책을 펴야 한다. 둘째, 차고지증명제를 이행하는 세대에게는 저리융자로 사유주차장을 만들도록 유도하거나 세금의 감면 혹은 면세 등의 인센티브를 줄 필요가 있다. 셋째, 담장허물기 사업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제주시 동지역 이외에 다른 지역과의 형평성을 고려해야 하고, 차량에 대해서도 형평성을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