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tile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2초

Biodiversity in Egypt contributing to world biodiversity

  • Kamal Hussein Shaltout;Mohamed Mahmoud El-Khalafy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8권1호
    • /
    • pp.1-7
    • /
    • 2024
  • Background: Available publications (e.g., theses, scientific reports, books and papers) about the elements of the Egyptian biodiversity during 2000-2018 were collected in a progress scientific report. The publications reported in this bibliography were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site of the Egyptian Universities Libraries Consortium Portal, accounts of the biodiversity specialists on Research gate, direct contact with the national experts of the Egyptian biodiversity, libraries of some universities and research centers and others. The elements of the Egyptian biodiversity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 categories. Results: Up till now, a total of 20,521 species were recorded in Egypt, of which insects have the highest contribution (48.7%), followed by fungi (12.1%) and vascular plants (11.5%). In a descending order, each of amphibians, viruses, reptiles, mammals, cyanobacteria, bryophytes, and bacteria have a minor contribution (< 1%). Based on the available data, Egyptian biodiversity contributes 1.3% of the world biota, although its area contributes only 0.7% of the world area. At a global scale, the most represented groups are algae (12.22% of the world figure), followed by cyanobacteria (6.08%) and birds (4.70%). On the other hand, the less represented are amphibians (0.14% of the world figure), flora (0.84%) and insects (1.00%). Conclusions: Some suggestions are recommended for preparing a phytoplankton checklist based on the rich available publications; further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lichen biodiversity in order to prepare acceptable verified checklist for this important group. In addition, paleo-biologists should work together to publish a book dealing with the Egyptian paleo-biology, such studies will lead to high ranking the Egyptian biodiversity.

서울시 보호야생동.식물 종 및 잠재 서식지 선정 연구 (A Study for Selecting Protected Wildlife Species and Potential Habitats in Seoul Metropolitan City)

  • 한봉호;이경재;기경석;최병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01-613
    • /
    • 2011
  • 본 연구는 문헌분석, 전문가 의견 반영, 현장확인 과정을 통해 서울시 보호야생 동식물 종을 선정하고, 보호종의 잠재적인 서식처를 제시하여 체계적인 보호종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서울시 전체 605.52$km^2$를 대상으로 하였다. 서울시 자연생태와 관련한 학술논문과 연구보고서 등 57편을 분석한 결과 5개 분류군에서 총 1,907종이 서식 및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중 식물이 1,645종으로 전체의 86.7%를 차지하고 있었고, 야생조류 197종(10.3%), 양서 파충류 29종(1.5%), 포유류 27종(1.4%) 순으로 나타났다. 1차 후보종은 전체 종에서 외래종, 환경부 관련 법적 보호종, 보통종, 불확실종을 제외한 것으로 총 440종이 선정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식물 212종, 야생조류 180종, 포유류 24종, 양서 파충류 24종이었다. 곤충류는 조사대상이 광범위하고 각 문헌별 조사자료가 특정 속에 국한되어 있어 문헌분석에 의한 출현종 분석은 제외하였다. 2차 후보종은 멸종위기성, 희귀성, 역사 문화성 및 지역성, 학술적 가치, 서식처 특이성의 선정기준을 바탕으로 1차 후보종 내에서 분류군별 전문가 평가를 통해 후보종을 선정하였다. 전문가 평가에 의한 2차 후보종 선정 결과 총 77종이 선정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식물 25종, 야생조류 21종, 포유류 5종, 양서 파충류 10종, 곤충류 16종이었다. 최종 후보종 선정을 위해 2차 후보종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식처 확인을 위한 대상지는 각 문헌별로 제시되어 있는 2차 후보종의 서식지역과 서울시의 자연성이 양호한 잠재지역 46개소를 선정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2차 후보종 중 식물 14종, 야생조류 19종, 포유류 2종, 양서 파충류 4종, 곤충류 16종이 실제 서울시내에서 분포 또는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여 최종 보호종 55종을 도출하였다.

