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newable Energy Resource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5초

Neural Network Self-Organizing Maps Model for Partitioning PV Solar Power

  • Munshi, Am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1-4
    • /
    • 2022
  • The growth in global popul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s led to an increasing demand for electricity. Accordingly, the electricity providers need to increase the electricity generation. Due to the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concerns associated with the generation of electricity from fossil fuels. Alternative power recourses that can potentially mitigate the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are of interest. Renewable energy resources are promising recourses that can participate in producing power. Among renewable power resources, solar energy is an abundant resource and is currently a field of research interest. Photovoltaic solar power is a promising renewable energy resource. The power output of PV systems is mainly affected by the solar irradiation and ambient temperatu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utilization of machine learning unsupervised neural network techniques that potentially improves the reliability of PV solar power systems during integration into the electrical grid.

신재생 에너지가 도입된 전력저장장치의 첨두부하절감 효과를 고려한 최적 구성 알고리즘 (Optimal Configuration Algorithm for ESS with Renewable Energy Resources Considering Peak-shaving Effects)

  • 이나은;김욱원;김진오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9호
    • /
    • pp.1199-1205
    • /
    • 2014
  • A power system configuration has been increasingly advanced with a number of generating units. In particular, renewable energy resources are widely introduced due to the environmental issues. When applying the renewable energy sources with the ESS (Energy Storage System), the ESS is the role of a potential generating resource in the power system while mitigating the output volatility of renewable energy resources. Thus, for applications of the ES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it should be considered, which means that capacity and energy of the ESS can be affected. Moreover, operation strategy of the ESS should be propos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urpose as well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e paper, operation strategy of the ESS is proposed considering load demand and the output of renewable energy resources on a hourly basis. Then, the cost of electrical energy is minimized based on the economic model that consists of capital cost, operation cost, fuel cost, and grid cost for a year. It is sure that peak-shaving effects can be achieved while satisfying the minimum cost of electrical energy.

선형계획법을 이용한 RPS 제도의 효과적 도입 방안 (A Study on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Using Linear Programming Models)

  • 이형석;양승룡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9권1호
    • /
    • pp.159-198
    • /
    • 2010
  • 본 논문은 효율적인 RPS 제도의 도입을 위해 현재 운영 중인 FIT 제도와 RPS 제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은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신재생에너지 목표를 달성하는 발전원별 포트폴리오를 찾고, 이때의 최적 비용을 도출하여 비교한다. 비용은 신재생에너지 전력생산을 위한 건설 및 운영비용과 정부보조(FIT 제도) 또는 의무할당 전력회사의 부담(RPS 제도)으로 구성된다. FIT 모형은 전력의 시장가격 (SMP) 변화에 따라 최적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민감도 분석을 하고, RPS 모형은 REC의 시장가격과 전력회사들의 인증서 구입비중에 따라 민감도 분석을 한다. 분석결과 RPS 제도는 FIT에 비해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특정 발전원에 집중되어 개발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력생산자들은 의무이행을 위한 외부조달보다는 자체조달을 선호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태양광, 풍력과 같이 타 발전원에 비해 경쟁력이 부족한 에너지원의 개발수요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과 함께 발전차액지원 등의 정부 지원정책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효과적인 RPS 제도의 도입을 위한 외부 조달 비율 가이드라인 제시는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산업육성을 위해 필수적인 고려사항이 될 것이다. 국내 RPS 제도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각 발전원별 특성과 경쟁력을 고려한 제도의 보완과 현행 FIT 제도와의 협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RPS 도입의 경제적 효과 (Economic Impact Analysis of the Introduction of RPS)

  • 김수덕;문춘걸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4권3호
    • /
    • pp.729-751
    • /
    • 2005
  •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s)제도는 시장기능을 통하여 전력생산의 일정 양 또는 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도록 의무화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을 활성화하는 제도이다. 본 논문은 RPS제도의 국내 도입이 전력시장, 개별 산업부문 및 경제 전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검토하였다. 의무비율을 채우지 못하거나 과다충족한 경우 각 해당부분을 대상사업자로부터 구매하거나 또는 대상사업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TREC(Tradable Renewable Energy Credits)시장과 RPS제도 실시에 따른 추가적인 공급비용이 유발하는 소비자의 추가비용을 판단할 수 있는 소매시장을 분석하여 최종소매가격과 공급량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RPS제도 도입에 따른 전력가격의 상승과 공급의 변화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2011년 기준으로 전력가격의 용도별 평균치는 약 5% 정도 상승, 부문별 물가는 평균 0.268% 상승, 그리고 부문별 GDP는 평균 1.940% 감소하여 물가상승효과는 작은 반면 GDP 감소효과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C 명목가치 하락으로 인한 양적 통제장치로서의 RPS 왜곡 (REC Distortion as a Quantitative Control Policy due to REC Depreciation)

  • 유종민;이재석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31권1호
    • /
    • pp.51-83
    • /
    • 2022
  • 2012년부터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위한 주요 정책 수단으로서 채택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PS)는 발전원별 경쟁을 유도함과 동시에 정부의 재정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명백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높은 가중치 및 국가 공급인증서(REC) 남용 등으로 양적 통제정책으로서의 정책 왜곡을 초래하였다. 이는, REC 인플레이션과 그에 상응하는 MWh 단위의 실질 신재생에너지발전 실적 하락으로 이어졌고, 그 결과 RPS 기간 전체 신재생 의무이행량의 27.8%가 실제로는 충족되지 못했음을 본고에서 최초로 밝힌다. 뿐만 아니라 현재의 REC 가치왜곡은 인접제도라고 할 수 있는 RE100과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와의 상호호환이 불가능해지게 하는 문제도 초래한다.

