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ial Zone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1초

수치표고모델과 토지이용 데이터를 이용한 광역 도시경관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강원도 춘천시를 사례로-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Urban Landscape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and Land Use Data -The Case of Chunchon City-)

  • 한갑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0호
    • /
    • pp.1025-103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landscape by CG(Computer Graphic) pictures and visibility analysis. In this study, the CG picture was created by using zoning data and DEM(Digital Elevation Model) on Chunchon city. The landscape type was classified into three by cluster analysis using the area rate of the element which constitutes CG picture. Visible analysis used DEM as fundamental data, and was performed by using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the frequency seen on viewshed was classified into five grad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rea rate of the element which constitutes CG picture was high development restriction zone(43%) in type 1, green land area(39%) in type 2, and city area(24%) in type 3. 2. In the analysis results of GIS visibility analysis, it turns out that Euiam lake is important area on the landscape in all types. 3. The land use of high frequency seen on viewshed was water area, residential area in type 1, development restriction area, park area in type 2, and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water area in type 3.

GIS DB를 이용한 토지이용 특성 분석 - 부산광역시 건물 높이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Land Use Characteristics Using GIS DB - A Case Study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 Korea -)

  • 천민경;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2-64
    • /
    • 2023
  • 급격한 도시의 발전을 거듭해 갈수록 인구과밀, 공해오염, 도시 위생문제 등이 발생하면서 상충하는 용도 간의 분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의 토지이용이 계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토지공간의 제반 활동을 미리 예측하고 계획적으로 세워 토지이용을 합리적으로 구축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구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산광역시의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용도분포특성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부산광역시 구·군의 용도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 연면적, 용적률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용도지역별 면적 중 주거지역의 비율이 51%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용도지역별 연면적 중 주거지역의 비율이 63%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토지이용구성비만으로 지역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특화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면적의 절댓값을 집계하는 것만으로는 지역 전체의 경향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면적 구성비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용도지역별 특화계수 중 주거시설을 보면 기장군, 사상구, 사하구, 중구 이외에는 1.0 이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업시설은 기장군, 강서구, 남구, 사상구, 사하구 이외에는 1.0 이상을 공업시설을 보면 강서구(2.5), 기장군(1.22), 사상구(2.06), 사하구(1.64)로 공단분포지역임을 알 수 있다. 이외 업무시설과 문교후생시설은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용도지역별 각 표고에 따른 건축물 높이 현황과 용도지역별 건축물 높이 시뮬레이션을 통한 토지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부산시는 80m 이상의 지역이 43%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용도지역의 분포가 지형적인 조건의 영향으로 표고가 높은 지역에 지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토지이용 특성별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의 교통사고 감소효과 분석 (The Effects of a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 on Crash Reduction Regarding Land Use Characteristics)

  • 이수범;정도영;김도경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09-117
    • /
    • 2008
  • 초등학교 주변 통학로에서의 어린이 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해 실시된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은 2007년도를 마지막으로 1단계 개선사업이 종료되고 2008년부터 2단계 개선사업이 시작된다.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에는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기 때문에 2단계 사업에 앞서 1단계 사업을 대상으로 개선사업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서울 경기)에 위치한 601개소의 어린이 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이 교통사고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교통사고 감소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교그룹을 이용한 사전 사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어린이 보호구역별 교통사고 자료는 경찰청의 TAMS 자료로부터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우선 601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전체를 대상으로 개선사업의 교통사고 감소효과를 평가했으며, 그 다음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이 위치한 지역의 토지이용 형태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후 각각에 대해 사고감소효과를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을 시행한 지역은 개선사업을 시행하지 않은 지역보다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전체적으로 합해서 약 10건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고 감소율은 약 39%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이용 특성별로 분석한 결과 주거지역, 아파트 지역, 주상복합지역의 사고감소 건수는 각각 2.41건, 3.8건, 0.5건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2단계 개선사업 시행 시 획일적인 개선사업보다는 토지이용 특성별로 맞춤형 개선안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점별 특성에 맞는 개선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도시공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 진주시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 A Case Study of Jinju City -)

  • 조정현;이창학;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92-101
    • /
    • 2011
  • 본 연구는 기존 구도심부 상업지역의 공동화로 인한 쇠퇴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현 시점에서 진주시의 도시공간구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시공간구조 분석의 범위는 구득자료의 한계와 연구의 목적을 감안하여 진주시의 동지역으로 한정하였다. 진주의 도시공간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다변량해석(Multivariate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7개의 지역(중심지, 공업지, 일반주거지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진주시는 장래 낙후된 도시이미지의 쇄신, 서부경남의 중심도시로의 부활을 위해서는 앞서 지역별 현상을 감안하여 도심 노후지역의 전면적인 도심재개발, 재건축사업 및 재정비촉진사업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상평공단 이전 및 초장동 일원과 연계한 신도시 건설, 현재 계획 중인 혁신도시의 차질 없는 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flue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ifestyle on Multiple Primary Malignancies in Taiwan

  • Chang, Chih-Chun;Chung, Yi-Hua;Liou, Ching-Biau;Lee, Yi-Chen;Weng, Wei-Ling;Yu, Yun-Chieh;Yen, Tzung-Hai;Wu, Jiann-M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8호
    • /
    • pp.3533-3538
    • /
    • 2015
  • Background: Multiple primary malignancies (MPM) have become increasingly prevalent worldwide. This investigation was aimed at establishing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PM patients and evaluating the impact of the living environment on MPM in the Taiwanese pop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3, a total of 8,268 cancer patients were identified in our institutional center. Of these, 125 were diagnosed as MPM and thus enrolled. Data for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treatment approaches for these MPM patients living in urban or suburb zone were obtained. Findings for the air pollution status in Taiwan were also collected. Results: The most common cancer match of MPM was esophageal cancer with hypopharyngeal cancer (12.8%), followed by colorectal cancer with gastric cancer (6.4%) and colorectal cancer with breast cancer (5.6%). The air quality was significantly worse in the urban than in the suburban zone and there was a remarkably higher portion of MPM patients in the urban zone suffering from grade III and IV post-chemotherapeutic neutropenia (30.8% vs 15.1%, P=0.036). Conclusions: The tumor frequency and site distribution should be taken into the clinical evaluation because there is a relatively high risk of developing MPM. This study also highlighted the potential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post-chemotherapeutic neutropenia for patients with MPM.

