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eseed oi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참기름의 진위판정에 관하여(II) 참기름중의 채종유의 검출 (Detection of Adulteration of Sesame Oil (II).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Rapeseed Oil in Sesame Oil)

  • 천석조;임영희;송인상;노정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05-109
    • /
    • 1988
  • 순수 참기름을 판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사지별에 따른 5종류의 참기름 및 3종류의 채종유를 시료로 하여 TLC 에 의하여 triglyceride를 분획하고 HPLC에 의하여 PN별로 분획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지별에 따른 5종류의 참기름은 PN42, 44, 46, 48 및 50의 5획분으로 분획되었으며 그 조성이 동일하여 진위 판정의 자료로 이용 가능하였다. 2) 제주도산 및 전남 채종유의 triglyceride는 PN40~56 획분이 부리 동정되었으며 캐나다산 채종유에서는 PN 36~52의 9획분이 동정되었다. 3) 참기름의 PN별 획분과 비교하여 볼 때 전남 채조유 에서는 PN48, 52, 54 및 56 획분, 제주도 채종유에선 PN42, 52, 54 및 56획분이 유용한 자료가 되었다. 4) 캐나다산의 채종유에서는 PN42, 48 및 52획분의 조성이 특징적이었다. 5) 참기름에 채종유를 4% 혼합한 경우 PN 별 조성으로부터 순수 참기름의 판정이 가능하였지만 이들 data에서 통계적 처리등의 수단으로 더욱 상세히 검토되면 향상된 분석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추출 방법과 용매가 채종유 중 수종 미량성분의 그 자동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influ{\beta}$ der Extraktionsmethode und Losungsmittel auf einige Minorbestandteile in den rohen Olen und die Autoxydationsbereitschaft der Ole)

  • 문창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3-88
    • /
    • 1987
  • 추출방법과 용매가 조 채종유중의 미량성분과 그 자동산화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검토하였다. 불검화물과 Sterol 함량은 추출방법(Twisselmaun과 Soxhlet)과 사용한 용매의 종류(Pentan, Hexan, Heptan) 종류에 따라 변화되지 않았으며 Chlorophyll 함량은 추출용매의 분자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고 사용된 추출법 상호간에는 Chlorophyll 수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채종유가 자동산화되는 경향을 추출용매의 비점이 상승함에 따라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어유(魚油)식이에 의한 흰쥐체내의 생화학적 변화연구(II) - Lipoprotein Lipase 활성과 미토콘드리아 호흡계의 변화 - (The Study of Biochemical Changes Induced by Fish Oil Diet in Rat ( II ) - Changes in Lipoprotein Lipase Activity and Mitochondrial Respiration and Structure -)

  • 하태열;정승은;임정교;조성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4호
    • /
    • pp.297-304
    • /
    • 1984
  • 다섯 종류의 실험유지로 고등어유, 장어유, 콩기름, 채종유 및 쇠기름을 사용하여 먹이의 10%(w/w)되는 조제식이를 2주간 휜쥐에게 시행하여, 혈장, 심장, 지방조직의 lipoprotein lipase의 활성도, mitochondrial respiration측정하고, mitochondrial membrane matrix 지질의 지방산구성을 조사하였다. Lipoprotein lipase의 활성은 혈장에서는 쇠기름군이 식물유 및 어유군에 비해 약 60%정도 높고, 지방조직에서는 거의 3배가량 높았으나, 식물유와 어유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각 군간에 mitochondrial respiration율은 심장조직에서는 차이가 별로 없었고, 채종유군이 P/O ratio가 심장, 간장조직에서 모두 낮았고 어유(魚油)군의 간장조직mitochondrial respiration이 타조직에 비해 낮았다. Mitochondrial inner membrane matrix분획의 지질 지방산조성은 콩기름군에서 $C_{18:2}$, $C_{20:4}$ 함량이 높고 고등어유군은$C_{22:1}$가 간장조직에서 발견되는 반면 채종유군은 동일 지방산이 심장 mitochondria에서 발견되었다.

