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ial Complex

검색결과 484건 처리시간 0.032초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Proposal for the Revitalization of Small Libraries in the Residential Communities in Gyeonggi-do)

  • 노영희;최만호;김윤정;장로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71-95
    • /
    • 2020
  • 국내 작은도서관이 가장 많이 소재하고 있는 경기도에는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비율이 42%에 이르고 있으나, 법적 의무에 의해 설립된 도서관들이 자발적 의지에 의존하여 관리·운영됨에 따라 휴관·폐관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지 내 마을 공동체의 구심점 역할을 통해 활성화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작은도서관의 현황 조사, 경기도 및 31개 시군의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운영자 및 관계자 대상의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동주택단지내 작은도서관 운영의 실제적인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작은도서관에 대한 공동체 인식 개선, 자체 운영 능력 배양, 법·제도 개선, 지자체의 지원 강화의 4가지 목표를 설정하여 실천방안을 도출하였다. 사회의 변화에 따른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뿐 아니라 타 사립작은도서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연구도 수행될 필요가 있다.

온산공업단지 주변의 박무와 해풍발생이 대기오염물질의 이동 및 농도분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Movement of Air Pollutants by Sea Breeze and Mist around Onsan Industrial Complex)

  • 이형돈;이규홍;김인득;강지순;오광중
    • 청정기술
    • /
    • 제19권2호
    • /
    • pp.95-104
    • /
    • 2013
  • 온산공업단지는 인근에 울산석유화학단지가 위치해 있고 동쪽에는 바다가 위치하고 있는 공업지역이다. 이러한 이유로 온산공업단지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은 특히, 해풍과 같은 기상인자에 영향을 받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해풍과 박무발생 빈도를 평가하였으며, 온산공업단지 인근의 기상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평가하기 위해 상층바람조건과 온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박무와 해풍이 발생될 때, 미세먼지($PM_{10}$)는 각각 57.2%, 71.8%, 이산화황($SO_2$)은 46.6%, 57.7%로 고농도 현상이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통해 박무와 해풍과 같은 기상현상이 대기오염물질의 고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온위와 상층바람조건을 활용한 상층기상을 분석한 결과, 해풍에 의한 울산석유 화학단지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의 이류가 온산공업단지 인근의 고농도 현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안정한 대기조건에서 해풍이 발생했을 때, 온산공업단지의 평균농도에 비해 1.5배 이상 고농도 현상이 나타났다.

노후 근린생활권 정원 활동이 지역 주민의 삶의 만족과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경기도 안산시 고잔1동 연립주택단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How Urban Gardening Affect Citizens' Quality of Life and Social Capital in Deteriorated Neighborhood - Focus on the Residential Complex in Gojan 1-Dong, An San City -)

  • 박지은;성종상;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6-71
    • /
    • 2023
  • 삶의 질 향상과 환경에 관한 관심 고조로 도시 녹지 공간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작은 규모로 토지 소유 논란이 적으면서 조성이 수월하고, 주거지에 인접하여 주민 일상 속 환경개선의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정원에 주목할 만하다. 더욱이 최근 국가 정책사업인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마을 정원을 낙후 주거 지역에 조성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등 도심 정원의 의미와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정원이 지역사회에 가져오는 긍정적 효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공원이나 숲과 같이 일정 규모 이상의 녹지에 한정하여 그 효과를 살피고 있고, 정원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원과 정원 활동이 지역사회에 가져오는 긍정적 효과를 정량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특히 지역 주민들의 삶의 만족과 주민 간 교류 등 사회적 측면에 주목하여 도심 속 정원의 의의를 살폈다. 연구 대상지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1동의 노후 저층 연립주택단지 밀집 지역이다. 이곳은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근린생활권 내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여 정원을 가꿔온 지역이다. 또한 2017년 경기 정원박람회 때 단지 내·외부 공간에 정원이 조성되고 현재까지 존치된 지역이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정원이 자리하고 있어 주민들의 정원 활동 및 그 효과를 연구하기에 적합한 사례 지역이었다. 연구 과정은 현장답사를 통해 해당 지역의 정원 및 정원 활동 현황을 살폈고, 이후 정원 활동 여부와 양상이 주민들의 행복감 및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하였다. 설문 내용은 t-test 및 ANOV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원 활동하는 주민이 정원 활동을 하지 않는 주민보다 '이웃 교류' 및 '주민참여'가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민이 직접 만든 정원에서 정원 활동을 하는 경우가 정부 사업으로 조성된 정원에서 정원 활동을 하는 경우보다 '삶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더불어 단지 내에서 정원 활동하는 경우가 단지 외부 정원을 이용하는 것보다 '삶의 만족' 지수가 높게 '부정적 감정'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정원이 노후 주거지역의 주민 간 교류 및 커뮤니티 참여를 촉진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등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향후 지역재생 및 공간복지 차원으로 노후 주거지역에 정원을 조성할 때 주민이 정원 조성 및 운영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원의 위치 선정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노후 아파트단지의 주요 개선 요구와 재생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ritical Improvement needs and Regeneration elements in old Apartment estate)