하천유지용수와 지천 유입에 따른 도시하천 양재천의 수리화학적 변화 연구 (Hydrochemical Effects of Tributaries and Discharged Waters in the Yangjae Stream Flowing Peri-urban Area)

  • 김연태;정의진;박종훈;우남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78-68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unique and complicated feature of urban stream receiving various inflows. The Yangjae stream, the second tier of the Han River, runs through the southern parts of Seoul, Korea and its middle part flows on the boundary of Seoul where land use is actively changing. Stream flow was greatly influenced by rainfall. Other than rainfall events, effluent discharge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 comprised 51 % of stream flux. As a result, majority ions water chemistry was changed at the receiving zone of the discharged effluent (Zone A). Its contribution increased to 69.9 % at the second sampling period with low stream flow. In the middle zone, inflows from the northern area, recently developed to a residential district showed low $NO_3-N$ and high $HCO_3$, Ca, $SO_4$, and $SiO_2$ indicating the effects of groundwater and concrete. One inflow (T-8), with extremely high Na and Cl, median $SiO_2$, was assessed to have anthropogenic influence, however its contribution to main stream was under 1 %. Road construction near Y-13 also affected water chemistry leading to the highest Na and Cl concentration. These hydro chemical changes can be critically used to evaluate the changes in water budget and fate of chemicals in a peri-urban watershed occasioned by human activities on the Yangjae.

진주시 교통사고의 시계열적 공간분포특성 분석 (Analysis of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raffic Accidents in Jinju)

  • 성병준;배규한;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9
    • /
    • 2015
  • 도시공간에서 토지이용변화는 교통량을 유발하고 이에 따른 교통사고발생이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므로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교통사고발생원인 분석은 교통사고저감대책 수립에 중요한 요소로 판단된다. 이에 지방 중소도시인 진주시를 대상으로 5년간(2009년~2013년)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의 사고 발생빈도와 최근린 분석기법에 의한 군집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교통사고의 발생빈도는 봄에 가장 많았고 겨울이 가장 작게 발생하였다. 또한 주간과 야간의 교통사고 발생빈도는 주간이 야간에 비해 조금 더 많이 발생하였으나 교통사고발생 군집도는 야간이 주간에 비해 강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토지용도에 따른 교통사고 군집도 분석에서 상업지역은 계절에 따른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주거지역은 겨울철에 군집밀도가 크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교통사고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차 대 차의 측면직각추돌사고가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으며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에 모두 광범위하게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도시공간구조에서 교통사고 발생패턴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향후 교통사고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생활특성과 착의량에 따른 바닥복사난방 공간의 열쾌적 범위 및 에너지 사용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Comfort Zone and Energy Use of Radiant Floor Heating by Residential Style and Clothing Level)

  • 김상훈;정광섭;김영일
    • 에너지공학
    • /
    • 제24권1호
    • /
    • pp.24-31
    • /
    • 2015
  • 바닥복사난방 공간에서 생활특성과 착의량에 따른 열쾌적 범위를 제시하고 각 조건별 에너지사용량 및 비용을 산출하여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좌식생활이 입식생활보다 낮은 온도에서 중립적 온도를 나타냈는데 바닥표면과 인체사이의 국부적인 열전달이 전신온열감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착의량이 높을수록 낮은 온도에서 중립점 온도를 나타냈는데 착의량을 증가시키면 인체에서 방출되는 열손실이 감소하여 낮은 실내온도에서 동일한 열쾌적을 느낄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좌식생활방식이 입식생활방식보다 평균 6.0%의 에너지 사용량이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나 좌식생활이 경제적인 생활방식으로 분석되었다. 착의량 1.2 Clo 상태가 착의량 1.0 Clo 상태보다 평균 13.5%, 착의량 0.8 Clo상태보다 평균 18.0%의 에너지 사용량이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나 동절기에 착의량을 증가시키는 생활습관의 변화만으로도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도시특화모델 개발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ity specialization Model Using Ubiquitous Technology)

  • 강영미;강준묵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7-430
    • /
    • 2007
  • The Shiwa is developed by banwol special area and it is holding a many problem for a residential area. It controls about 80% of the waste in the capital region area and it is urgent to life environment improvement. thus, It is necessary to effort for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intelligence city from the planning of a new town.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create the City specialization Model of a shiwa zone using Ubiquitous Technology which is considered IT-based service. It is aimed to provide city life style which is fine and convenient

  • PDF

지역재생을 위한 철도역사 및 역세권 정비계획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백운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Railway Station & Surrounding Area for Regional Regeneration (Focused on Baegun Station of Incheon))

  • 신예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893-899
    • /
    • 2012
  • 본 논문은 경인선 백운역 및 백운역세권을 대상으로 철도에 의해 양분된 지역생활권의 단절 해소 및 철도시설 연변부지의 효율적 토지이용을 통한 입체적인 철도 환승시스템을 제안함과 동시에 철도 이용객의 편의를 도모하며 기존의 단절된 녹지축을 활성화하여 친환경적이며 안전하고, 편리한 주거환경의 개선을 통해 지역주민들의 삶을 한층 풍요롭게 하고 나아가 지역 생활권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