Trichinosis Caused by Ingestion of Raw Soft-Shelled Turtle Meat in Korea

  • Lee, Sang-Rok;Yoo, Sang-Hoon;Kim, Hyun-Seon;Lee, Seung-Ha;Seo, Mi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219-221
    • /
    • 2013
  • Reptiles, unlike mammals, have been considered to be unsuitable hosts of Trichinella spp., though larvae have been detected in their muscles and human outbreaks related to their consumption have, in fact, occurred. Herein we report 2 Korean cases of trichinosis, possibly transmitted via consumption of reptile meat. Both patients suffered from myalgia, headache, and facial edema. Laboratory examinations revealed leukocytosis with eosinophilia (54% and 39%, respectively) and elevated creatinine phosphokinase. ELISA was performed under the suspicion of trichinosis, showing positivity at the 29th and 60th day post-infection. Since they had consumed raw soft-shelled turtle meat, turtle was strongly suggested to be an infection source of trichinosis in Korea next to the wild boar and badger.

논습지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한 법제 정비방안 (A Study on Improving the Regulations for Conservation and Wise use in Rice Fields)

  • 공라경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1호
    • /
    • pp.51-63
    • /
    • 2017
  • Rice Fields have provided large areas of open water for centuries in regions with a variety of rice-growing cultures, and, in addition to producing rice also provide other animal and/or plant food sources and medicinal plants, thus acting as wetland systems and helping to sustain livelihoods and human well-being in these regions. Also rice fields in many parts of the world support important wetland biodiversity, such as reptiles, amphibians, fish, crustacean, insects and mollusca, and play a significant ole in water-bird flyways and the conservation of water-bird popul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conservation of rice fields in connection with paddies's laws, for example, amend the Conservation of Wetlands Law or legislate for the conservation of paddies.

The vertebrate fauna along the Hantangang (river) of Korea

  • Jo, Yeong-Seok;Kim, Byung-Jik;Hur, Wee-Haeng;Won, Chang-Ma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87-99
    • /
    • 2012
  • Before the construction of Hantangang dam, we surveyed vertebrate fauna along the Hantangang River and collected samples. We collected 248 specimens (1,394 individuals) of 41 fish species from 10 families in four orders, including 17 endemic species and 5 endangered species. In our herpetofauna survey, we collected 47 amphibian samples of 10 species from 5 families in 2 orders, and 19 reptile samples of 5 species from 2 families in 1 order. We observed 25 species of bird (6 orders, 14 families) inclulding collection of 51 bird specimens (10 species from 5 families in 1 order). We collected 91 mammals of 6 species, and identified 7 species from field sign and direct observation from a total of 10 families in 5 orders. This collection and list comprise the final vertebrate faunal survey of the Hantangang region, and will provide basic scientific information for future research o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region.

주교천 천변저류지의 사후 모니터링 (Monitoring of Detention Basin after Restoration at Joogyo Creek)

  • 김기흥;이형래;김철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7-194
    • /
    • 2011
  • In order to assess ecologically for the restored detention basin in Joogyo creek, this study carried out a monitoring on the ecosystem of the detention basin. The study site was a small detention basin with an area $6,350m^2$,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March, 2004. The monitoring started in August and November, 2007. Terrestrial, riparian, and aquatic plants species have increased about 2 times at detention basin compared to that of streamside. Mammals, birds, reptiles, amphibians, aquatic insects and crustaceans were found more in species at detention basin, and especially there were a lot of more fish species. From the results, it seemed that various terrestrial, riparian, and aquatic ecosystem were made in the small detention basin.

A Comparison of the Responses of Lower Vertebrate Intestines to Prostaglandin $E_1\;and\;E_2$

  • Hong Ki-Whan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31
    • /
    • 1975
  • 1. The isolated strips of guinea-pig, fowl and reptiles (snake and tortoise) showed consistenly excitatory responses to $PGE_1\;and\;E_2$, which were dose-dependent. 2. Frog intestine revealed inhibitory responses to both $PGE_1\;and\;PGE_2$ except a small of $PGE_2$ (1-10 ng/ml) caused slight contraction. 3. The intestines of pieces showed inconsistent responses to $PGE_1\;and\;E_2$. In fresh-water fish(carp), $PGE_1$ produced relaxation under the dose of 50 ng/ml, and contraction by the large doses, but $PGE_2$ consistently caused contraction in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the strips of sea-water fish revealed the different responses to PGE compound: $PGE_1$ caused relaxation and $PGE_2$ conversly contraction even though in small degree. 4. These results that there are genera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of the longitudinal strips of intestine to $PGE_1\;and\;PGE_2$ was assumed to be possibly correlated with evolutionally primitive function of gut.