  • 이태희;이응현;오덕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266-4276
    • /
    • 2012
  •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노후 주거단지의 재생을 위한 주요 노후문제와 이에 대한 중점재생요소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단지 재생은 주거환경 개선 측면에서 추진되거나, 부동산적 가치 상승을 기대하며 추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실제로 단지의 노후문제를 바탕으로 재생계획이 수립되기 보다는 용적률 상승, 주차장 확보 등과 같은 편의시설의 개선, 단지 브랜드화 등을 주된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단지 및 주변지역에 잠재된 도시의 사회문제를 개선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노후되어가는 단지의 재생을 통해 단지 및 주변지역이 가지는 노후의 문제를 개선하고 적절한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중점재생요소의 도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 세 단계의 연구과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거단지 노후의 문제들과 대응 계획기법을 정리하고, 둘째, 전문가와 단지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노후 아파트단지에서 나타나는 주요 노후의 문제와 개선요구에 대한 각 그룹별 중요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분석된 노후문제와 개선요구에 대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노후문제와 대응기법의 상대적 중요도 파악을 통해 노후 주거단지가 갖는 주요 노후문제와 개선요구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중점재생요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신평·장림 산단 인근 주민의 PAHs 및 VOCs 노출 (Exposure to PAHs and VOCs in Residents near the Shinpyeong·Jangrim Industrial Complex)

  • 윤미라;조혜정;김근배;장준영;이철우;이보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1-143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the urinary concentration of biomarkers in residents near the Shinpyeong·Jangrim Industrial Complex to compare them with those of residents in a control area. Methods: Hazardous air pollutants (PAHs and VOCs) were measured in an exposure area (two sites) and a control area (one site).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esidents near the industrial complex (184 persons) and residents in the control area (181 person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which factors affected the concentration of PAHs and VOCs metabolites. Results: The average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PAHs in Shinpyeong-dong and Jangrim-dong was 0.45 and 0.59 ppb for pyrene, 0.15 and 0.16 ppb for benzo[a]pyrene, and 0.29 and 0.35 ppb for dibenz[a,h]anthracene. The average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VOCs was 1.10 and 0.99 ppb for benzene, 8.22 and 11.30 ppb for toluene, and 1.91 and 3.05 ppb for ethylbenzene,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PAHs and VOCs in residents near the Shinpyeong·Jangrim Industrial Complex were higher than those of residents in the control area. Geometric means of urinary 2-hydroxyfluorene, 1-hydroxypyrene, methylhippuric acid, and mandelic acid concentrations were 0.45, 0.22, 391.51, and 201.36 ㎍/g creatinine, respectively. Those levels were all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area (p<0.05). In addition,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ven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such as gender and smoking, the concentration of metabolites in urine was high in residents near the Shinpyeong·Jangrim Industrial Complex.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possibility of human exposure to VOCs in residents near the Shinpyeong·Jangrim Industrial Complex. Therefore,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local community is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environmental pollutant emissions.

산업단지 입지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f determinant Factor for Industrial Complex Location)

  • 이재탁;김동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343-349
    • /
    • 2017
  • 본 연구는 산업단지 입지요인을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연구모델을 개발과 관련변수를 투입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입지결정요인을 기반시설의 안정화와 산업자원의 접근도 그리고 매개변수인 주거 근린환경요인군의 세 가지 요인 군으로 대별하여 산업입지결정요인과의 관계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분석을 위해 연구모형에 근거하여 설정된 가설을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의 경로분석을 통해 가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기반시설요인군의 교통과 산업기반시설 요인과 자원접근 요인인 노농과 생산자원 접근성 모두 산업입지에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매개변수인 근린환경요인과 산업입지결정요인간의 분석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국가 및 지방 자치단체의 산업단지 개발에 있어서 산업기반시설의 구축과 산업단지 개발 사업에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악취기여도평가를 이용한 악취원인물질 연구 - 오창과학산업단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dor Compounds Emitted using Odor Contribution Analysis - Focus on the Ochang Scientific Industrial Complex Area -)

  • 정지선;김덕철;이한철;연승원;연익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329-133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basic data nee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odor, emitted from the Ochang Scientific Industrial Complex area on the surrounding residential areas by measuring and confirming odor compounds. The analysis showed that complex odors were diluted from around 4 to 1. The offensive odor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sites, site 1 was highest in sulfur compounds, site 2 was highest in toluene, site 3 was highest in trimethylamine, and site 4 was highest in buthylaldehyde. It cannot be decided to be odor-causing compounds for higher odor concentration because each odor substance has a different odor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the odor contribution analysis for each site, site 1, site 2, and site 4 contained high buthylaldehyde concentrations, and site 3 had a high level of trimethylamine. It could be determined that highly evaluated substances were main causes to result in substance for each site.