인도네시아 신재생 에너지 잠재력 및 보급 정책 (Renewable Energy Potentials and Promotion Policies in Indonesia)

  • ;김수덕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37.1-137.1
    • /
    • 2010
  • For Indonesia, sustainable energy supply is an important factor to preserve the stable economic growth. One important strategy is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which has not been fully exploited yet. The paper examines the potency of renewable energy in Indonesia. Currently, biomass composes 23% of total primary energy supply, while geothermal and hydropower has a combined share of 3%. But according to the overall potency of renewable energy, hydropower is found to have the highest available resource of 76 GW, followed by biomass and geothermal by 49.81 GW and 28.53 GW, respectively. Although the solar radiation is only at modest level ($4.80kWh/m^2/day$), the tropical all year sunlight can boost the competitiveness of solar photovoltaic and thermal application. As for wind energy, the average speed of 3-6 m/s requires the development of low speed wind turbine. The examination of electricity and petroleum product prices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for non-OECD countries shows fifth lowest price level for both of petroleum products and electricity for industrial use. As for household electricity price, Indonesia is placed the second among all the countries compared. The energy subsidy and price structure are examined in detail because it could be a source of hindrance to renewable energy promotion. The examination of renewable energy potency in this study could provide insights about recent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in Indonesia. As an outcome of policy examination, the price comparison analysis suggests Indonesia to reduce or even remove the energy subsidies in the long run.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formulate effective policies for renewable energy promotion.

  • PDF

Hybrid wind-solar power deployment in India: Green Energy Open Access (GEOA) and Renewable Energy Certificates (REC)

  • Hardik K. Jani;Surendra Singh Kachhwaha;Garlapati Nagababu;Alok Das
    • Advances in Energy Research
    • /
    • 제8권4호
    • /
    • pp.243-252
    • /
    • 2022
  • The hybrid wind-solar energy concept has a big influence on the spread of wind and solar power projects in India since it combines the benefits of both industries while also providing extra benefits such as resource sharing such as land, infrastructure, and power evacuation systems. Furthermore, while the hybrid policy may reduce certain barriers to the installation of wind and solar energy in India, there are still some issues that must be resolved rapidly in order to ensure a sustainable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study's findings, the installation of wind and solar power plant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nergy policy. The wind-solar hybrid energy strategy will also be crucial in the near future for growing the usage of renewable energy sources. Aside from that, the establishment of Green Energy Open Access (GEOA) and the restart of the trading of Renewable Energy Certificates (REC) would promote the quick deployment of standalone and hybrid renewable power projects throughout the nation, enabling it to reach 500 GW of installed non-fossil energy capacity by 2030.

신재생에너지 공간 Data Warehouse 구축전략 (A Construction Strategy of Spatial Data Warehouse for New & Renewable Energy)

  • 김광득;윤창열;박주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37-340
    • /
    • 2008
  • As a 'Construction of Information System on GIS based and Resource Map', establish the strategic of design about construction of Spatial Data Warehouse for New & Renewable Energy For Construction of comfortable Spatial Data Warehouse, It suggested The Construction of Spatial Data Warehouse on Block(Grid) Based with Analyze into the old Data & Method of Study. For Decide the Block(Grid) Size, We need The Study of Data & Method. Also, we expect Standardize The Process of Change & Apply with Data. make the best use of New & Renewable Energy Part

  • PDF

인력공급지장의 측면으로 본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의 산업기여도 분석 (Analyzing the Industrial Contribu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s in Renewable Energy Sector using Supply-side Input-Output Model)

  • 이유아;김진수;허은녕
    • 신재생에너지
    • /
    • 제5권4호
    • /
    • pp.68-73
    • /
    • 2009
  • 국가 에너지 안보 확보와 친환경적이고 지속적인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측면에서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인력양성은 시급하고도 중요한 당면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인력양성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인력공급지장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산업연관분석의 공급유도모형을 유도하고 2006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 배출인원을 기준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급유도형의 감응도 계수와 영향력계수 분석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과 타 산업 간의 전후방연쇄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의 평균 영향력계수는 1.37, 평균 감응도 계수는 0.96으로 최종 수요적 제조업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6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에 의해 배출된 336명의 인력이 공급되지 않았을 경우 공급지장비용은 총 230억이며, 8개 신재생에너지원 중 태양열과 연료전지에 인력 공급지장비용이 타 에너지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업분류 기준으로는 일반목적용 기계 산업과 전기기계 장치 산업이 신재생 에너지 인력공급 장애에 따른 지장비용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신재생에너지 원별 연구개발 효율성 분석 (Analysis of Renewable Energy R&D Efficiency)

  • 조인경;김경희
    • 에너지공학
    • /
    • 제24권4호
    • /
    • pp.97-104
    • /
    • 2015
  •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사업(R&D)은 그 성과가 발전단가 감소에의 기여 등 상업적 측면 위주로 보는 특성으로 인해 학술적 기여에 대한 부분은 간과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중점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던 효율성 분석에서 확대하여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신재생에너지 원별 R&D 과제의 학술적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총연구개발비와 지원과제수를 투입요소로, 특허와 논문 수를 산출요소로 설정하고 DEA 방법론을 적용하여 직접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원별 연구개발 효율성을 판단하고 비효율 발생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신재생에너지원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에너지 정책 포트폴리오 수립 등 정책결정에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