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iratory distress syndrom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신생아의 혈청내 Nitric Oxide와 Erythropoietin의 생성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Erythropoietin in Serum of Newborn)

  • 정현기;김광혁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1-206
    • /
    • 1999
  • 본 연구는 정상 및 호흡곤란 신생아의 혈청내에 존재하는 nitric oxide(NO)의 생성을 관찰하고 erythropoietin (EPO)의 생성을 보기 위하여 정상 신생아 18명과 호흡곤란 신생아 16명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내에서의 NO 및 EPO 생성량을 enzyme-linked immunosorbant assay법으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신생아의 혈청내 nitrite ion은 14.9$\pm$3.2 $\mu$M을 나타냈고 호흡곤란신생아군에서는 12.8$\pm$3.3 $\mu$M을 나타냄으로서 정상 대조군보다 호흡곤란군이 NO생성량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2. 정상신생아의 혈청내 EPO는 16.2$\pm$3.4 mU/ml을 나타냈고 호흡곤란신생아군에서는 21.2 $\pm$5.4 mU/ml을 나타냄으로서 정상 대조군보다 호흡곤란군이 EPO생성량이 많음을 알 수 있었으며 통계학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호흡곤란증후군에서는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NO생성이 대체적으로 저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반대로 EPO의 생성은 증가되어 나타남으로서 EPO 상승에 따른 임상증상도 발현될 가능성이 있다하겠다.

  • PDF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발현된 속립성 결핵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Review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Due to Miliary Tuberculosis)

  • 안영수;이상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1호
    • /
    • pp.17-26
    • /
    • 2002
  • 연구배경: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은 아직도 사망율이 높지만 조기에 원인을 발견하여 교정 및 치료를 하여 진행을 막고 적절한 유지 요법을 같이 하면 그 예후를 좋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의 원인으로 속립성 결핵은 몇몇의 보고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고 그 임상 특징도 알려진 것이 없다. 또한 단순 흉부 사진이나 객담 검사만으로는 진단율이 낮아 실용적이지 못하여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의 원인으로 속립성 결핵의 조기 진단을 가능성과 진단율을 높이기 위해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방 법: 1995년부터 2001년까지 7년 동안 서울 노원 을지병원에 입원하여 1992년 American-European Consense Conference 정의에 의거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의 진단을 받고 그 유발 원인이 속립성 결핵으로 확진된 9 예에 대하여 의무기록을 근거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7{\pm}18$세이며 성비는 남자:여자가 2:7 이다. 입원 시 주소는 호흡곤란 (5/9), 발열 (5/9), 기침 (3/9) 이었고, 발열의 과거력은 8 예에서 있었다. 이학적 검사에서는 라음(6/9) 이 관찰되었다.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은 최초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지 평균 6.7일 경과 후에 발생되었다.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환자에서 평균 $PaO_2/FiO_2$$133.5{\pm}53.4$였고 WBC는 5000/$mm^3$ 이하가 4/9 이었으며 혈색소의 평균은 $1l.5{\pm}2.0$mg/dl, 헤마토크릿 평균은 $33.5{\pm}4.7%$, 혈소판이 70,000/$mm^3$이하는 3/9었고 혈청 알부민은 평균 $2.6{\pm}0.6$ g/dL을 보였다. 입원시 촬영한 흉부 방사선 사진은 모든 예에서 간유리 음영과 폐경화(ground glass appearance, consolidation) 이 관찰되었다. 속립성 결절은 4/9 에서만 보였고 고해상도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한 6예 모두에서 폐포성 병변과 consolidation을 보였으며 5예에서는 속립성 결절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속립성 결핵의 진단은 간 조직검사(4/4), 골수조직검사(1/2), 개흉 폐조직검사(1/1), 객담의 AFB 도말검사 (2/6), percutaneous needle asprration 을 1예 시행하여 얻었다. 환자들은 항결핵제제로 INH, RFP, EMB, PZA와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였으며 생존율은 55.5 %의 치료 결과를 얻었다. 결 론: ARDS 원인으로 결핵의 유병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속립성 결핵의 가능성을 생각하여야 하며 입원 시 환자들의 증상은 주로 기침과 호흡곤란이었고 발열이 모든 예에서 있었으나 환자들의 호소하는 주된 증상은 아니었다. 이번 연구의 9예에서는 ARDS를 유발할만한 특별한 위험요소는 발견되지 않았고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서 ARDS의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로 간 조직 검사가 유용하며 안전하였다. 치료로 조기에 항결핵제제와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였으며 55.5 %의 치료율을 성적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