생활권 개념의 변화에 따른 주거지 계획의 시기별 특성 변화 - 국내 신도시 및 신시가지 계획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Trand of the Multi-family Housing Theory by Planning Community Units - Focused on the new town planning in Korea -)

  • 이종화;구자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79-88
    • /
    • 2009
  • A planned access method on constantly-changing-community unit plan changes and develops based on the periodical situation and also plan theory. In this research, it is to present the link between the theory of complex city change and the plan factor of it, and to show how Korean residential complex plan has changed as time passed and how new concept of city plan came up and by applying new methods how can this affect our real world and the past plan. In the phase of analysis, it analyzed the flow of 'community unit plan' and its theory and investigated the factor of compositional space and built a analysis frame. The factors of community unit plan are space structure, size and shape of block, population, distribution of facilities and movement system. It chose the place that can represent the flow of community unit plan trand and that indicates the obvious development leading to Jamsil (1975), Gwa Chun (1980), Mok Dong (1983), Sang Ge (1985), Ilsan (1989), Dong tan (2001) and Eun Jung (2003) total of 7 places. And to compare a similar size of the city, it selected a small community unit. Based on the result of theoretical study and prior research, it can be said that the space composition style has change from a whole complete complex area to a linked-cross over community unit and the access of urban level was on set. Also, a pedestrian walking area was secured and the dense of building structure and pleasant environment wanting need was in balance. For facility plans, the usage of facility and functional change brought change of type, size and disposition. The walking area for pedestrian became a huge matter. Therefore, market, education, public facilities and green system collaborated to co-build a whole community unit and activated the walking environment. Also, public transportation, environment friendly city organization was built.

독일 공동주택 놀이터의 친환경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co-friendly Properties of Apartment Housing Playground in Germany)

  • 김자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87-98
    • /
    • 2015
  • As an apartment house as well as improving quality of life is becoming one of the brands, it is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the outer space with the facilities in the housing complex. In particular, the outdoor playground such as the community facilities that children and adults share as the activity areas for residents has received attention. However, actually children have not used many of Korean apartment housing playgrounds that were installed formally in the scrap area according to the housing plan by residential construction standard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layground in housing complex and reform it in order to make the eco-friendly play space in which children can play safely and h healthily. As an alternative, we analyzed the eco-friendly properties of the playgrounds installed in the eco-friendly housing complex in Germany and derived the main planning elements of eco-friendly playground. In the observational survey of the 10 playgrounds in 9 housing complexes in 5 regions in Germany, we evaluated the environment-friendliness of these playgrounds in the 8 fields(location and placement, ecological environment, play space, play equipment and facilities, additional facilities, materials and resources, energy saving, environmental load reduction) according to the levels(suitable, partial reflection, unsuitable, non-reflection) of reflection of eco-friendly planning factor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about the reflection of eco-friendly planning factors. In terms of "suitable": location and placement(88.8%), play equipment and facilities(73.5%), additional facilities(60.6%), environmental load reduction(54%), and ecological environment(50%) were higher than others. In terms of "unsuitable": there was nothing. In terms of "non-reflection": energy saving(95%), additional facilities(32.2%), and materials and resources(30.9%) were in order.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planning indicators to be considered first and the planning factors that should be complemented and improved in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ing playground in future.

Species composition, seasonal prevalence and flavivirus occurrence of mosquitoes in Daegu and Gunwi,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of 2015-2016

  • KIM, Da Yeong;CHOI, Moon Bo;LEE, Wook-Gyo;KWON, Ohseok
    • Entomological Research
    • /
    • 제48권6호
    • /
    • pp.522-532
    • /
    • 2018
  • As the vector-borne diseases rapidly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flavivirus occurrence among female mosquito species in urban and rural study sites in Daegu and Gunwi, South Korea using Realtime PCR. We collected more individuals and more species of mosquito in 2016 than in 2015. In 2015, we recorded a total of 22,033 mosquitoes (Trap Index, 224.8) representing 10 species from 5 genera, whereas in 2016, a total of 27,137 mosquitoes (Trap Index, 278.7) representing 13 species from 6 genera were collected. The number of mosquitoes in 2016 was higher in all study sites, except in the migratory bird habitats where the number decreased. Of the 14 species collected over the two years, Aedes vexans nipponii and Anopheles spp. were dominant in the cowsheds in rural farmland; Culex pipiens complex, in urban residential areas; and, Anopheles spp. and Cu. pipiens complex in migratory bird habitats caught in a black light trap. Cu. pipiens complex and Ae. albopictus in urban parks and Ae. albopictus and Armigeres subalbatus in migratory bird habitats were the dominant species caught in BG-sentinel traps. We found that the number of mosquitoes was highest during July-September. We analyzed 1,725 pools to detect flavivirus, where Chaoyang virus was detected among Ae. vexans niponii collected from cowsheds in rural farmland in 2016. The increased number of mosquitoes recorded in 2016 was mainly due to increased temperatures in the study areas, and reflected the change in study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