  • PDF

지방공급원이 병아리의 혈액 및 간 Cholesterol 함량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Dietary Fat Sources on the Plasma and Liver Cholesterol Levels in Young Chicks)

  • 최인숙;지규만;오미향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9-219
    • /
    • 1986
  • 본 실험에서는 식물성이면서 포화도가 높은 팜유와 동물성이면서 불포화도가 높은 어유를 병아리에 섭취시켜 혈액과 간내의 cholesterol 및 TG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에너지 섭취량은 각 첨가 지방의 에너지가가 g당 9kcal로 가정하고 다른 원료 사료들은 각각의 대사에너지 함량을(Scott, 1976) 기준해서 계산하였는데 그 결과 지방 첨가 수준이나 첨가 지방의 종류에 관계없이 에너지 섭취량이 전반적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체중 증가량도 대체로 처리간에 통계적인 처리가 없었고, 단지 실험 1에서 동물성 지방급여구가 식물성 지방급여구보다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체중 100g당의 무게로 나타냈을때 간의 무게는 실험 1의 어유구와 실험2의 경화어유구에서 각각 가장 무거웠고, 심장의 무게는 실험2에서 두 어유구가 모두 가장 무겁게 나타났다. 한천 간장의 총지방 함량은 실험2에서 우지구가 팜유구보다 유의하게 더 많았다. 고리고 간장의 cholesterol 함량은 실험1에서만 어유구가 팜유나 우지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혈액 cholesterol 함량은 실험2에서 어유구가 가장 낮았다(P〈0.05). 또 간장의 TG함량은 실험2에서 채종유, 우지 및 경화어유구등이 팜유구보다 더 높았고, 실험3에서는 C/P 비율이 164인 구가 대조구보다 간에 더 많은 TG를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5). 그러나 혈액 TG는 전반적으로 개체 변이가 심해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다시 첨가된 각 지방별로 요약하면, 옥수수유, 대두유, 채종유등은 여러 측정치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고, 채종유의 경우에는 심잠의 무게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했었으나 그렇지 않았다. 그리고 팜유는 우지나 경화어유보다 간의 총지방 함량이나 간장의 TG를 더 낮추는 효과를 보였고 cholesterol에 대한 효과도 다른 식물성 지방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어유는 실험 1에서 간의 중량을 무겁게 하고, 간내의 cholesterol 함량을 높였는데 실험2에서는 심장의 무게를 각각 무겁게 했고 한편 혈액 cholesterol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뜨렸다. 그런데 실험 1과 2에서 사용된 어유는 각각 다른 source에서 구한 것으로서 여러 어종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비교하기가 곤란하다.

  • PDF

탈지유채종자의 영양평가에 관한 기초적 연구 (Fundamental Study on Nutritional Evaluation for Rapeseed Meal)

  • Tadahiro Tadokoro;Kazuhiro Kubo;Kazuhiro Yamada;Toru Ota;Akio Maekawa;Han, Yang-Il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09-413
    • /
    • 1994
  • This fundamental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 of Canola rapeseed meal which has been increasingly used as a by-product with the demand for the food oil resource. To compare the nutritive values among rapeseed meal and soybean meal,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using rats. One was a digestibility test of rapessed meal and the other was the growth rate of rats for 21 days. The chemical compositions , blucosinolate and amino acids of defatted repeseed meal and defatted soybean meal were analyzed. After one week feeding, nitrogen excretion in rats was measured to study FER, PER , TD , BW , and NPU of the meals. The amount of crude proteins in defatted rapeseed meal and defatted soybean meal were 45.5% and 37.9%. The glucosinolate content of defatted rapeseed meal was 0.04% . The body weight gain of defatted rapeseed meal was not sign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defatted soybean meal (p>0.01). After one week feed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s in organ weight and serum components between two groups(p>0.01). It was presumed that the rapeseed meal has enough possibility for developing food to use as a protein source like a soybean meal protein. However, more careful experiments are needed to clarify the nutritional value of rapeseed meal of Canola since the lipids composition of blood tended to be different when the rapeseed meal and soybean meal were used.

  • PDF

유채의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조성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 of Seed Protein Content and Amion Acid Composition in Rapeseed)

  • 방진기;이정일;정동희;김기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64-475
    • /
    • 1990
  • 유채, 계자 등 Brassica속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하여 유채 양질 다수성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수행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Brassica속 유전자원의 단백질 함량은 15.3%에서 36.2%까지의 넓은 변이폭을 보였으며, 평균 단백질 함량은 23.2%로 나타났다.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캐나다 유래의 B.hirta인 Ochre였으며 가장 낮은 품종은 B. napus인 Mirado였다. 2. 종실이 소립으로 가벼울수록 단백질 함량은 높은 경향이었다. 3. Brassica속 작물의 단백질 함량 변이는 B.napus에서 15.3-30.2%의 범위를 보여 주었으며, B.juncea, B.carinata, B.hirta, B.nigra등은 31%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4. 단백질 함량과 유박내 유해성분함량간에는 뚜렷한 경향은 없었으나 단백질과 기름 및 1,000립중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