  • PDF

파충류 사육을 위한 스마트 환경제어시스템 (Smart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for Laying reptiles)

  • 윤석준;구동주;안교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49-252
    • /
    • 2019
  • 본 논문은 파충류 시장의 활성화와 파충류 사육 부담감을 해소하고자 사육자들에게 편리하고 접근성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충류 사육을 위한 스마트 환경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논문이 제시하는 주요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육장 내 습도를 미스팅 시스템과 팬을 통해 제어를 한다. 둘째, 사육장 내 온도를 조광기를 활용한 스팟 램프의 밝기 조절을 통해 제어한다. 셋째, 파충류 먹이 공급 및 물 공급을 자동화하여 체계적인 식단을 관리한다. 넷째, 적외선 감지 센서를 통한 데이터를 활용해 파충류의 활동량과 탈피 및 질병의 가능성을 예상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IoT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추구하는 편리함과 기존 파충류 사육의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주도에 이입된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와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의 서식실태 및 관리방안 (Current Conditions of Habitat for Rana catesbeiana and Trachemys scripta elegans Imported to Jeju-do, Including Proposed Management Plans)

  • 오홍식;홍창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1-317
    • /
    • 2007
  • 본 연구는 제주도에 이입된 황소개구리와 붉은귀거북의 분포현황과 서식실태를 파악하여 외래동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생물상 현황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제주지 역에 적용 가능한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2005년 3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제주도내 황소개구리는 한경면, 대정읍, 안덕면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 서부지 역은 황소개구리의 서식 조건이 양호하여 쉽게 개체수가 감소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며, 다른 지역으로의 확산도 우려될 뿐만 아니라 토착 곤충류, 어류, 양서류, 파충류 등에 대한 피해가 예측되어 구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붉은귀거북은 제주도내 15개소의 연못에서 92개체이상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붉은귀거북은 최상위 포식자로서 연못의 생태계 파괴와 배설물에 의한 수질오염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붉은귀거북의 관리방안으로는 방생 자제 홍보, 생태적 습성을 이용한 퇴치방안, 인위적 확산을 막기 위해 다소 많은 개체가 서식하고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서식지에는 위해성에 대한 홍보판 설치와 더불어 지속적인 관리가 따라야 할 것이다.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강원도 계방산 지역 양서, 파충류의 종다양성 및 군집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erpetofauna for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of Population Community Analysis and Species Diversity in the Gyebangsan Area Kangwondo)

  • 심재한;정규회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4-99
    • /
    • 1997
  • 계방산 일대에서 채집 및 관찰된 양서류는 2목 5과 9종이었으며, 파충류는 2아목 3과 10종이었다. 양서류 중에서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가 우점종으로 조사지역 전역에서 출현하였으며, 계방산 지역의 물두꺼비(Bufoi stejnegeri)는 여타의 지역에 비하여 밀도가 높았다. 산개구리(Rana dybowskii)는 수청골 계곡의 고인물에 다수의 유생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롱뇽 (Hynobius leechii), 산개구리 (Rana dybowskii), 꼬리치레도롱뇽(Onychodactylus fisheri), 물두꺼비(Bufo stejnegeri), 두꺼비(Bufo bufo gargarizans)등 5종의 특정야생동물이 확인되었고, 또한 도롱뇽(Hynobius leechii), 물두꺼비(Bufo stejnegeri), 등 2종의 한국고유종이 발견되었다. 파충류는 10종이 확인되었는데 그중 도마뱀(Scincella laterale laterale), 능구렁이(Dianodon rufozonatus rufozonatus), 살모사(Agkistrodon brevicaudus), 까치살모사(Agkistrodon saxatilis), 대륙유혈목이(Amphiesma vibakari ruthveni) 그리고 무자치(Enhydris rufodorsata) 등 6종의 특정야생동물이 확인되었다. 수청골일대에서는 도마뱀과 아무르장지뱀의 집단서식지가 발견되었으며, 아무르장지뱀의 전체 서식밀도는 36마리/ha로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1995년 5워로가 7월에 도로 위에 압사된 개체수는 10종 404개체로 주로 1,2,3,4 Station에서 발견되었는데, 양서, 파충류의 이동을 원활히 하고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형관거를 도로 밑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꼬리치레도롱뇽의 유생시기와 성체 생활장소의 이동거리는 500m정도이며, 주로 서식하는 장소는 토질에 수분이 많이 함유된 활엽수림이 극상을 이루는 지역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