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arch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정보 시스템 최종 사용자의 피드백 탐색 행위와 합목적적 정보 시스템 활용;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

  • 신영미;이주량;이호근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527-535
    • /
    • 2007
  • The number of SMEs taking up information systems such as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has been growing rapidly, and many of those organizations have stepped into the stage of ongoing use at this point. Thus, research which takes into account idiosyncratic nature of SME 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than before. Through an empirical study using survey method, we tried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end user's feedback seeking behavior in SMEs and how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such behavior reinforce and interact with the feedback seeking behavior itself. The result shows that end user's active role as a voluntary feedback seeker is important in utilizing information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initial design intention in ongoing use environment. Furthermore, in order to facilitate such feedback seeking behavior in SME environment, it is essential that management's involvement and communicating to its employees the importance of effectively utilizing the information systems as well as the support of peer IT champ.

  • PDF

어린이 건강과 관련한 어머니들의 정보탐색 경로 (Information-Seeking Pathways by Mothers in the Context of Their Children's Health)

  • 이한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1-48
    • /
    • 2021
  • 오늘날,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에서 무수히 많은 건강정보가 시시각각 쏟아지면서 대중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건강에 대한 정보탐색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만 0-3세 건강한 영유아들의 건강정보를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어머니들의 건강정보 탐색행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24명의 미국인, 한국인,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이민자 어머니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아이에 대한 건강정보를 탐색할 때 어떠한 정보원들을 순차적으로 활용하는지 탐색경로를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들의 건강정보탐색 경로는 아이의 건강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정보원과 탐색주제의 측면에서 눈에 띄는 차이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아이가 아플 때는 특정 질병이나 증상에 대한 정보를 중점적으로 먼저 탐색하지만, 아이가 아프지 않을 때는 성장, 발육, 식단, 육아 등 다양한 주제의 정보를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활용되는 정보원과 관련하여, 아이가 아플 때보다 아프지 않을 때 더욱 다양한 건강정보원들(예컨대, 공공도서관, 정부기관, 어린이집 교사 등)이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각 어머니들 그룹에 따라 활용되는 정보원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활용하여, 국내외 정보 전문가들은 어떠한 정보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할 수 있을지 논의해본다.

정보공개청구를 통한 학술 정보 이용에 관한 연구 -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적 접근 - (A Study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 through Freedom of Information Act: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 윤은하;배삼열;심갑용;김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65-294
    • /
    • 2014
  • 본 연구는 정보공개법상에서 행해지는 학술 기록정보서비스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공공기록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19명의 연구자와 심층 면접을 수행하였으며, 기록정보서비스가 학술연구 지원을 하는데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를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으로 분석했다. 1998년 정보공개법이 제정된 이후 일반인의 청구 건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학술연구자들의 이용률은 상당히 저조하다. 이러한 저조한 이용률은 정보공개 청구를 통한 학술정보 서비스 절차의 복잡성과 무관하지 않다. 본 연구는 학술이용자들의 기록정보서비스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연구자들이 현행 정보공개청구절차에 상당히 불만족하고 있으며, 이는 학술 이용률 저하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